통합을 넘어 다양성으로

2022.04.07 10:30:00

나는 특수교사로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다.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은 장애가 있거나, 장애를 얻게 될 확률이 높은 아이들로 특수교육이 필요한 특수교육대상자들이다. 특수교육대상자들은 개개인이 가진 어려움의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에 간헐적 또는 전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학생이 속한 학급에서 특별한 행사를 하거나 현장체험학습 등이 있는 날이면, 통합학급 담임교사들과 함께 특수교육대상자들을 지원한다.

 

이런 특별한 날에는 퇴근 전에 꼭 하는 일이 있다. 통합학급 담임교사에게 ‘수고하셨다’는 말과 더불어 ‘특수교육대상자를 잘 챙겨주셔서 고맙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일이다. 그러면 ‘선생님도 오늘 애쓰셨어요’라는 답장이 돌아온다. 그러던 어느 날, 다른 교사와는 사뭇 다른 답장이 돌아왔다. 이 답장은 특수교사인 나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도 우리 반 학생이니 본인이 열심히 챙기고 가르치는 것이 당연하다’며 오히려 나에게 ‘○○이와 ○○이의 친구들을 살뜰히 챙겨줘서 고맙다’는 내용이었다.

 

정신을 번쩍 들게 한,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쪽지

순간, 정신이 번쩍 들었다. 생각해보니, 나도 모르게 통합학급 담임교사들에게 ‘고맙다’라는 말을 자주 했었다.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를 조금 더 학급구성원으로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봐줬으면 하는 마음에, 아무도 시킨 적 없지만, 약자 아닌 약자의 자세로 행동할 때가 종종 있었다. 학년 초가 되면 특수교육대상자들이 어떤 담임교사를 만날지, 어떤 친구들과 같은 반이 될지 노심초사하곤 했다. 담임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를 어떤 인식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통합학급 분위기가 달라지고, 통합교육의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학년 초에 통합학급 담임교사들과 통합교육을 위한 협의회 시간을 꼭 마련하여, 각 학급에 있는 특수교육대상자들은 특수학급 학생이 아닌 해당 학년 반 학생임을 안내하고 또 안내한다. 그런데도 간혹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를 배제하고 학급활동을 하거나, 수업시간에 특수교육대상자를 배려하지 않을 때면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그런데 ‘○○이도 우리 반 학생이니 본인이 열심히 가르치는 것이 당연하다’는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답장을 받고, 특수교사인 나부터 특수교육대상자들을 해당 학년 학급구성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는 생각이 스치면서, 정신이 번쩍 든 것이다. 그날 이후, 나는 ‘내가 가진 통합교육에 대한 개념’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통합교육이란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학생이 함께 교육받는 것을 말하며, 특수교육대상자가 속해 있는 학급을 통합학급이라고 한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 용어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 무언가를 통합한다는 것은 그 무엇들이 애초에 분리된 상태라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학생이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가 되도록 교육한다는 것이다. 마치 일반학생들이 생활하는 학급에 특수교육대상자가 자리를 차지하고 들어오는 느낌이다.

 

높아진 인권감수성, 제대로 된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과거 장애인들은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사회구성원으로 살지 못하고 분리된 시설에서 생활했었다. 우리 사회의 인권감수성이 조금씩 높아지면서 장애인들의 탈시설화 운동이 일어났고, 시설에서 생활하던 장애인들이 사회로 나오기 시작했다. 탈시설화 운동을 거쳐 사회로 나오기 시작한 장애인들의 사회적응을 위해 통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분리된 생활을 함께한다는 의미에서 통합이란 단어 사용이 적절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사회의 인권감수성이 조금 더 높아졌으니, 분리를 전제하고 있는 ‘통합’이라는 용어보다 좀 더 적절한 용어를 고민해야 할 때이다. 그럼 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자가 또래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까?

 

첫째, 교육과정의 다양성 추구이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라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활동에서 나와 다른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연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교육부에서 고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는데 오롯이 교사 개인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교사의 업무 과중, 학급 당 많은 학생 수 등을 이유로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들은 해당 학년 학급에서 개인의 교육적 요구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

 

나는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함께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는 초·중등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특수교사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초·중등교육과정을 만들 때 특수교사가 참여해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수적 수정, 수준별 학습방안 등의 큰 틀을 교육과정에 삽입하면 어떨까? 교사가 학생들의 개인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발판이 되지 않을까? 교육과정이 다양성을 추구한다면 단순히 일반학교에 배치받은 특수교육대상자뿐만 아니라 기초학력 더딤 학생이나 중도입국 학생 등 좀 더 다양한 학생이 개인의 교육적 요구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받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현실적인 장애이해 또는 공감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교육부 지침상 학교는 연 2회 이상 장애이해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래서 많은 학교에서 매년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이 되면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다. 현장에서 일하는 교사들이 좀 더 편리하게 교육할 수 있도록, 혹은 학생들에게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문으로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보내주기도 한다. 그런데 나는 이 점이 조금 불편하다. 장애인의 날에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의 날에 장애이해교육을 일회성 행사처럼 진행하는 것, 우리 학교에 다니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공문으로 보내준 일반적인 특성의 자료로 일괄적인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조금 불편하다는 것이다(공문으로 보내주는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교사의 재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재구성해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일회성 행사로 장애이해교육을 진행하거나, 일반적인 특성으로 일괄적 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장애’를 피상적으로밖에 다룰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

 

나는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목 속에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장애이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교육과정 자체가 다양성을 추구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어떨까? 장애를 피상적으로 알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가진 친구는 물론 나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애 역시 개인이 가진 다양성의 측면 중 하나로 말이다. 몇몇 교사들은 앞서 말한 장애이해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교육부가 제시하는 연 2회가 아닌 교육과정 속에서 수시로 그리고 현실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고 있기도 하다. 교육부가 제시하는 연 2회 장애이해교육도 좋지만, 교육과정 교과목 속에 장애 그리고 다양성에 관한 측면을 녹여낸다면,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삶에서 실천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사회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아이들이 만나는 제2의 사회라고도 불리는 학교에는 정말 다양한 학생들이 있다. 비슷한 것 같아도 존재 모두가 다 다르고, 소중하다. 특수교육대상자도 다양성의 측면으로 받아들여졌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접하는 교육과정부터 다양성을 추구했으면 좋겠다.

주효림 전북 함열초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