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KICCE)는 2일 ‘새정부 유아교육·보육 통합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2차 특별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요청으로 추진 중인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단계적 추진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이달 13일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된다.
이날 포럼에서는 ‘유아교육·보육 교사의 자격 및 양성체계 통합의 쟁점’을 집중 논의했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이 분야 쟁점으로 △자격증 발급 소관부처(서) △자격체제 △자격증 유형과 명칭 △자격 부여 방식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연한과 최소 학력 △교사양성기관의 범위 △현직 교사의 자격 부여 7가지를 꼽았다.
강은진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통합교사 양성체계와 관련해 △학과 중심제로 통합 여부 △수업연한 △영유아교사에게 맞는 교직과정 신설 여부 △통합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기존교사의 자격 전환 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제안했다.
토론에서 이완정 한국아동학회 회장은 "대학 등 성인 교육기관은 사회변화에 필요한 직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유연성이 커지고 있다"며 "교육과 보육에 필요한 공통의 전문역량을 중심에 놓고, 사회가 필요로 하는 추가 직무역량을 학점제 등으로 보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정원 한국성서대 교수는 "영유아교사(가칭)는 학사학위 이상의 양성과정으로 하되 평생교육 차원으로는 양성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적어도 담임교사에 대해서는 초·중등 교사에 견줘 부족함 없는 양성·선발 과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단, 보조인력과 현직 교사 재교육은 평생교육 제도로 할 수 있다고 봤다.
이경미 한국국공립유치원교원연합회장은 "이미 초・중고 교사 양성체계와 동일 수준으로 정립된 유아교육 교사의 양성체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게 마땅하다"며 자격·양성체계 통합에 반대했다. 영유아 교사 자격·양성체계를 통합하는 것은 한 교사에게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을 전부 담당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이다. 이 회장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보 교사 양성과정은 0~2세 영아 대상과 3~5세 유아 대상으로 구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정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장은 “유보통합 시 영유아기 발달의 연속성을 고려해 0~5세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을 동일선상에서 논의하고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영아교사와 유아교사를 분리해 양성하기보다는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성희 공주대 교수는 “현재 유치원의 일과 운영과 운영 주체 및 담당 역할에 있어 교육과 돌봄의 구분이 존재하고, 초등은 그 구분이 교사와 돌봄 전담사로 더욱 명확하다”며 “교원의 역할과 배치를 우선적으로 검토할 때 교원양성체계 방안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오는 13일 '유아교육·보육 교사 처우개선의 쟁점 및 통합 재정확보 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유보통합 3차 특별포럼을 유튜브로 생중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