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제36회 한·아세안교육자대회(ACT+1)에 참가했다. 국제 대회에서 ‘국가 보고서’를 발표한다는 것은 엄청난 중압감과 책임감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한국 교육을 대표한다는 자부심도 느끼며, 마음을 추스르며 비행기에 올랐다.
ACT+1에 속한 나라는 개최국인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베트남 그리고 한국이다. 이들에게 있어 한국은 동경의 대상이고, 선진국이기에 ‘K-culture’에 이어 ‘K-edu’가 무엇인지 보여주고 와야겠다 생각했다. 그런데 이미 첫 날, 환영식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내가 상상했던 그 이상의 상황들이 펼쳐졌다. 한 발짝 떼기가 무섭게 함께 사진 요청이 계속되었고, 그 덕분에 안면근육이 마비되도록 웃어야 했다. 특히 회원국 대표들이 대부분 교사 출신인만큼 교사 출신 정성국 한국교총 회장에 대한 환영도 인상 깊었다.
팬데믹 극복, 공감부터 시작
이틀째, 국가보고서 발표 시간. 팬데믹 이후 발생한 학습손실과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대한민국만의 종합방안을 전문적 시각과 다양한 방법으로 조명했다. 특히, 학습손실 보충과 취약계층의 심리적·정서적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아세안 교사들의 큰 관심과 흥미를 끌었다. 발표이후 이어진 ‘문화의 밤’ 시간에는 SNS 친구를 맺자는 아세안 국가 교사들의 요청을 받아들이고자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플에도 적응해야 했다.
셋째날, 병행 세션 발표를 맡은 정기영 선생님은 교실에서 했던 창의력 협동 수업을 시연하기 위해 한국에서부터 가져온 준비물을 활용하여, 참석한 교사들의 도전 정신을 불러일으켰다.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기념품을 받은 선생님들은, 코로나 시기에 한국의 교실 모습은 어땠는지도 궁금해했다. 이 질문에는 6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필자가 대신 답변했다.
한국의 기가 와이파이 네트워크, 저소득층 PC 지원, 팬데믹 기간 원격수업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조치(태블릿 보급 및 대여)를 취한 대처 능력, 출석 수업이 재개되었을 때 한 학급에 3~4명씩 원격수업을 받아야 했던 학생들을 위한 실시간 송출 시스템 마련 과정 등을 소개했다. 대답을 들은 타국 교사들의 감탄하는 눈빛은 잊을 수가 없다.
국가 구분 없는 교사의 역할
대회는 참가국이 모두 참가한 결의문 채택으로 마무리됐다. 팬데믹으로부터의 회복을 주제로 한 결의문이 한·아세안 국가들의 교육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이번 대회에 참석하여 한국 교육의 위상을 보여준 것도 큰 성과라 생각하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 교실 현장에서 에듀테크로 일컬어지는 디지털 교육을 선보이기 위해 애써야 했던 교사들의 모습은 ‘세계 어디나 비슷했구나’싶어 서로가 서로에게 격려하고 응원하는 마음을 공유한 것 역시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한국교육의 수준과 위상이 이렇게 높은 데에는 교사들의 열정이 가장 크게 기여했겠지만, 그 뜻을 펼칠 수 있도록 교실 현장에 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다는 것이 다른 아세안 국가들과는 다른 출발점에 서 있었다고 생각한다. 2023년 교육부 예산안으로 101.8조가 편성되었다는 기사를 접했다.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부받은 예산안을 활용하는 데 있어,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을 펼치기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