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심화된 학생들의 기초학력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수준을 개별적으로 진단하고 온‧오프라인을 혼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실(주최)과 EBS(주관)는 19일 국회 대회의실에서 ‘디지털 시대, 기초학력 저하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한 김희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표집조사할 때보다 전수조사할 때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확연히 낮았던 것을 예로 들며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개별 처방을 위한 개별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특히 개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과 학습성찰 도움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했다”며 “앞으로 교사들의 핵심 역할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와 소통을 위한 수업 설계와 학급경영, 즉 학습 성공을 위한 관심과 피드백 제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사의 심층학습 유도 방법과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도 제안했다. 그는 인도 델리의 저소득층 중학생 대상 컴퓨터 지원 맞춤형 학습 실험과 애리조나 주립대의 AI기반 혁신교육, EBS의 ‘AI펭톡’ 등을 예로 들며 인공지능 기반 비대면 쌍방향 교육이 교육 계층 간, 지역 간, 학습 간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정영식 전주교대 교수는 초‧중등 SW‧AI 교육 필수화와 디지털 소양 교육 확대를 통한 디지털 역량 함양 및 AI를 활용한 학습지원,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콘텐츠 지원 등을 설명했다. 특히 에듀테크 콘텐츠 지원 사업의 경우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고 읍‧면지역에서 교육적 효과가 높았다고 말했다. 김예람 기자 yrkim@kf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