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쏙 문해력 쑥] <52> 항암제도 세대 차이가 있다

2022.09.25 11:30:00

 

2020년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한 병은 무엇일까요? 바로 암입니다.

 

암은 어떤 병일까요? 우리 몸은 세포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리고 세포는 하나의 세포가 절반으로 쪼개지며 똑같은 세포 두 개가 만들어지는 세포분열을 반복하며 세포의 수를 늘린답니다. 정상적인 세포는 필요할 때만 분열하며 우리 몸에 필수적인 일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암세포는 필요하지 않을 때도 계속해서 분열하며 늘어납니다. 그리고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정상적인 세포의 자리를 빼앗고 영양분도 독차지합니다. 그렇게 되면 암세포 주변의 정상 세포들은 제대로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며 우리 몸에 큰 피해를 주게 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암세포는 혈관을 통해 멀리 떨어진 곳으로 옮겨 다니기도 합니다. 그래서 암은 치료가 까다롭고 두려운 질병으로 여겨져요. 이런 무서운 암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약물이 바로 항암제입니다. 그런데 항암제에도 ‘세대’가 있고 세대별로 특징이 다르답니다. 어떻게 항암제가 진화해왔는지 알아볼까요?

 

가장 처음 등장한 1세대 항암제를 ‘화학 항암제’라고 합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암세포는 다른 세포보다 빠르게 쪼개지며 분열합니다. 1세대 항암제는 암세포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약으로, 세포가 분열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빠르게 분열하는 암세포가 느리게 분열하는 정상세포보다 큰 타격을 받아요. 하지만 정상세포 중에서도 머리카락이나 위장 같은 곳은 세포가 빠르게 분열하는 곳이라 함께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종종 드라마에서 암 환자들을 묘사할 때 머리카락이 빠지는 모습이나 구토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해요. 그런 모습들이 1세대 항암제의 부작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학 항암제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2세대 항암제인 ‘표적 항암제’가 등장했어요. 이 표적 항암제는 정상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암세포만 공격하기 때문에 1세대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습니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사용하면 약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어요.

 

그래서 최근에는 3세대 항암제인 ‘면역 항암제’가 주목받고 있어요. 면역 항암제는 직접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습니다. 대신 우리 몸에서 암세포와 맞서 싸우는 면역세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면역 항암제는 면역세포를 더 강하게 만들어 줄 수도 있고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피해 도망 다니지 못하도록 막아줄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는 또 어떤 항암제가 등장해 암 치료의 새로운 길을 열어줄지 기대가 되지 않나요?

 

문제 1) 다음은 이 글을 읽고 나눈 대화입니다. 글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누구인가요? 

① 은지 : 암세포가 혈관을 통해 멀리 퍼지기도 하니까 치료하기가 어렵다고 하는구나.

② 현우 :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분열 속도가 다른 점을 이용한 치료제는 1세대 항암제야.

③ 재하 : 표적 항암제는 오랫동안 사용해도 약의 효과가 유지되는구나.

 

문제 2) 이 글의 제목을 새로 정한다면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① 한국인의 사망 원인 통계 분석

② 세대별 항암제의 진화

③ 세대별 항암제 투약 사례

 

문제 3) 이 글에서 “최근에는 3세대 항암제인 면역 항암제가 주목받고 있어요”라고 설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① 암세포와 맞서 싸우는 면역세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② 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항암의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에

③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어서

 

 

정답 : 1)③    2)②    3)①

 

레서 독해력 연구실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