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마을에서 책읽기] 오동나무 거울, 혼을 비추는 고갱이

2022.12.20 09:51:44

박숙희 시집

무학산 자락, 학봉이 보이는 찻집에서 시인의 새로운 시집을 받은 날은 한파주의보가 내린 날이었다.  된바람 소리가 지나가는 동지 무렵의 겨울은 칠흑처럼 어두웠지만, 밤을 새운 그녀의 시들은 저수지의 별로, 우물 속 두레박으로 때로는 본포의 참달맞이꽃이 되었다.

 

서산대사의 마지막 게송 "삶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과 같고/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과 같구나/뜬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는 것이니/ 죽고 살고 오고 가는 것이 모두 그와 같도다"에서 뜬구름이란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우리에게 보여지는 일시적인 것이다. 그저 허공의 수증기가 형태를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이다. 밖에서 보는 우리는 다만 입자들이 모였다 흩어지기를 반복하는구나 하고 짐작할 뿐이다.

 

뜬구름은 삶의 블랙박스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모습이 감추어진 실체가 없는 뜬구름은 또한 인간 개인의 생사를 넘어 만물의 오고 감, 과거와 미래를 포함하고 있는 시간 흐름의 장소로 해석될 수 있다. 과거와 미래를 포함하고 생성과 사건의 발동기, 시의 탄생을 내포하는 공간, 삶의 배치가 일어나는 곳, 무형식과 형식의 정서가 엉켜있는 곳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시인 박숙희의 삶에 있어서 이러한 뜬구름 같은 공간, 그녀 내면의 블랙박스가 있는 공간은 어떠한 곳일까?

 

박숙희 의 시 <미티네의 가을바다>, <본포의 가을>, <용지호수의 밤>, <남해에서>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시의 배경이 되는 공간들이 강변, 저수지, 바다가 많이 등장한다. 시인이 창원의 용지호수 근처에 자라 마산 앞바다가 보이는 성지여고를 다녔고, 젊은 시절 귀산 바다 근처에서 직장 생활을 하였고, 그녀의 산책길이 낙동강의 본포 언저리이기 때문일 것이라. 시에 나타난 공간과 그 속에 녹아있는 시간의 내포는 다시 특별한 공간의 의미로 흔적을 남긴다.

 

이푸투안은 《공간과 장소》에서 '만약 공간이 방향이나 특별한 관점을 지니고 있다면 그 공간은 역사적인 곳이 된다'라고 하였다. 즉, 우리가 정신적으로 공간을 향해 움직일 때 우리는 시간 상으로 앞이나 뒤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목적 있는 행동을 할 때 공간과 시간은 의식의 표면 위로 부상하고, 별다른 특징이 없던 그곳에 감정의 교류가 일어나 마침내 삶의 장소가 되고 위안이 되고 의미가 되기도 한다.

 

철없이 피는 백목련꽃

삐걱거리는 목조계단에 떨어져

울부짖음도 간절하게 목울대 잠그면

바스라지는 손목의 뼈들 석화조각 같다

뼈가 뼈를 불러주는 뱃길 <중략>

그래요

이 봄이 다가고 있잖아요

봄에 뛰어나온 왕오색나비

깁스 내 깁스 어울만져줄 앙금의 시어

끼룩끼룩 울음 뱃길 따라 보내고

언제부터인가 몸속으로 들어와

꽃 지는 소리

아늑한 요람의 잠

흔들어 재우는군요 <귀현리에서, 부분>

 

<귀현리에서>에서 “뼈가 뼈를 불러주는 뱃길”, “해풍에 비치는 구실 포도밭 ”, “바람부는 삼귀해안선 바닷가”, “멀리 통통배 소리”, “목울대 등대”, “폐선 선창”이란 단어들이 만들어 내는 공간은 한적한 바닷가이다. 그런데 이곳은 오래전 어떤 만남이 이루어졌던 장소이고 그녀의 과거와 미래가 함께 생성시킨 공간이고, 시를 탄생한 공간이다. 이곳으로 그녀는 괭이갈매기 나는 공간의 의미를 찾아 선생님의 하모니카 선율을 보았다. 뜬구름이 만들어내는 블랙박스 흔적을 찾아 나선 길에서 그녀는 시간과 공간의 교차점에 추억과 슬픔, 현재의 이미지가 다중적으로 펼쳐진다.

 

미셸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한 문화의 기본 코드, 하나의 문화에서 언어, 인식의 도식, 교환기술, 가치 체계, 실천의 위계 등을 지배하는 코드는 각자가 상대하게 되고 다시 처하게 되는 경험적 질서를 처음부터 결정한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경험적 질서가 시인의 몸속에 그대로 체화되어 나타나는 사물이 거울이다. 거울이라는 이미지에 덧붙여 그것은 오동나무의 거울인 것이다. 오동나무라는 고전적이고 아름다운 푸른 나무는 그녀의 몸속으로 옮아와 그녀 자신이 거울이 되어 사물을 비추고 있다.

 

오동나무라고 쓴 그대 이름 곁에서

어린잎들이 바람의 어깨를 짚는다

 

오동나무는 몇 살이나 되었을까

악기가 될 나이는 언제쯤일까

 

바위틈에서 자라 물의 흔적을 마시는

오동나무 곁에서 나 주인인 듯

오래 머물 생각의 의자를 놓아둔다 <오동나무 거울 ‧ 1, 부분>

 

시인은 ‘오래 머물 생각의 의자’를 오동나무의 곁에 두고 주인인 듯 앉아 있다. 오동나무는 혼인할 때 가져가는 반닫이나 미닫이 장을 만드는 재료이다. 그리고 이 장들은 여인의 손길을 받아 반질반질 윤이 나게 닦여져서 자신의 얼굴을 비출 수 있게 되는 소중한 물건이다. 그런데 이 시에서 그녀는 오동나무의 실질적 주인은 아니다. 그대라는 이는 오동나무의 이름이고 주인이다. 주인이 아닌 그녀가 그대 앞에서 주인처럼 살고있는 것이리라. 그리고 그 앞에서 그녀의 생각은 오랜 닦음으로 거울이 될 때까지 또 하나의 나무가 키운다. 이러한 겹겹이 쌓인 내면이 표출한 주된 이미지가 오동나무 거울로 상징화된 것이다. 잘 닦아 윤이 나는 오동나무 거울은 어렵고 힘든 현재를 걷어내어 보석처럼 찬란하고자 하는 영혼의 고갱이다. 

 

박숙희 시인의 시는 진화하는 중이다. 두 번 째 시집 《오동나무 거울》은 다음 시집을 나아가기 위한 노둣돌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녀가 가진 시적 잠재력은 오동나무가 천년의 시간을 그리워하듯 푸른 잎을 피워올릴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런 나의 생각을 뒷받침하는 젊은 시가 <고양이가 쥐를 잡는 이유>이다. 시인의 시는 젊음의 향기를 품어내고 있다. 그녀의 손에서 피어날 푸른 시를 기다린다.

 

사랑을 하였더라

 

나는 타우린 성분을 채취하기 위해 고양이 발톱이 되는 정오를 기다린다 심장의 박동수 24K를 원하고 정오를 기다린다 3시가 되길 기다린다 빨래줄에 걸어 두고 갈 만큼의 무게로 포기각서 말한다

 

오줌을 갈기는 소리 알 수 없는 바람이 불을 불러 모으고 기다린다와 말한다의 사이에 바람은 바위를 안고 세상을 잃어 가고 있다 그 속에서 자란 비밀은 24K로 변해 세상을 잃어 가고 있다 (중략)

 

나는 그런 사랑을 하였더라 <고양이가 쥐를 잡는 이유, 부분>

 

 

이선애 수필가, 경남 지정중 교사 sosodang@naver.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