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식으로 수업하고 논술형으로 평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 IB(국제 바칼로레아)가 공교육에서 확대되고 나아가 대입시에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과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산시교육청, 대구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IB, 공교육 도입 의의와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사진)를 갖고 4차 산업시대의 사고력과 창의력 높은 인재 육성을 위한 IB 확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은 “IB는 교육계에서 논의하고 있는 ▲교육과정 대강화 ▲교과서 자유발행제 ▲수능 객관식 폐지 및 절대평가화 ▲교사별 평가 ▲비판적 창의적 교육 등의 이슈가 모두 포함된 시스템”이라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교사가 직접 만들고, 교사에게 교과서 집필 기회를 주고, 창의적으로 교육을 하게 한다는 측면에서는 ‘교권 선진화’요소까지 포함된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현재 IB 교육 방식이 수능과 괴리 된 측면이 제도 확대를 어렵게 한다고 이 소장은 지적했다.
참석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대입시 개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견을 같이했다.
조현영 인하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정답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을 하고 답을 찾아가는 IB 교육은 최상의 미래교육 모델이지만 현실적으로 대입시와 괴리가 있어 정착에 어려움이 있다”며 “정책과 제도를 통해 거시적 평가 모델을 만드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오현 서울대 교수는 “현 시스템상 IBDP(IB 디플로마 과정) 이수 학생들도 국가에서 인정한 교육과정 이수자이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된다”며 “정시 지원이 가능하도록 성적조견표 활용,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면제, 대학별 대체 평가제도 도입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이를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서 대입전형 기본사항에 관련 문구를 포함해 줄 것을 방법으로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를 공동 주최한 하태경 의원은 “미래사회를 주도할 인재에게 요구되는 사고력과 창의력 등의 함양을 위해서는 IB 검토가 필요하다”며 이달 안으로 IB 교육과정에서 나온 점수를 대입 정시에 반영할 수 있는 법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IB(국제 바칼로레아)=스위스 제네바 국제 학위협회가 인증하는 국제 공인 교육프로그램으로 1968년 각 나라에서 모인 UN 주재원의 자녀들이 해당 국가의 대입에서 인증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원 프로그램이다. 과정에 따라 3~12세의 초급과정, 11~16세 중급과정, 16~19세 디플로마과정이 있으며 디플로마과정이 국제 대학입학 자격 과정이다. 교육은 자기주도형 탐구학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추구하며, 토론식 수업과 논술 또는 구술형 평가로 이뤄진다. 세계적으로 159개국에 5725개교가 IB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우리나라는 32개교가 이 과정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