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에 지치는 여름철, 도시의 인공 불빛을 피해 조금만 외곽지대로 발길을 옮겨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아름다운 별자리들이 보석처럼 빛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름철 별자리에는 거문고자리·독수리자리·백조자리·화살자리·여우자리·방패자리·돌고래자리·헤라클레스자리·전갈자리·뱀주인자리·뱀자리·궁수자리가 있다.
별자리 기원은 세계 최초의 문명을 이룩한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인은 황도 12궁 별자리를 만들었고, 이후 고대 그리스인이 그리스 신화 속 신과 영웅, 동물들의 이름을 붙인 별자리들을 추가했다. 사실 한 별자리에 있는 별들끼리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별의 위치를 보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서 별을 몇 개씩 묶어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과 연관시키면서 별자리가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에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결합되어 매혹적인 별자리 신화도 탄생했다. 별자리에 담긴 이야기를 떠올리면서 밤하늘을 바라본다면, 잠시나마 꿈결 같은 세계를 상상하며 휴식의 시간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백조자리 _ 별자리로 박제된 레다와 제우스의 사랑
백조자리(Cygnus)는 한여름 밤 머리 위로 높이 지나가는 십자가 모양의 별자리다. 어두컴컴한 심연의 밤하늘을 꿈같이 흐르는 은하수를 따라 거대한 백조가 날개를 활짝 펴고 유유히 날아가는 듯한 모양새다. 최근에는 나사(NASA) 외계행성 탐사팀이 지구에서 1,4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에서 지구를 닮은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하기도 했다. ‘케플러-452b’는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제2의 지구로 추정된다. 우리가 상상조차 하지 못하는 어떤 외계 생명체가 그곳에 살고 있을까?
한 별자리에서의 별들은 그 밝은 순서에 따라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하여 알파별(α별), 베타별(β별), 감마별(γ별), 델타별(δ별), 엡실론별(ε별)이라고 한다. 백조자리의 알파별은 데네브(Deneb)다. 백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데네브는 ‘암탉의 꼬리’라는 뜻을 가진 청백색 초거성으로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α성)이다. 백조의 부리 부분에 해당하는 두 번째 밝은 별(β성) 알비레오(Albireo)는 ‘부리’라는 뜻이다. 백조자리의 별들은 십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북십자성이라고도 불린다.
백조자리의 데네브는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Altair), 거문고자리의 베가(Vega)와 함께 거대한 삼각형을 이루는데, 이것이 바로 여름의 대삼각형이다. 이는 여름철의 별자리들을 찾는 데 길잡이로 이용된다.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백조자리는 제우스가 백조로 변신한 모습이다. 제우스는 아리따운 여인들만 보면 인간 여자와 여신을 가리지 않고 바람을 피우는 천하의 난봉꾼 신이었다. 그의 아내 헤라는 항상 매의 눈으로 제우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했고, 제우스는 헤라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흰 소·소나기·구름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해 여성들에게 접근하곤 했다.
스파르타의 왕 틴다레오스의 아내 레다가 백조를 사랑한다는 사전 정보를 얻은 제우스는 이번엔 백조로 탈바꿈하여 그녀와 사랑을 나누게 된다. 백조자리는 제우스가 레다와의 사랑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별자리다. 미술사에서 레다와 백조는 레오나르도·미켈란젤로·루벤스 등 수많은 화가에 의해 그려졌다. 화가들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 본능인 성애의 주제를 담은 레다와 백조 이야기를 사랑했다. 루벤스가 그린 ‘레다와 백조’는 백조로 변신한 제우스가 레다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을 에로틱하게 묘사하고 있다.
독수리자리 _ 미소년 가니메데스를 납치하다
백조자리의 남쪽에 여우자리·화살자리·돌고래자리를 사이에 두고, 날개를 펼친 형상의 독수리자리(Aquila)가 있다. 독수리자리 알파별인 알타이르는 은하수 건너편의 직녀성과 맞은편에 놓여 있는 밝은 별이어서 견우성으로도 불린다. 사람들은 별의 강을 사이에 두고 견우와 직녀가 서로를 향해 애틋한 마음으로 반짝거리고 있다고 상상했다. 독수리자리의 명칭인 ‘아퀼라’는 제우스가 부리는 독수리의 이름을 딴 것이다.
아퀼라는 제우스가 던진 번개를 되찾아오는 일을 수행했고, 양치기 미소년인 가니메데스를 납치하기도 했다. 이리하여 가니메데스는 올림포스 신들의 술 시중을 드는 시종으로 일하게 되었다. 한편 독수리자리는 헤라클레스의 12가지 임무 중 하나인 스팀팔로스의 새 죽이기 이야기에 나오는 그 괴물새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하고,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계속 파먹어 괴롭히는 독수리로 여겨지기도 한다.
거문고자리 _ 음유시인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거문고자리(Lyra)는 한여름 밤 북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이 별자리의 알파별인 베가는 북쪽 하늘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며, 전체 밤하늘에서는 네 번째로 밝다. 지구로부터 25.3광년 떨어져 있는 청백색의 별로서 동아시아에서는 직녀성으로 불린다. 거문고자리에서 알파별인 베가를 꼭짓점으로 작은 삼각형이 있고, 그 남쪽방향으로 평행사변형이 이어져 있어 고대 그리스 악기 리라 모양을 떠올리게 한다. 베가의 남쪽으로 은하수 건너편에 알타이르가 보이고, 북동쪽으로 이 두 별과 함께 여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백조자리의 데네브가 보인다.
거문고자리에서 거문고는 서양악기인 리라를 우리 악기로 번역한 것이다. 거문고자리는 ‘여름밤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아름답게 반짝반짝 빛나는 알파별 베가 덕분에 오래전부터 동서양을 불문하고 많은 사랑을 받았다.
별자리를 올려다보며 우리 조상은 직녀와 견우의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를 만들어냈고,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아름다운 음악을 연주한 오르페우스의 악기 리라를 상상했다. 한여름 밤, 잠시 걸음을 멈추고 고개를 들어 거문고자리를 찾아보며 때로는 직녀가 베틀을 돌리고 있다고 생각해 보고, 때로는 오르페우스가 연주하던 황홀한 선율과 그들의 사랑 이야기를 떠올려 보는 것은 어떨까?
오르페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시인이자 음악가다. 아폴론과 뮤즈(musai) 중 하나인 칼리오페의 아들이다. 아폴론에게서 리라 연주를, 어머니한테는 시와 노래를 배워 음악적으로 신의 경지에 이르렀고, 그가 연주하면 숲의 동물이 주위에 모이고 나무와 바위까지 귀를 기울였다고 한다. 오르페우스는 숲의 요정 에우리디케를 매우 사랑하여 결혼했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않았다. 어느 날, 에우리디케는 다른 요정들과 함께 푸른 풀밭에서 봄꽃을 따며 놀고 있었는데, 무성하게 자란 풀숲에 숨어 있던 뱀을 밟아 물려 죽고 말았다.
그토록 사랑하는 아내의 차가운 시신을 부여잡고 애도하던 오르페우스는 죽은 영혼들의 세계로 내려가기로 결심한다. 음악으로 스틱스강의 뱃사공 카론을 감동시키고, 머리 셋 달린 저승의 수문장 케르베로스를 달래며, 마침내 지하세계로 들어갔다.
오르페우스의 연주에 감동을 받은 페르세포네의 간청에 마음이 움직인 하데스는 에우리디케를 살려주는 대신 지상에 이를 때까지 절대로 뒤를 돌아다보지 말라는 조건을 붙였다. 앞장서 가던 오르페우스는 지상에 이르기 직전 아내가 과연 뒤쫓아 오는지 의심한 나머지 뒤를 돌아보고, 에우리디케는 연기 사라지듯 다시 죽음의 세계로 이끌려 가버렸다.
실의에 빠져 삶의 의지를 잃은 오르페우스는 리라를 연주하며 슬픔의 나날을 보낸다. 한편 그의 음악에 반한 디오니소스의 여사제들이 주변을 맴돌며 구애하지만, 오르페우스는 눈길도 주지 않았다. 그러자 격분한 여자들이 그를 죽여 목을 자르고 시신도 갈기갈기 찢어 강에 버렸다. 이에 제우스가 그의 음악을 기리려고 리라를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