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기의 교단춘추] 교수의 수업권 침해와 대응책

2024.03.05 10:30:00

2023년 가을학기 강의를 시작할 때, 의대 등 다른 대학 진학을 위해 수능 준비를 하는 학생들이 여럿 있다는 소문이 들렸다. 첫 강의에서 “재수를 생각하는 학생들은 아예 내 수업에 들어오지 말라”고 강하게 이야기했다. 괜히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악영향을 주고, 자신들의 시험공부에도 보탬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를 대었다.

 

교무처에 연락하여 다른 교수들 수업에서도 이런 학생이 없도록 전체 공지가 나가도록 했다. 내가 담당한 강의 중에서 한 반은 25명 중 7명이, 다른 반은 25명 중 5명이 다음 수업부터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수강신청을 철회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성적을 매기며 보니 이름이 남아 있었다. 모두 F 처리를 했더니, 그 탓인지 몰라도 역대 가장 낮은 강의 평가 점수가 나왔다. 하지만 평가와 무관하게 다음 학기에도 원칙대로 강하게 진행할 생각이다. 


강의 평가가 낮더라도 일정 점수 이상만 취득하면 되는 정교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강사의 경우에는 점수가 낮으면 다음 학기부터 강의를 맡기지 않는 대학들도 있다. 이 때문에 강사들은 학생들의 요구나 반응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를 알고 있는 학생들이 강사를 상대로 수업 부담 감축을 포함한 무리한 요구를 하는 등의 수업권 침해는 대학 내 공공연한 비밀이다. 때로는 정년보장을 받지 못한 부교수나 조교수들도 은근한 압박을 받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 대상의 폭력이나 교사의 수업 및 생활지도 어려움은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지만, 대학 교수의 수업권 침해는 아직 사회적 이슈가 되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에서 발생한 두 가지 사건을 바탕으로 대학 수업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해보고자 한다. 

 

#01_엄격한 수업 진행 교수 해고
유기화학 분야 최고의 권위자이며, 우수강의상 수상은 물론 뉴욕대학에서 가장 멋진 교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던 메이트랜드 존스(Maitland Jones Jr.) 교수가 2022학년도 봄학기를 끝으로 대학에서 해고되었다. 그는 2007년 프린스턴대학을 은퇴한 후, 1년 단위의 계약직 교수로 뉴욕대학에서 재직 중이었다.

 

2021년 봄학기에 대면수업을 진행했는데 수강생 350명 중 82명이 그의 해고를 원하는 청원을 대학에 제출했다.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핵심은 가르치는 내용이 너무 어렵고, 그 결과 학점이 너무 낮게 나온다는 것이었다. 이 과목의 낮은 학점 때문에 의전원 진학이 어렵게 된 것이 청원 제출의 핵심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학 학장이 학생들 성적을 조정하거나 소급하여 수강신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 주로 의사가 될 학생들이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기에 낮은 학점을 주었고, 유기화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훌륭한 의사가 될 수 없으며, 그들이 환자를 치료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않기에 자신의 결정을 철회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차제에 가르치는 일을 그만둘 생각인데, “이런 일이 다른 사람에게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20여 명의 화학과 교수들이 그의 해고에 반발하는 탄원서에 서명했다. 그중 한 명인 나타니엘 트라셋(Nathaniel J. Traaseth)은 학생들의 탄원서 제출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내려진 이번 조치는 교수들이 엄한 기준에 따라 수업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며, 정년보장을 받지 못한 교수들의 교육활동이 특히 더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Saul, 2022). 이는 우리나라 강사들, 그리고 정년보장 이전의 조교수나 부교수들에게도 적용되는 우려이다. 

 

#02_수업 수칙 준수 거부한 학생 때문에 사직서 제출한 교수
2021년 8월에는 미국 조지아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어윈 번스타인이 수업 도중 마스크 착용 때문에 사직하였다. 번스타인 교수는 ‘고급 심리학 세미나’ 강의를 개설하면서 ‘수업 중에 마스크 미착용 학생이 있으면 수업을 진행하지 않는다’는 수칙을 제시했다.

 

그런데 한 학생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수업에 임했고, 지적하자 다른 학생이 건넨 마스크를 착용했으나 숨쉬기가 힘들다며 코를 내놓았다. 이에 바르게 착용해달라고 재차 요구했으나 듣지 않자 바로 강의를 중단하고 사직서를 제출했다(문지영, 2021). 기사 내용을 좀 더 들여다보니 그의 나이가 88세, 우리 나이로 하면 구순이다. 

 

대응책❶ _ 교수의 수업경영 역량 증진 필요
미국 대학은 종신제이기 때문에 종신을 보장받은 교수는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 한 대학이 해고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고령의 교수들이 많다. 위에서 든 두 사례도 고령의 교수이다. 어쩌면 고령의 교수가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 주위의 젊은 교수들마저도 요새 학생들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말을 자주 하는 것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정년이 코앞인 한 여교수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20대 때 교수가 되었는데 자신은 늘 하이힐을 신고 다녔단다. 연구실은 계단 옆 3층이고, 강의실은 계단 옆 2층인데 1980년대에는 수업하러 연구실을 나서서 또각또각하는 소리를 내며 몇 걸음만 이동해도 2층 강의실이 조용해지더란다. 1990년대가 되니 거의 강의실 앞까지 도착했을 때 떠드는 소리가 사라지고 강의실이 조용해졌단다.

 

2000년대가 되니 강의실 문을 열고 들어가야 떠들기를 멈췄고, 2010년대가 되니 교탁 앞에 서서 5초 이상 학생들을 바라보고 서 있어야 조용해지더란다. 지금은 강의를 시작할 테니 조용히 하라고 이야기해도 떠들기를 멈추지 않는단다. 교수 권위가 추락하는 모습이 눈에 그려진다. 


총장 시절 수업 중에 강의실을 둘러본 적이 있다. 잠자는 학생들을 그대로 둔 채 강의하고 있는 교수들이 있어서 내게는 충격적이었다. 나중에 물어보니 떠드는 학생들보다는 더 낫기에 그냥 둔다고 했다. 지금은 교수라는 직위가 주는 권위는 사라진 시대이다. 교수가 그 분야의 최고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수업 중에 학생들이 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려면 MZ세대에 적합한 수업경영역량을 갖춰야 한다. 과거의 순종적이던 학생을 잊고, 요즈음 학생들을 이해하며, 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주어야 한다. 물론 비교육적인 방식으로 학생들과 타협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이들이 교수의 기대 수준에 맞게 열심히 하도록 교육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학습동기를 부여해야 하며, 삶을 어루만지는 소통도 해야 한다. 박남기(2017)의 <최고의 교수법>은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는 교수(교사)들에게 보탬이 될 것이다. 

 

대응책❷ _ 교수 수업권 침해예방 및 처벌제도 마련
자신의 불안정한 지위, 학생들의 태도를 핑계 삼아 교수가 가르쳐야 할 내용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학생들과 타협하며, 비위를 맞추는 방식으로 수업을 대충 진행하면 학생들은 배워야 할 것을 배우지 못한 채 졸업하게 될 것이다. 포기하면 교수 마음도 편하고 학생도 편하겠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대학 무용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태 예방을 교수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기보다는, 대학과 정부 차원에서 학생들이 교수들의 수업권을 침해하는 행위가 어떤 것인지를 명확히 규정하고, 침해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법과 학칙을 정비할 때가 되었다. 


교사들은 평가받는 것을 거부하고 있지만, 대학에서는 교수 강의 평가가 엄격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그 결과가 성과연봉에까지 반영되고 있다. 강의 평가가 가져온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역작용도 커지고 있다. 현시점을 기준으로 그 효과와 문제점을 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재정립해야만 대학교육이 바로 설 수 있을 것이다.
 

 

박남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