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수업컨설턴트 양성이 학교 컨설팅 성공의 핵”

2009.04.13 16:21:31

컨설턴트 1300여 명 배출해낸 조동섭 경인교대 교수

대학 특성화 사업 일환으로 2004년부터 올 2월까지 경기․인천 교육청과 함께 1300여 명의 학교컨설턴트를 양성, 배출해 낸 조동섭 경인교대 교수. 조 교수는 “멘토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학교컨설팅이야말로 현장 중심의 교육개혁 패러다임”이라며 “학교컨설팅은 교육 현장이 앞장서 변화를 모색하고 교육행정기관이 현장의 노력을 격려․지원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학․연수 등과 달리 수평적 신뢰관계 기본
기관 협력 통해 양성 과정 더 많이 개발돼야


- ‘컨설팅’이란 용어는 많이 쓰이지만 '학교컨설팅‘이란 용어는 생소한 편인데요. 학교 컨설팅은 어디까지며 무엇을 포함하는 용어인지 그 개념이 궁금합니다.



“간혹 장학과 연수 등 기존 교원전문성개발활동과 학교컨설팅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분명히 다른 활동입니다. 학교컨설팅의 영역은 포괄적이며, 진행 절차와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관계 설정도 다릅니다. 장학에서는 장학사 또는 교장 등과 교사는 상․하급자 관계가 확실합니다. 그러나 컨설팅에서는 관계가 수평적이며, 의뢰인이 원하는 바를 컨설턴트에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전문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관계인 것이지요. 따라서 교원 스스로에 의한 학교개혁이라는 보다 거시적 틀 속에서 학교컨설팅을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 서울은 ‘고교선택제’ 발표 이후 교육청 주도로 일부 학교에 컨설팅이 실시됐습니다. 타 시도교육청에서도 컨설팅이 실시되고 있지만, 현장이나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는데요.

“학교컨설팅은 시작 단계입니다. 수업분야를 특화하고, 수업컨설턴트를 양성해 교원들이 서로 전문적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업지원단을 만든 교육청도 있습니다(서울시수업지원단). 최근에는 교육청에서 5개 영역별 컨설팅 팀을 구성하고 3~4명의 컨설팅 팀을 학교에 파견, 학교의 과제를 해결해 주는 방식의 컨설팅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부산시남부교육청). 과정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학교컨설팅을 통해 교사들 간의 전문적 지원체제 구축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까요.

“현재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학교컨설턴트 인력풀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들이 교과별로 컨설팅 영역별로 전문성 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수업지원단의 예를 들면, 학교급별, 교과별로 형성된 수업지원 단원들이 온라인을 통해 자료를 공유하고 컨설팅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컨설턴트교사집단에 대한 전문 지원체제를 구축했습니다. 또 이들의 전문지식은 컨설팅 과정 속에서 의뢰교사와 학교 교원들에게 전수됩니다. 즉, 컨설팅 그 자체가 전문적 지원체제인 것입니다. 원활한 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만으로도 전문적 지원체제는 구축된다고 봅니다.”

- 학교와 교실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처방을 제시하는 전문가 양성은 중요합니다. 전문 컨설턴트 양성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요.

“컨설턴트의 전문성 함양은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 학교컨설턴트 양성 과정 및 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개설되고 있습니다. 2007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연수원이 주최하고 한국학교컨설팅연구회이 주관하는 총 30시간의 ‘학교컨설턴트양성과정’이 개설됐으며, 2008년에는 전주교대교육연수원이 총 60시간의 ‘수업컨설턴트양성과정’을 개설했습니다. 이외에도 각 시도 수업지원단에서 연수와 워크숍 등을 통해 전문성 함양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양성과정은 부족합니다. 연수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더 많은 과정이 개발돼야 할 것입니다.”

- 컨설팅은 과정도 중요하지만 그 결과를 받아들이고,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후관리 등 학교와의 지속적 관계 정립 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요.

“컨설팅은 계약 기간이 끝남과 함께 종료됩니다. 잘 된 경우는 사후 관리 없이 돌아가지만 모든 경우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민간연구단체의 사례를 보면, 추후 컨설팅을 미리 계약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해결방안의 수행과정을 컨설팅하는 수행컨설턴트를 투입하거나, 학교 내부에 제시된 해결방안을 수행할 수 있는 교원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교육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기적 세미나나 월례회 등을 개최해 관심 있는 교사들이 동아리 형식으로 활동하면 담당 교원 전근으로 인한 컨설팅 효과 감소부분도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혜정 hjkara@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