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세우기식 평가는 하지 않습니다”

2011.08.26 18:53:11

그라함 스툽(Graham Stoop) 뉴질랜드 교육평가청장

‘질책’ 아닌 ‘협력’ 통한 ‘질 개선’ 목적
원칙 입각한 학교별 맞춤형 평가 실시


“아이를 모든 문제의 중심에 두어라.”



24, 25일 개최된 ‘KEDI-ERO 학교평가 국제세미나’ 참석을 위해 방한한 그라함 스툽(Graham Stoop·사진) 뉴질랜드 교육평가청장은 ERO(Education Review Office)의 슬로건을 서두로 꺼내며 학교의 존재 이유는 학생에 있다고 잘라 말했다.

“뉴질랜드의 학업성취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우수하지만 마오리족 등 소수민족과 저소득층의 성취도는 상당히 낮습니다. 이러한 격차를 좁혀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 평가의 초점입니다.”

학교평가의 제1원칙이 교육기회와 결과의 평등이라는 설명이다. 스툽 청장은 “투명하고 협력적이며 건설적인 평가 능력 구축 또한 뉴질랜드 평가의 원칙”이라며 “평가를 위한 평가가 아닌 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평가의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평가를 위해 특별한 수업을 준비하도록 하는 등 어떠한 겉치레도 하지 않습니다. 잘했다 잘못했다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점을 찾아 어떤 지원이 필요한 지를 충분한 대화를 통해 확인하고 학교 상황에 맞게 맞춤형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지요.”

스툽 청장은 “평가와 진단이 정확해야 적합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만큼 학교나 평가기관 모두 정직한 자료를 내놓아야 한다”며 “평가는 정확성과 신뢰도가 생명이기 때문에 220명 ERO 직원들에게 항상 준법정신에 입각해 원칙과 정직, 불편부당의 자세를 견지하도록 주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학생의 학습과 성취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책무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 평가를 하는 것입니다. 평가청에서 마련한 지표에 따라 자체평가를 잘 하는 학교에 대해서는 외부평가의 비중을 줄이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스스로 잘하는 학교에게까지 외부평가를 강요할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한국의 경우 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있기도 하다고 들었다”는 스쿱 청장은 “개별 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되 경영 성과는 철저히 평가하고 그에 맞는 처방을 내려 학교가 실패하지 않도록 돕는다면 그러한 생각들은 점차 사라질 것”이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뉴질랜드의 평가관들은 항상 교사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은 학교와 학생에 대해 무엇을,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그래서 어떻다는 것이며, 왜 그것이 중요합니까? 그렇다면 이제 선생님은 어떻게 해야 하며, 다음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아주 원론적인 물음이지만 교사가 늘 이 질문을 가슴에 품고 학생과 학부모를 대한다면, 질 높고 우수한 성취를 이끌어내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생각합니다. 평가는 여기에 따라오는 결과일 뿐이지요.”

뉴질랜드 교육평가청(ERO: Education Review Office)은 2600개 초·중등학교와 4300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를 전담하는 교육부 산하기관으로 모든 학교는 3년에 한 번씩 ERO의 평가를 받는다. 평가 영역은 ▶학생의 학업 성취도·진학률·결석률 ▶교사 교습법 ▶교장 리더십 ▶학교운영위원회의 경영 능력 ▶학부모·지역사회의 참여 ▶학생 안전과 학교 문화 등 6가지다. 평가 결과는 ERO 홈페이지(www.ero.govt.nz)와 각 학교에 배치된 평가보고서를 통해 공개된다.
서혜정 hjkara@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