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는 북침이 기정 사실
격차 큰 교육 문제 해결 위해
이탈주민 대상 선행연구 절실
“선생님은 북에서 오지 않았나? 조금 전 역사수업에서 6․25는 북에서 공산군이 침공한 전쟁이라고 하는데 진짜로 그런지 답해보시오.”
채경희(42·
사진) 서울 삼흥학교 교장이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하나원 내 하나둘 학교에서 근무할 당시 수업에 들어가자마자 학생들에게 받았던 질문이다.
북한에서 8년간 교사생활을 한 후 탈북한 채 교장은 “20여명이 모두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는 표정으로 노려보더라”며 “수십 년 동안 북침으로 배워왔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남침이라고 믿으려고 애써도 처음에는 스스로도 믿어지지 않았다”고 했다.
이런 경험 때문에 채 교장은 통일 이후를 고민하게 됐다. 그는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가치를 다 수용하겠다는 생각으로 목숨을 걸고 탈북한 사람들이 이 정도인데, 통일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다가왔을 때 북한의 교사나 학생들이 이 격차를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가 내린 결론은 지금부터 다르게 배우는 부분에 대한 논리가 구구절절 준비돼야 한다는 것. 그는 “오늘 당장 남침을 믿으라고만 해서는 납득시킬 수가 없다”면서 “세계의 전쟁사에서 침공을 받은 쪽이 후퇴를 하는데 북한이 신의주로 후퇴한 것이 아니라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한 것은 모순이라는 설명을 하자 조금 수긍하는 듯했다”고 말했다.
차이가 있는 부분은 6·25 기술만이 아니다. 채 교장은 “교육내용의 차이는 단순히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원의 문제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통일 이후에는 없어질 ‘김일성동지혁명력사’ 전공교사 수만 명을 예를 들며 이들의 재교육과 북한에는 없는 교과의 교원수급 문제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격차가 큰 교육행정시스템도 문제다. 북한은 교감 대신 ‘부교장’이 있다. 명칭만 다른 것이 아니라 역할도 다르다. 부교장은 당세포 비서(최하위 당조직 책임자)로서 교장의 교육활동을 감시·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채 교장은 “통일 이후 이런 교육행정시스템과 교원제도의 차이가 충돌의 요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20만 명 교사와 800만 명 아동청소년의 정서를 무시하고 남한 교육체제를 그대로 이식한다면 강한 반발이 있을 뿐 아니라 받아들여지지도 않을 것”이라며 “교육통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 교장은 2만5000명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연구를 제안했다. “북한이탈주민 중 교사 170명과 학생 3000명이 있는데, 저희들을 리트머스 시험지로 삼아 통일 이후의 첨예한 교육현장을 이끌 방안을 검증해 보고 정책을 만들어주세요.”
▨삼흥학교=북한이탈주민들 스스로 육아․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설립해 운영하는 북한이탈주민 대안학교. 초등생 연령에 해당하는 8~13세 아동을 대상으로 기숙형 방과후학교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