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내용·학생발달단계보다
교원수급·타교과 편성 고려
예체능 제외 허용 후에도
교육효과와 무관한 편성
집중이수제가 학습부담 경감 효과가 없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또 예체능을 집중이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된 2013년에도 여전히 교육효과에 대한 고려보다는 행정적인 이유로 집중이수 편성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태제) 주최로 27일 평가원 녹번동 분원에서 열린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개선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이승미 부연구위원이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집중이수대상 교과 담당교사 685명 중 2011~2012년 본인의 담당 교과가 집중이수 편성이 된 경험을 한 교사는 574명(83.8%)이었다. 이들 중 집중이수가 학습부담 경감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2.4%(473명)에 달했다. 기여했다는 응답은 10명 중 1명도 안 되는 9.2%에 그쳤다. 학습의 질 제고(8.7%),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확대(12.5%), 교수·학습방법 개선(11.5%), 평가의 질 제고(9.4%)에 기여했다는 교사도 별로 없었다.
반면, 대부분의 교사들이 진도 조절이 어려워지고(83.1%) 수업 준비 부담이 늘었다(80.3%)는 문제점을 호소했다. 학생들도 1047명 중 601명(57.4%)이 ‘교과수는 줄었으나 범위가 많아서 부담이 됐다’고 응답해 학습부담 경감 효과가 없다는 교사들의 지적이 사실임을 드러냈다.
이런 문제점들로 인해 2012년 7월 음악·미술·체육을 집중이수 대상 교과목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결정한 뒤 편성된 2013년 교육과정 운영은 좀 수월해졌을까. 연구결과 집중이수 편성은 감소했다. 담당 교과가 집중이수로 편성된 교사는 257명(37.5%)에 그쳤다. 담당 교과가 집중이수로 편성되지 않은 428명의 교사 중 259명(60.5%)는 ‘의미있는 학습효과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을 집중이수 편성 제외의 주된 이유로 제시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적 효과보다는 행정적인 이유로 집중이수 대상 교과를 결정하는 사례가 많아 집중이수제가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운영되지 않는 현실을 드러냈다. 교사들의 대부분은 집중이수 실시 여부와 시기를 학생의 발달단계(43.9%)나 교과의 교육내용(33.9)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교육청의 집중이수 편성 권고(39.7%)’와 ‘타교과와의 관계 고려’(30.4%), ‘교원수급 상황(13.6%)’이 편성의 주된 이유였다. 의미있는 학습 효과 때문이라는 응답은 7%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