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직교사 구하려 교사초빙
20대 교사에게 떠맡기기도
“업무경감·수당현실화 필요”
경기도의 A교사는 새로 발령받은 학교에 오자마자 부장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학교 사정에 익숙지 않아도 경험이 많은 교사라면 있을 수도 있는 일이다. 그런데 A교사가 당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자신이 26세의 3년차 교사였기 때문이다. 이유는 ‘부장을 맡을 사람이 없다’는 것이었다.
이런 일은 A교사 혼자만 겪고 있는 상황이 아니다. 현장에서 담임 기피에 이어 부장 기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교장이 거의 구걸하다시피 해서 부장을 맡긴다”며 “부탁해서 억지로 자리를 떠맡겼으니 업무를 추진할 때마다 사정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그는 “승진을 포기한 4~50대 교사들에게 그런 현상이 더 두드러진다”며 “승진가산점만으로는 부장을 맡을 교사를 구할 수 없다”고 했다.
대구의 한 중학교 교장도 “일부 학교는 교장이 부탁을 해도 보직교사를 희망하는 교사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경력이 적은 교사에게 부탁하기도 한다”면서 “지난해에는 보직교사 근무를 조건으로 외부에서 교사를 초빙해왔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했다.
물론 공·사립, 학교급, 교원 구성, 학교풍토와 지역적 여건 등에 따라 차이는 있다. 어느 학교는 업무도 많고 시간표 조정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와 불만도 많아 교무부장이 기피보직이라면, 반면 다른 학교에서는 승진에 도움이 되는 교무·연구부장이 그나마 구하기 쉬운 편이다. 보직과 상관없이 지역적 여건 때문에 중견교사 자체가 부족한 경우도 있다.
상황이 다른 만큼 부장 기피 현상의 원인에 따른 해결 방안도 다양하지만, 주로 업무경감, 수당 현실화, 승진제도 개선 등을 들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부장교사는 “업무량과 별개로 수당이 너무 적다”며 “일은 3~4배를 하는데, 최소한 2~30만 원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의 한 고교 부장교사도 “함께 일하는 교사들과 협의회라도 할 수 있도록 운영비라도 준다면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12년째 7만원으로 동결된 보직교사 수당의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업무경감이 가장 절실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50만원을 준다고 해도 부장을 기피하는 현상이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며 “가장 근본적으로는 업무를 경감시켜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 연구부장을 맡았던 서울 B초의 C교사도 “학교에서 허리 역할을 할 연차가 돼서 부장을 맡았는데 업무전담팀을 운영하다 보니 부장교사의 업무가 더 늘었다”며 “행정을 하기 위해 학교에 오는 게 아니라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오는데 업무 때문에 학생들에게 소홀해질 지경이 되니 교사로서 정체성이 흔들렸다”고 했다. 그는 “우선 잡무를 줄이고 행정보조인력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 D중의 E교사는 승진제도 개선을 주장했다. 그는 “시·도마다 다르겠지만 서울의 경우 담임과 보직교사 가산점이 분리되면서 승진을 위한 8년 치 보직교사 가산점을 다 딴 교사들은 오히려 부장을 포기하고 담임을 맡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담임 가산점과 부장 가산점을 분리시키는 바람에 승진을 위한 담임가산점도 필요해져 보직교사 가산점이 메리트를 잃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