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양성과정에서 감정근로 대처법 가르쳐야”

2014.04.18 10:02:35

마가렛 커 美 피츠버그대 교수


교사 감정근로 4년째 연구 중
“교사가 서비스직보다 심각해
하루 종일, 학년 내내 시달려“

절반 가까운 교단이탈 주원인
학생 정서와 학업에도 악영향
상담체계 마련·심층연구 필요

“감정근로는 모든 서비스업종에서 발생하지만 교사들은 다른 서비스업종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감정근로의 강도는 높은데 비해 감정근로에 대처하는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4년간 조지메이슨대와 공동으로 교사 감정근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마가렛 커 피츠버그대 교수(63·사진)는 흔히 감정근로자로 인식되고 있는 일반 서비스업종보다 교사들의 상황이 더 열악하다고 강조했다.

그가 교사들의 감정근로 여건이 더 열악하다고 있다고 주장하는 데는 근거가 있다.

첫째는 다른 서비스업종에서 감정근로를 유발하는 대상은 한 번 스쳐지나가거나 단시간 만나는 사람인데 비해 교사들은 학교에 출근하는 순간부터 학생들을 만나고 하루 종일, 1년 내내 함께 지내면서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커 교수는 “최근에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교사들은 매일 일정 정도의 감정적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교사들의 감정근로 스트레스의 강도를 설명했다.

둘째는 교사들은 한 종류의 ‘고객’만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학부모, 학생, 관리자, 동료교사 등 완전히 다른 부류의 사람들을 상대로 감정근로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복잡다단한 구조 속에서 커 교수의 연구팀은 대다수의 교사들이 한 해 동안 경험하는 종류의 상호작용만 수백 가지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교사들은 상황에 따라 극과 극의 감정적 요구를 받는다. 예를 들어 때로는 책을 집어던지고 소리를 지르는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학생 앞에서 당황하거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침착함을 유지하는 척 해야 한다. 그래야 교실 상황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 교수는 이렇게 감정을 숨기는 것을 감정근로 이론의 용어로 ‘표면행동’이라고 설명했다.

반대로 학생들이 하는 일상적인 얘기도 진정어린 눈빛으로 관심을 갖고 들어줘야 하는 일도 있다. 지루해하거나 다른 데 신경을 쓰면 어린 학생들의 경우 불안이나 분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당황스럽고 지루한 감정을 아예 열정과 관심이라는 감정으로 바꾸는 이런 행동은 ‘심층행동’이라 불리는 감정근로다.

교사들은 이렇듯 느끼고 있는 감정을 억눌렀다 또 없는 감정을 이끌어내야 하는 등 감정근로의 폭이 넓은 것이다.

결국 이런 열악한 감정근로 여건 때문에 미국에서는 교사의 절반 가까이 입직 5년 내에 교단을 떠난다. 커 교수는 “감정적 과부하나 스트레스를 교사들의 퇴직 사유로 꼽는 연구결과가 많다”며 “이런 상황 때문에 교사들의 감정근로 문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교사의 감정은 학생들의 정서와 학습에도 영향을 끼친다”며 “학생들을 지원하는 쪽으로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의 학습과 수업참여, 등교여부, 학생들의 생활지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다. 감정근로가 교사들의 교단 이탈뿐만 아니라 학생교육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 모두를 어렵게 하는 감정근로 문제에 대해 커 교수가 제시하는 가장 우선적인 해법은 ‘예방’이다. 교사와 학생들이 겪는 상호작용의 상당 부분은 예측이 가능하고, 교사들은 이런 상호작용 속에서 정서를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교원양성과정에서 감정근로에 대한 준비를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피츠버그대는 교원양성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신규교사로서 맞닥뜨릴 수 있는 감정적 상황에 대한 이해, 스트레스 관리 전략, 문제학생 지도법 등을 가르친다. 또 학교 리더십 과정에서는 교사들의 감정근로 실태, 감정근로 중재법, 학생 정신건강 등을 알려준다. 학교 관리자들도 교사들의 감정 문제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훈련이나 연수를 받을 수 있는 교사는 아직 소수다. 커 교수는 “교사들의 감정근로 문제가 다른 서비스 직종보다 더 심각한 이유 중 하나는 교사들에게 감정근로에 대한 훈련을 시켜주지 않는 것”이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평생 감정근로 대처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혼자 알아내야 하는 상황에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감정근로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 잡은 직종의 경우 관련 교육이나 관리체계가 있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은 감정근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울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교사들이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자신들이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을 바꾸거나 관리하지 못할 것이고 그 결과 자신과 학생 모두를 불행하게 할 것”이라며 감정근로 대처 교육의 필요성을 재차 역설했다.

커 교수는 이외에도 교사들이 감정근로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체계 마련과 감정근로스트레스를 받는 교사들을 위한 지원법과 훈련법에 대한 연구를 대책으로 제시했다.
정은수 jus@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