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다시 진정한 행복을 가르치자

2014.06.05 15:27:17

‘행복의 조건’으로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화목한 가정′을, 고등학생은 ′돈′을 꼽았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물론 돈을 선택한 비율은 19.2%라지만 우려스럽다. 예전에도 ‘10억이 생긴다면 감옥에 가도 좋다’는 청소년이 절반 가까이 집계된 자료가 있었다. 순수와 이상을 꽃송이처럼 간직할 시기에 참 슬픈 일이다.

누구의 책임이겠는가. 세상이 아비규환 자본화 돼가는 상황에서 아이들이 그러는 건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사실 돈이 최고 아닌가. 돈만 있으면 유명 메이커 신상을 구입할 수 있고, 연예인처럼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적당한 곳에서 밤늦은 시간까지 즐길 수 있으니까. 돈만 있으면 공부 안 해도 내 멋대로 살 수 있으니까.

참 아이러니한 얘기이다. 몇 년 사이 학력은 저하되고 아이들은 선생을 고발하며 ‘케 세라 세라(Que Sera, Sera)’를 되뇌이고 감각적으로 즐기려 한다. 고등학교에서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을 배우지만 아이들은 잠만 잔다. 철학자의 이름과 학설이 나오면 지레 고개부터 내두르고 책상에 엎드리는 것이 다반사다. 아이들은 생각을 싫어한다. 그저 단순하게 공부도 대충, 인생도 대충 살고자 한다.

심오한 사상가들의 말을 거슬려 하는 세대, 무식하고도 역설적인 풍경. 이런 현상은 18세기의 ‘질풍과 노도(Sturm und Drang)’와는 다르다. 그저 몸으로만 생각하며 감각적으로 반응하는 그들. 스마트폰으로 밤늦게까지 연예가 소식을 보거나 이성과 ‘카톡’하다가 정작 학교에서는 잠만 자다 가기 일쑤다. 청소년을 이렇게 만든 것은 자본적 사회구조, 정부의 무관심, 정치 교육감의 인식 부재, 그리고 부모의 속물성에 그 책임이 있다.

교육의 책임이 학교에만 있다고 해선 안 된다. 부모가 부모답게 자녀를 회초리로 다스리며 교육한다면, 그리고 교육감이 진정한 현장교육을 펼친다면, 그리하여 학교에서 그들을 사도정신으로 가르친다면, 교육이 완성되지 않겠는가. 돈은 수단이지 결코 목적이 아니란 걸 이제 우리가 몸으로 보여 줘야할 때다.
한국교육신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