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예뻐 보이기는커녕 밉게만 느껴져요.” “주중에 너무 힘들어 주말에는 아무것도 못해요.” “모두 학교 교육 탓만 하는 것이 화가나요.” “요즘은 사람 만나 이야기 하는 것도 귀찮고 힘들어요.”
많은 교원들이 신체적, 정신적 탈진상태, 즉 ‘소진증후군’을 겪고 있고 이것이 학생 교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적극적인 힐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림대 자살과 학생 정신건강 연구소(소장 홍현주‧한림대 의대 교수)가 지난달 29일 개최한 ‘학생 정신건강과 교사소진’ 포럼에서 이재영 서울 중동고 교사는 ‘교사 소진증후군의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그는 “학생 생활지도 붕괴, 교권 추락, 과도한 업무,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 교사간 경쟁과 평가, 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의 모순적 기대치로 교사들은 날로 힘겨워지고 있다”며 “하지만 인내심을 갖고 일방적으로 관용을 베풀어야 하는 교직의 특수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해야 할 일은 많은데 하고 싶은 일은 제대로 할 수 없게 되고 자신감 상실과 두려움에 소진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사는 “교사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고갈은 교육에 대한 열의와 학생에 대한 관심을 잃게 만들어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며 교사 소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강조했다.
‘교사소진예방전략’을 발표한 명지병원 김현수 정신건강의학과 과장은 연수 현장에서 만난 교사들의 아픔을 소개했다. 그는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던 A교사는 주말 내내 수업 준비에 매달리다 일요일 밤이 되면 허망함에 눈물을 쏟았고 작년에 처음 학교에 가기 싫다는 생각에 스스로 당황했다고 토로했다. 교직 12년차 B교사는 ‘좋은 선생님이 되자’고 결심하고 학생들에게 화를 안 내려 안간힘을 썼더니 화병까지 생겼다고 말했다”며 “학생 못지않게 교사도 상처받고 아픈데 관심이 덜하다보니 교사 치유 프로그램이나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고지적했다.
김 과장은 “돌봄 역할까지 맡아야 하는 무거운 부담에 성적도 올려야 하고 인성 지도는 물론 상담과 과도한 행정업무 등 교사에게는 너무 많은 일이 주어진다”며 “더 안타까운 것은 힘든데, 그것도 모른 채 묵묵히 일하며 자신을 죽여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치유를 위해 교사는 스스로 위로하는 것에서 출발해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고 칭찬하는 교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사 소진의 치유포인트는 ‘서로 알아주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교사가 행복해지기 위한 조언도 귀띔했다. 김 과장은 “모든 게 내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말 것, 하지만 동시에 내 책임이 아니라고도 생각하지 말 것. 내가 모든 걸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 것, 하지만 내가 가르쳐야 할 모든 것을 준비할 것. 교사라는 직업을 대단하다고 생각할 것, 하지만 세상의 작은 일부일 뿐이라고 생각할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다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