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야 2월 6, 7일…중순 넘기기도
갑작스런 이동에 인사도 못하고 떠나
발령‧소속 학교 업무 이중처리 ‘고통’
“앞당기거나 적정시기 함께 논의해야”
#. 지난해 A초로 전입한 부산 B교사는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했다. 이미 기존 교사들이 모든 계획을 짜 둔 상태여서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융합교육이나 체험학습 등 시도해보고 싶은 것은 많았지만 새로 들어간 조직에서 그런 이야기를 꺼내놓기는 어려웠다. 그는 “다른 교원들이 세운 계획대로 1년을 보낼 생각을 하니 실망감과 무력감이 들었다”고 토로했다.
#. C교사는 몇 해 전 황당한 일을 겪었다. 강원도 원거리 시 지역으로 전보를 받고 시간이 보름밖에 없는 상황에서 쫓기듯 원룸을 구했는데 시공사가 부도가 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 것. 피해액만 1500만원이었다. 꼼꼼히 알아볼 여유와 정보만 있었어도 이렇게 당하진 않았을 거란 후회는 곧 억울함으로 바뀌었다. 이 지역에서 C교사 말고도 몇 명의 교사들이 같은 방식으로 피해를 입었다.
관행처럼 되풀이되는 2월 중순 늑장 전보 발령에 교원들의 원성이 높다. 옮겨갈 학교의 교육계획 편성에서 아예 소외되거나 새로운 거처를 마련할 시간이 부족해 고충이 이만저만 아닌데다 결국 교육의 질마저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교원 전보는 교육청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게 2월 중순 경에 이뤄진다. 그러나 일선 학교는 보통 1월부터 연간 교육계획과 교육과정·평가계획을 논의, 수립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2월 중순에 전보가 나면 이 과정에서 사실상 배제될 수밖에 없다. 또한 일부 교사들은 보름 남짓 기간 내에 새로 거주할 집을 계약하는 과정에서 사기 피해에까지 노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교원들은 “이런 사정을 고려하면 전보시기를 더 앞당기거나 다 같이 논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경기의 D교사는 “1년 치 교육과정을 계획한 사람 따로, 실행할 사람 따로인 현실에 전입교사들은 아이러니를 느낀다”며 “현장학습이나 운동회 등 학부모들이 새로운 장소와 방법을 요구해도 매년 같은 방식을 답습하게 되는 것이 이런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교원들이 재량을 발휘할 수 없는데서 오는 상실감과 사기저하가 곧 교육력 저하로 이어질까 우려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기도의 E교사 역시 “전입 교원들은 비선호 업무를 맡게 될 확률이 높아져 일명 ‘울며 겨자 먹기’ 식의 졸속 업무분장이 될 수 있다”며 “전 교직원이 모이는 2월에 상호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업무분장을 할 수 있도록 교육부, 교육청에서 규칙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입 교원들이 상대적으로 부동산 사기 피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해 강원도에서 경기도로 파견근무를 하게 된 F교사는 2월 15일에 근무지를 알게 돼 급히 집을 알아보고 빈 집이 생기는 대로 계약을 진행해야 했다. 그는 “전세금 1000만원을 더 올려 달라는 둥 시세보다 비싼 값으로 배짱을 튕겨도 당장 이사를 해야 출근할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을의 입장이 된다”고 한탄했다.
충남의 한 교원 역시 “전보내신을 낸 교사들은 방학 동안 발령 전까지 불안한 마음으로 지내는 게 보통”이라며 “발령이 늦고 갑작스럽게 나다 보니 학생, 교직원들과 송별 인사도 못하고 급히 떠나야 하거나 이삿짐 회사에 일이 폭주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많이 봤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전보시기를 무조건적으로 당기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소속이 애매해지기 때문이다. 부산의 G교사는 “발령이 나도 소속은 2월 28일까지 현재 학교 신분이기 때문에 발령받은 학교의 일과 현재 소속 학교 일을 양쪽으로 보느라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발령받은 학교에서 학년부장으로 업무를 추진하게 됐는데 현재 학교에서도 보고 거리가 있어 열흘 가량 이 학교 저 학교를 오가며 이중으로 일을 처리해야 했다는 것. 더욱이 이런 경우는 여비 부지급 출장이라 정식적인 업무 수행도 아니고 매뉴얼도 없어 비합리적이라고 느끼는 교원들이 많다.
이런 상황은 교육청이 교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월 중순에서 말이었던 전보시기를 2월 초순에서 중순 정도로 앞당기면서 나타났다. 새 학교는 교육과정 수립 및 업무 추진에 참여해주기 바라지만 여전히 소속은 현 학교에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기 때문.
그래서 발령 시기에 대한 교원들의 생각은 다양했다. ‘1월 중순으로 앞당겨야 한다’는 것이 대세지만 ‘2월 하순에 해 현재 학교 일을 마무리할 수 있게 하자’, ‘현 발령시기에 큰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전보시기를 앞당기기만 할 것이 아니라 교원들의 업무 부담과 출장에 불이익이 없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도교육청 인사 담당자들은 “몇 년 전부터 이런 요구가 있어 최근 많이 앞당겨진 편이지만 학급 편성이 2월까지 진행되는 점, 교장․교감 승진과 연계된 점, 전산으로 처리할 수 없는 내신 전보 서류에 대한 수작업 검토, 신규․초빙교사 확정 등 맞물리는 일이 한 두 개가 아니기에 신중히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