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로 교육읽기> 계찰괘검(季札掛劍)

2015.11.26 17:46:28

우리는 크건 작건 간에 약속을 하면서 살아간다. 그런데 이 약속이라는 것이 처음 마음처럼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사람을 평가하는 아주 중요한 척도가 되기도 한다.

“해 놓은 약속은 미지불의 부채이다.”(R.W.서비스)
“아무리 보잘 것 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한번 약속한 일은 상대방이 감탄할 정도로 정확하게 지켜야 한다.”(카네기)

약속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강조한 명언들이다. 그러나 에머슨은 “누구나 약속하기는 쉽다. 그 약속을 이행하기가 어려울 뿐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약속을 지키는 일이 결코 쉽지만은 않음을 간파했다. 그래서 나폴레옹은 오죽했으면 “약속을 지키는 최상의 방법은 약속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겠는가.

‘계찰괘검’. 자기 혼자 마음속으로만 한 약속일지라도 지킴으로써 약속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오늘날 우리들 가슴 속 깊이 와 닿는 고사성어다.

계찰은 중국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 왕 수몽(壽夢)의 넷째 아들이다. 형들보다 더 뛰어난 재능과 인품을 갖추었기에 모든 신료와 형제들이 그가 왕위를 이어받아야 한다고 했으나 끝내 왕위는 마땅히 장자가 계승함이 옳다며 사양했다.

계찰이 이웃 나라로 사신을 떠났을 적에 서(徐)나라에 들르게 됐다. 서왕(徐王)은 계찰의 보검을 보고는 탐이나 갖고 싶어 했지만, 차마 말을 하지는 못했다. 계찰은 서왕의 마음을 알았지만 임무를 수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선물을 해야겠다고 마음속으로 다짐하면서 떠났다. 여러 곳을 방문해 견문을 넓히고 돌아오는 길에 서왕(徐王)에게 한 다짐을 지키기 위해 서나라에 다시 들렀지만 이미 서왕(徐王)은 죽은 뒤였다. 이에 계찰은 그의 묘를 찾아가 무덤 옆 나무에 자신의 보검을 걸어놓고 떠났다. 서왕(徐王)에게 언약한 것도 아니고 또한 당사자가 이미 고인이 된 뒤였는데도 계찰은 자신이 마음먹은 약속도 약속이라 여기고 실천에 옮긴 것이 바로 계찰괘검(季札掛劍)이다.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육부와 교총이 단체교섭합의서에 서명한 조인식이 있었다. 교원들의 수당을 인상하고 연수휴직을 도입하며 퇴직준비휴가제도와 연수실적의 다양화는 물론, 학교폭력가산점의 완화, 그리고 교원평가제에 대한 개선 및 학교성과급제의 폐지 등 반드시 이행돼야 할, 현실적인 합의 내용이었다고 본다.

말하자면 이러한 내용들을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교육부와 교총이 공문서에 서명 날인하는 의식(조인식)을 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교총이 교원들의 애로와 고질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끈질긴 노력에 열 백번 찬사의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문제는 돈줄을 틀어쥐고 있는 기재부가 얼마나 교육계의 문제점에 동감하고 인정하는가가 성패의 키라는 점이 참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상호 격의 없는 대화를 통해 의견차를 좁히고 공감대를 마련한 것처럼 합의한 내용이 상호 성실하게 이행되어 우리 교육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교육부 장관의 약속이 계찰괘검이 되기를 기원해 본다.
신용배 전 경기 장파초 교장(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