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대, 이론 중심 교육에 ‘가르치는’ 수업은 소홀

2016.06.24 16:02:46

5개 국립 사범대 조사 결과 발표
교과교육학 전공 교수 1∼2명·수업은 3개뿐
교원 자격 취득 기준 따라 최소 기준만 맞춰
"학자될 것 아닌데"…학교서 필요한 역량 키워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이 교수법보다는 이론에 치우쳐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원 양성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병찬 경희대 교수는 24일 대구시교육연수원에서 열린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 5개 국립대의 국어교육과·수학교육과 교수진 구성과 교육과정 등을 분석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대학 모두 교수법을 가르치는 ‘교과교육’보다는 ‘교과내용’에 편중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별로 보통 6~9명인 교수진 중 교과교육학 교수는 많아야 2명으로, 1명인 과도 6군데나 됐다. 보통 6~9개인 전공 필수 과목 중에서도 교과교육과 관련된 것은 3개 정도고 나머지는 교과내용에 치우쳐 있었다.

실제로 A대 수학교육과는 35개 개설 교과목 중 교과교육 영역의 필수 과목은 수학교육론, 수학교재 및 연구법, 수학 논리 및 논술 등 3개뿐이다. 이 외의 과목은 미적분학, 이산수학, 현대대수학 등으로 순수 학문적 이론 교육이 중심이다. 학과 교수 또한 전체 8명 중 수학교육이 주 전공인 교수는 단 2명이다. 통계학, 해석학, 대수학, 위상 수학 등 세부 전공자가 다수다.

B대 국어교육과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공 필수로 개설한 10개 교과 중 교과교육 영역은 국어교육론, 국어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국어 논리 및 논술에 관한 교육 등 3개다. 나머지는 국어학 개론, 국문학 개론, 한국현대작가론 등 교과내용 영역 과목이다.

이같이 교과교육학이 홀대를 받는 것은 교육부가 정한 교원 자격 취득 기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공 과목 50학점 이상 중 교과교육 영역에서는 8학점 이상(3과목 이상)만 이수하면 되기 때문에 대학별로 최소 기준인 3과목만 겨우 갖춰놓은 것이다. 이 외의 전공 교과 구성이나 내용에 대해서는 별다른 법적 규정이 없다보니 사실상 대학이 자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김 교수는 "사범대는 교원 양성을 위한 곳이기 때문에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뤄야 하는데 대부분 교과내용학에 편향돼 있다"며 "교과교육학 교수도 상당히 부족하고 교수들은 세부 전공을 중심으로 강의하고 있어 ‘좁고 깊게 배우는’ 순수 학문적 측면이 강조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희규 신라대 교수도 사범대 교육과정이 중등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꼬집었다. 김 교수는 "최근에 학생 참여형 수업이나 과정 중심 평가 등이 강조되고 있는데 여전히 사범대 교육과정은 이론 중심 과목에 치우쳐 있다"며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등이 도입됐지만 사범대 교육과정에 이를 제대로 담고 있지 못하다"고 밝혔다.

이러다보니 교원들은 사범대에서 배운 내용이 정작 중등학교 교육과정과는 맞지 않아 교직에 들어온 후에 새로 배워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경기 C고 이모 교사는 "중고교생을 가르치기 위한 대학인데 정작 중고교 교과서나 교육과정을 제대로 배워보지 못했다"며 "언어학자가 될 것도 아닌데 교사가 되서는 거의 쓸 일이 없는 음운론, 통사론 등 심화된 지식을 배우는 데 너무 치중해 있었다"고 밝혔다.

서울 D중 김모 교사도 "최근에 교원 임용시험에서 수업 실연이 확대되고 있지만 사범대에서 교수법을 체계적으로 배운다기보다는 개별적으로 알아서 준비해야 한다"며 "교직에 입문해 다른 교사들의 수업을 보고 직접 경험하면서 배운 게 사실 더 많다"고 말했다.

사범대의 필수 이수 교과인 교직과목도 교육학 개론, 교육심리, 교육철학 등 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다.

울산 E고 최모 교사는 "임용 시험에 대비해 외우기는 했지만 과거 서양 이론이 대부분이고 최근 국내 교육 현장이 반영되지 않아 학교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쓸 일은 없다"고 말했다.

김병찬 교수는 "교원 자격 취득 기준에서 교과교육 영역의 필수 이수 학점을 확대해야 대학도 이에 맞는 교수를 확보해 교육과정이 운영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교과별 특수성보다는 가르치는 업무의 전문성을 더 중시하는 해외 교육과정을 참고해 교원교육의 토대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핀란드의 경우 교과교육학이 교육과정의 약 68%를 차지하며 교과내용학은 해당 일반학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미국 사범대도 교과 내용에 따라 학과를 세분화하지 않고 교사교육과 하나로 통합해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강조하는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윤문영 기자 ymy@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