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 제대로 아는 것이 진정한 세계화

2005.08.30 10:22:00

사람들은 나면서부터 모국어를 듣고 흉내 내면서 자란다. '맘마', '쉬', '응가' 등 첫 옹알이에서부터 유아어 및 교육을 통해 모국어를 배우면서 자란다. 어느 민족에게나 자기 민족 나름대로 언어가 있으며 그 언어를 통해서 민족의 정통성과 동질성을 확립하고 민족 고유의 문화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 민족만의 세계 유일한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말과 글을 사용하고 있는 우리 국민은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과 자부심을 갖고 있다.

언어는 누구나가 쉽게 그 의미가 소통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자나 외국어를 잘 모르거나 전문 용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말들을 그대로 쓴다면 언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고유의 언어가 훼손 될 것이다.

비록 중국의 한자와의 밀접한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고 하지만 한자를 함께 써도 무슨 뜻인지 잘 알 수 없는 말들이 많이 쓰이고 있어 무슨 의미인지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고 충격을 받거나 얼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중 - ‘양생중’, 도로의 먼지 발생을 막기 위해서 물을 뿌리는 차 - ‘살수차’, ‘적사함’ 등 뜻을 알기 어려운 한자말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많다. 이런 말들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굳히는 중’, ‘물 뿌리는 차’, ‘모래함’ 등으로 쓴다면 좋을 것 같다.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그 의미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특히 언론 매체 용어, 상품 명, 회사 이름 및 전문가들만이 알 수 있는 전문 분야의 외국어 등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다. 특히 텔레비전의 각종 프로그램 이름이나 거리의 간판에서도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마치 외국에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다.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해서 사용하려는 노력이 너무 부족한 것 같다. 아니 외국어를 써야 멋있고 품위 있고 유식한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도 어려운 시대를 살았던 60-80대의 한글 미해득자나 영어교육을 받지 못했던 세대들이 엄청나게 많은데도 불구하고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노년층에 대한 배려가 무시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지금은 지구촌 시대라고 한다. 급격한 교통 통신 문화의 발달은 세계 전체를 하나의 작은 공동체와 같게 만들었다. 60억 전 인류가 한 공동체를 이루고 있으니 가장 필요한 것이 타국인 타민족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다. 그러기에 세계 공통어인 영어의 필요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옹알이를 시작하고 유아어를 익힐 때부터 영어만을 학습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 영어 동요를 들려주고 영어 만화를 보여주고 영어 단어와 그림카드를 대응시키게 하는 등 영어 학습에만 전념하게 하는 부모가 많다고 한다. 어학연수를 위해 조기 해외 유학을 시키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다고 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외국어 학습에만 전념하게 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도외시하는 처사라고 생각한다.

한 민족의 흥망은 그 민족의 언어의 흥망과 직결된다고 한다. 자기 민족의 말을 중시하고 학습 및 활용에 대해 적극적일 때 그 민족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의 무궁한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우리 것을 잘 알고 난 뒤 남의 것도 알아야 한다. 외국인과의 대화에서는 기본적인 생활영어 정도만 할 줄 알아도 된다. 간단한 의사소통만 하면 되는 것이다. 전문적인 분야에서의 의사소통은 전문가에게 맡기면 된다고 생각한다. 국민 전체를 전문가로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국민 일부가 아닌 국민 전체가 알 수 있는 메시지가 되게 하기 위해 외국어를 적당한 우리말로 만들어 쓰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학구 김제 부용초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