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교육과정의 모순을 인정한 교육부

2005.09.07 11:55:00

교육부는 지난 8월 24일,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을 함께 모아놓으면 성적이 가장 많이 오른다.”라는 OECD의 베르나르 위고니에(Bernard Hugonnier) 교육국 부국장의 말을 인용하면서 그동안의 우리나라 교육의 성과에 대해 ‘교육강국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교육부의 이 논평을 분석해 보면 스스로 아직까지도 일선 현장에서 우려의 소리가 높은 7차교육과정의 모순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 된다. 이제까지 현장의 많은 교사들은 능력별 집단이라는 표현으로 현실을 왜곡하려 하지만 결국 우열반일 수밖에 없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대다수의 학생들에게 성공의 만족감보다는 실패의 두려움, 실제적인 실패로 인한 좌절을 맛보게 할 것이라고 반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2007년부터 수준별 교과서 편찬 보급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부가 인용한 Bernard Hugonnier(2005)의 말대로 능력별 반 또는 그룹을 편성한 결과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별로 도움이 못된다고 한 연구는 많다.

Persell,C.H(1977), (Borg, W. R. (1966) 등은 공부를 못하는 아이들을 별도로 반을 만들거나 그룹을 편성하여 지도하는 목적은 그들로 하여금 별도의 노력을 통하여 일반 수준의 아이들을 따라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렇게 반(그룹) 편성을 했더니, 능력이 있는 아이들과 같이 공부했을 때보다 성적이 뒤떨어지더라는 것이다. 특히, 수준별 반 편성을 하였을 때 중간 수준이나 그 이하 수준의 학생들은 혼합된 학급에서 공부할 때보다 훨씬 성적이 뒤떨어져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더 늘려놓은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Schafer와 Olexa(1971)도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해 교육을 했을 때 부진아반(또는 낮은 수준)에 속해 있는 아이들은 낮은 자신감, 보다 많은 탈선 행동, 높은 퇴학율, 높은 비행율을 나타낸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교육과정은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7차교육과정의 골자인 수준별 교육과정은 교육이 시작되기 전 학습자의 출발점 수준을 나눠서 고정시켜 버리는 과거 지향적 관점이다. 학습의 속도인지 능력인지조차 불명확한 기준으로 수준을 나눠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준 차이가 커지도록 구성된 교육과정은 공교육이 지향하는 평등성에 명백히 위배되며 다분히 비교육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007년부터 전면적으로 강제 시행되는 영어와 수학의 수준별 이동수업은 성적만으로 판가름한 수월성과 경쟁력이라는 '가면' 앞에 인간성을 상실시켜 버릴 것이다. 인간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이 어떻게 교육적일 수 있을까.

이제라도 학생의 전인적 특징보다는 학업 성취 수준에 의해 학생들의 전인격을 판단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수준별 반편성 교육과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소수의 우반 학생들을 위해 다수의 열반 학생들의 지속적인 희생이 요구되는 비교육적 교육과정으로는 결코 ‘교육강국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은식 충북영동고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