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란 '그 당시를 살아간 사람들의 모든 것'이라는 해석이 요즘 가장 설득력 있는 문화의 정의이다. 그렇다면 그런 문화란 특별히 어떤 모습으로 가꾸어 가기보다는 자연스레 있는 그대로를 유지만 하면 되는 게 아닌가 말하기 쉽다.
그렇지만 문화란 그렇게 자연스런 상태로는 문화로서의 가치를 갖기 어렵다. 왜냐하면 길가의 돌멩이를 보석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 아닌가? 그 돌멩이에 보석이 박혀 있다면 그것을 다시 기공을 하여서 찬란하게 빛나는 것으로 세공을 했을 때만이 보석으로 가치를 갖게 되듯이 말이다.
이렇게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지금 우리의 문화이겠지만, 우리가 모르고 지내는 관습이나 지난 역사상의 전통문화 등은 상당히 많이 다듬고 가꾸어진 것들이다. 이러한 문화를 지켜 가고 이어가야 할 사람들이 바로 어린이들이고, 이들에 의해서 전승되고 지켜지며, 더욱 발전시키거나 다듬어 줄 사람들이다. 그러한 그들이 이러한 문화와의 접촉이 자연스럽고 자주 하지 않는다면 자연스럽게 그런 문화는 이어지기가 어려워지고 말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문화를 지켜줄 차세대의 주자들인 어린이들에게 문화체험의 기회를 늘려주고, 어려서 자연스럽게 접촉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문화를 지키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에게 좀 더 자주 문화 활동이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서 경험을 많이 하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학교는 가장 보수적인 기관이다. 전통을 지키고, 이어 받으며, 개선해가야 하는 문화 전수의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이 아닌가? 그래서 항상 개혁보다는 개선이라는 방법을 선호하고 당연히 그런 쪽이 교육기관이 가야 할 길인 것이다.
이렇게 어려서부터 자주 문화체험을 하게 해주고, 참여하고 보고 듣게 해주는 것으로만도 어린이들에게 전승 되어야 할 우리 문화에 대한 친근감을 주게 될 것이며, 또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런 문화에 대한 자신의 소질이나 관심을 불러 일으켜서 문화 향유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문화 창조자로 자신을 길러갈 어린이도 있을 것이다. 우리 속담에 '왕대 밭에 왕대 나고, 솜대 밭에 솜대 난다'고 했듯이, 연예인의 집안에서 연예인이 많이 나오고, 가수 집안에서 가수가 많이 탄생하는 것은 어려서부터 그러한 문화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친숙해지고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노력을 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우리 어린이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해서 이처럼 자연스럽게 친숙하게 만들어 주고, 자연스럽게 그런 활동에 참여하게 만들어 준다면, 그 중에서 나름대로 자신의 갈 길을 그런 방향 '문화 창조자나 전승' 등으로 결정하고 노력을 하는 어린이도 나오게 될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이 우리 문화를 전승 발전시키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여건의 조성이 아니겠는가?
우리 어린이들에게 이런 기회를 자주 갖게 만들어 주는 일은 바로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는 터전을 닦는 길이요, 우리 문화를 이어갈 인재들을 발굴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지원을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