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 위상 정립하자

2006.02.21 16:45:00

연초라 각급 학교에서 인사 문제로, 교무 분장으로 방학이지만 담당 업무를 맡고 있는 부서와 부서장 그리고 관리자는 바쁜 일과를 보내고 있다. 특히 담임을 배정 받고자 하는 교사와 배정 받지 않으려는 교사를 놓고 관리자들은 갈등을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보편적인 입장에서 생각할 때 교사라면 담임이라는 직책이 있어야 그래도 교사다운 면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더 많아 보이는데. 담임을 맡지 않으면 특히 작은 학교에서는 소수의 교사만을 제외하고는 다 담임을 맡고 있기에 소외감을 느낄 때도 있다. 그러나 거대 학교에서는 담임을 맡고 있지 않은 교사도 상당하기에 크게 소외감을 느낄 정도는 아니라 하더라도, 문제는 왜 교사가 담임을 맡지 않으려고 하느냐에 있다.

교사는 진급을 하려고 하면 담임의 경력은 진급에 좌우되지 않는다. 그러기에 담임을 맡아 문제를 야기하는 것 보다는 편안하게 교직 생활을 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는 것 같다. 담임을 하면 담임으로서의 자부심과 교사로서의 떳떳함은 졸업 후 찾아오는 제자들을 대할 때 느끼게 되는 보람이 바로 담임으로서의 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그것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확연히 드러난다. 담임을 하면 늦게까지 남아 자율 학습 감독도 해야 하고 학급에 대한 자잘한 업무도 수행해야 하는 등등의 구차스런 일을 하기 싫어하는 교사들이 늘어난다는 것도 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담임으로서의 수당이 교사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도 한 요인이지만, 아파트 건설 현장의 일용노동자 3일 정도의 임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교사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것은 담임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길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담임의 경력도 교감으로 승진하는 데 경력 점수를 과감하게 부여하는 새로운 멜티 영상으로 교사들의 내면에 비춰지도록 해야 한다. 담임의 경력을 10년으로 하되 반드시 그 기간에 80% 이상은 “우” 이상의 평점을 받는 자에게 승진에 유효권을 주는 방안이 고려된다면 담임에 대한 기피 현상이 여전히 일어날까?

또 담임으로서의 바른 자세도 필요하지만 담임의 업무를 탁월하게 수행한 교사에게 주는 담임 표창 제도도 고려되어야 한다. 담임이 학생들에게 다정하게 그리고 열정적으로 상담에 임하는 모습이 보일 때 각 학급에서는 언제나 웃음 띤 모습이 나타날 것이다. 나이가 들고 직업에 대한 무사안일주의로 빠지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라도 담임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고려된 것도 교장초빙제에서 교사 끌어가기가 나온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는 취지도 있지만 현재 우려하는 것은 정실주의에 빠질 우려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을 걱정하는 것이다.

담임은 가정에서 어머니와 같은 역할이요, 아버지와 같은 입장이다. 교사에게 보람을, 학생에게 꿈을, 학부모에게 만족 줄 수 있는 학교가 되자고 백 번 구호로만 외칠 것이 아니라 교사로서 떳떳하게 살아가는 길을 터 주어야 한다. 물질적으로 보상이 어려우면 교사를 뽑는 데도 교사 고시제를 도입하여 교사의 위상이 사회 어느 계층보다 존경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보람을 만들어 내는 새로운 조치를 취해야만 교실에 들어가 학생들과 즐거운 생활을 하고자 하는 교사가 늘어날 것이다.

갈수록 살벌해져 가는 학교의 현장은 이제는 교사를 존경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학부모의 감시의 대상에서 학생들의 따가운 눈초리에서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해도 부정할 자는 아마 많지 않을 것이다. 전두환 대통령 시절부터 학교 교사들의 돈봉투 문제를 들고 나오면서부터 이제는 교사들의 능력 문제를 들고 나와 학교 교사 칭호를 “선생님”에서 “교사”로 다운시켜 명명하고 있음을 느낀다. 학원의 교사를 교사로 여겼던 과거가 이제는 학교의 선생님도 “교사”라는 언어적 위축으로 싸늘하게 받는 것도 점점 피부로 다가오는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교사 개개인은 자기의 전문적인 소양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연 학교 현장이 언제까지 파고에 흔들리고 있을 것인지 그것이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조기철 인천 초은고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