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

2006.02.25 08:58:00

우리는 지구촌 시대에 살고 있다. 지구 전체가 ‘촌’이니 전 인류가 같은 ‘촌’에 살고 있다는 의미이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이 가져온 필연적인 결과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촌락에서 살고 있으니 모든 문화의 차이를 극복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원활한 의사소통, 경제적 빈부의 차 해소, 정치적 사회적 동질성 등 공유해야할 분야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민족 고유의 정신적 가치관이나 문화적 다양성까지도 하나의 틀 안에 묶자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외국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국제공용어가 필요하고, 상대국과의 경제 발전과 활발한 무역을 도모하기 위해서 ‘자유무역협정’이 필요하기도 하다. 그렇다고 수천 년 대대로 물려온 문화적 유산이나 관습 또는 예법까지도 ‘국제규격화’하려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영어에 자신감이 없는 4,50대 이상의 기성세대들은 흔히 외국인을 만나면 대화 자체를 기피하려하는 경향이 있다. 언어 소통이 잘 안 되면 충분하지는 않지만 표정이나 몸짓 손짓으로도 약간의 소통이 가능한데도 두려워한다. 그런 이면에는 영어에 자신 없다는 점만 작용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나라 안에서 만나는 외국인이 우리말을 할 줄 알 것이라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 것 같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다. 당연히 우리나라니까 그들이 우리말이나 우리 관습 예절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아야 하며 또 알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가 해외에 갈 때 해당국가에 대해 상식적 수준 그리고 지극히 이질적인 문화의 차이에 대해서 공부를 하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어 약간은 알고 간다. 국내에서 만나는 외국인들도 우리와 같은 생각을 갖고 우리나라에 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당하게 우리말로 우리식으로 맞으면 된다. 우리의 관습이나 전통예절이 상대에게 맞지 않을 것이라고 부자연스러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 나라 안에서는 우리나라가 ‘로마’가 되고 그들이 ‘로마법’을 따라야 되기 때문이다.

외국인들이 우리의 관습을 잘 몰라 우리들에게 실례를 했다면 놀랄 수 있다. 그렇다고 그들을 나무라고 욕하고 의법 조치할 만큼 우리가 몰인정하지는 않다. 오히려 외국인에 대해 호의를 베풀고 이해하고 친절하게 우리의 관습을 알려주려 노력할 것이다. 설사 외국에서 우리가 그런 무례를 범했다고 하면 그들도 우리를 이해하려 할 것이다. 미개한 사람들이 아니라면…….

요즘 우리 주변에는 외국인들이 많다. 70여 만 명의 코시안들이 우리들의 주변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시골 거리에서도 그들을 볼 수 있다. 그들을 배려해 주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우리가 그들의 수준에 그들의 의식이나 관습에 맞추려 해서는 안 된다. 당당하게 우리의 문화를 알려주고 우리와 어울려 살게 하는 것이 우리가 자긍심을 갖고 사는 길이다.

요즘 Global Etiquette 습득의 필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국외여행자 수가 많기 때문이다. 전 세계인이 공인할 수 있는 예절 예법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예법은 나라마다 민족마다 차이가 크다. 세계공용어인 영어를 쓰듯이 Global Etiquette을 제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기껏해야 강대국의 관습이나 예절 등을 마치 Global Etiquette인 것처럼 따를 가능성이 많다.

‘지극히 한국적인 것이 지극히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이 있다. 세계화하는 것은 다양한 문화를 통일된 문화로 묶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외국을 여행하면서 필요한 최소한의 문화를 알면 되고 국내의 외국인은 우리의 문화를 이해하고 익히면 된다. Global Etiquette을 중시(重視)하고 우리의 관습이나 예절을 경시(輕視)해서는 안 된다.
이학구 김제 부용초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