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재다보면 떠나기 어려운 게 여행이다. 준비과정이 복잡하면 가기 싫은 게 여행이다. 여행은 그냥 마음 맞는 사람들 몇이 훌쩍 다녀와야 더 재미있다. 그런 여행을 다녀왔다.
학교를 이동하려니 1년 동안 같은 학년을 맡아 정을 나눴던 직원들과 헤어지는 것이 못내 아쉬웠다. 마침 여직원들 몇 명이 겨울여행을 계획했다 다녀오지 못해 아쉬워하던 것이 생각나 여행을 시켜주기로 했다.
조심스럽게 직원들 몇 명이 떠나는 여행을 제안했다.
“직원들 몇 명이 여행한번 다녀올까?”
말이 떨어지자 대환영이라며 무척 좋아한다.
“어디로 가지요?”
“가보고 싶은 곳 아무 곳이나 말해.”
여행지를 결정하는 것도 모두 맡겼더니 멀리 남해의 보리암을 다녀오고 싶단다.
“하루에 다녀올 수 있어요?”
먼 곳이다 보니 내가 전국의 여행지를 떠돌고 있는 것을 알면서도 하루에 다녀올 수 있는지를 궁금해 했다.
“섬진강까지 다 보여줄 수 있어”
바쁜 일정이겠지만 이왕이면 더 멋진 구경거리를 보여주고 싶었다.
마음이 들뜬 직원들과 아침 일찍 청주를 출발했다. 신이난 내 자가용도 경부와 호남고속도로를 쌩쌩 내달렸다. 전주 IC에서 남원을 지나 하동으로 차를 모는데 산수유마을 산동, 천은사, 화엄사의 이정표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화엄사 입구를 조금 지나면서 봄이면 길가에 벚꽃이 만발하는 굽이굽이 드라이브길이 시작된다. 오른쪽으로는 우리나라에서 9번째로 긴 섬진강이 나타난다. 섬진강은 가깝게 보이는 지리산의 능선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품속같이 포근하다.
여행 얘기가 나오면 왜 가슴이 콩닥거리는가? 일상을 떠난 여유와 즐거움이 같이하기 때문이다. 차를 길에 세워놓고 봄맞이에 바쁜 섬진강의 강바람과 호흡을 같이했다. 강바람과 봄기운에 싱글벙글인 직원들의 모습은 가슴에, 봄맞이에 바쁜 섬진강의 자연풍경은 카메라에 담았다.
가끔 오지만 자주 듣던 노래 때문에 왠지 낯설지 않은 화개장터를 지났다. 시간상 길 위에 차를 세워놓고 장터를 내려다볼 수밖에 없었다. 구례와 하동, 전라도와 경상도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지던 정겨운 모습과 장돌뱅이들의 애환이 떠올랐다. 10리 벚꽃 터널로 유명한 쌍계사도 이정표로만 바라봤다.
도로변에 있는 토지초등학교를 지나는데 연곡분교에 근무하시면서 아이들과의 일상을 진솔하게 글로 옮기시는 장옥순 선생님이 생각났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면서 ‘최참판댁’으로 유명한 악양면 평사리로 갔다. 촬영을 위해 만들어진 세트장에서 드라마의 내용을 다시 떠올렸다. 지난번에 갔을 때는 없었던 정미소도 새로 만들어져 있었다. 갈 때마다 느끼지만 평사리는 마을 앞으로 펼쳐지는 너른 평야, 멀리 아스라하게 보이는 섬진강, 병풍처럼 마을을 감싸고 있는 뒷산이 토속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섬진강 강변에 있는 음식점들은 재첩회와 재첩국을 간판에 내걸고 있다. 간을 보호하는데 최고라는 재첩은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 자연서식 되는 민물조개다. 어린시절 내 고향에서도 재첩이 많이 잡혔었다. 섬진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식당에서 점심으로 재첩국을 먹었다. 강 건너편을 바라보니 지금쯤 청매실농장에서 한참 봄소식을 알리고 있을 매화꽃이 생각났다.
하동을 지나 남해로 차를 몰았다. 남해대교부터 숨바꼭질을 하는 바다를 바라보며 4㎞쯤 달리면 이락사가 나타난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지금 싸움이 급하니 내 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순국한 곳이다. 이락사 현판 뒤에 있는 ‘큰 별이 바다에 잠겼다’는 뜻의 대성운해(大星隕海)라는 현판은 박정희 전대통령의 친필로 알려져 있다. 이락사에서 500m 거리에 있는 첨망대에 오르면 마지막 전투지인 관음포가 한눈에 들어온다.
남해읍을 지나면서 가천다랭이골까지 다녀올까도 생각해봤지만 보리암에서 더 여유를 누리기로 했다. 아래 대형주차장에서 사찰과 가까운 소형주차장까지의 산길은 노면상태가 너무 나빠 사고의 위험성이 컸다. 한 달 전에도 이곳을 다녀가며 불편을 겪었는데 변화가 없다. 사찰에서 불공을 드리고 가거나 나들이 나온 사람들로 넘쳐나는 산길을 지루하게 오르며 탁상행정을 원망했다.
금산의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보리암은 683년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태조 이성계가 이 곳에서 백일기도를 한 후 조선 왕조를 개국했다. 또강원도 낙산사의 홍연암, 경기도 강화의 보문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기도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형주차장에서 800여m 언덕길을 걸으면 금방이라도 떨어져 내릴 것 같은 크고 작은 온갖 기이한 암석들과 바다에 떠있는 작은 섬들이 한눈에 들어오는 보리암이 나타난다. 특히 남해에서 제일 아름답다는 상주해수욕장 주변의 풍경이 아름답다. 생수를 한 모금 들이키니 속까지 시원하다.
경내를 둘러보고 사찰 아래에 있는 해수관음상으로 갔다. 관음상을 돌며 소원을 비는 사람들이 많다. 마음속으로나마 사람들의 소원이 모두 이뤄지길 빌며 금산 38경중 으뜸으로 알려진 바위굴 쌍홍문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와, 이런 곳이 있었네?”
보리암을 몇 번 다녀갔지만 쌍홍문에는 처음 와봤다는 선배의 감탄사다.
“야! 너무 좋다.”
감탄사를 연발하니 괜히 내가 좋다.
“저건 또 뭐지?”
쌍홍문 앞에 떡 버티고 서있는 장군암의 위용에 또 한번 놀란다.
사실 우리네 인생살이도 그래야 한다. 내 일, 네 일을 너무 가리다보니 불협화음이 생긴다. 같이 어려워하고, 같이 해결하려고 노력하면 안 될게 하나도 없다. 자꾸 내 일이 아닌 것을 찾아내 방관자가 되며 스스로 세상살이를 어렵게 한다. 여행지에서 갑자기 인생살이를 생각했다.
다시 보리암 경내를 지나 바로 아래에 있는 대죽 숲길로 내려갔다. 이곳을 오간 사람들의 소망이 담겨있는 돌탑사이로 남해가 숨어있다. 짧지만 나무 계단이 예쁜 오솔길을 오르면 이성계가 수도했다는 암자가 바로 눈앞에 나타난다. 경치가 아름다우면 사진으로라도 남기고 싶은 게 사람마음이다. 개인별로 기념사진도 촬영하고 큰 바위덩어리 위에 걸터앉아 또 상주해수욕장 주변의 바다풍경을 바라본다. 어려움을 극복하며 어쩔 수 없이 바다를 지켜야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바다가 없는 내륙도 충북 사람들은 바다만 보면 마음이 포근하다.
또 다시 차를 달려 미조항으로 갔다. 작은 포구의 바다 위에 배들이 여러 척 떠있는 모습이 아름답다. 갈치와 멸치회로 매스컴에 여러 번 소개되었던 미조항 남항의 공주식당에서 갈치회 갈치조림을 먹으며 미각을 되찾았다. 아직 철이 빨러 멸치회는 먹을 수 없었다.
미조항에서 물건리 사이를 잇는 물미해안도로는 주변의 바다경치가 아름답기로 소문났다. 물미도로를 달려 창선대교로 향하는데 밖이 어두워진다. 갈 길은 멀지만 그 덕에 창선대교와 사천 바닷가의 아름다운 야경을 실컷 구경했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안에서 새학기에 대한 이야기가 길게 이어졌다. 며칠 후면 헤어져야 할 직원 다섯이 봄맞이에 바쁜 섬진강과 남해를 돌아보는 624km의 긴 여정이었지만 모두가 즐거웠다. 청주에 도착하니 막 10시가 넘어선다. 자기네 집이 최고인 것은 누구나 같다. 집 가까이에 오면 마음이 푸근해진다. 그래도 여행의 묘미가 더 크기에 또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