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원평초등학교는 지난해 4월부터 평생교육 13개 취미활동 교실을 개설하고 260여 명의 지역주민들이 1주일에 이틀씩 수강하도록 하였다. ‘우리글교육반’ ‘수영반’ ‘사물놀이반’ ‘음악줄넘기반’ ‘사군자반’ ‘생활도예반’ 등의 취미활동교실에서는 지역주민들의 소질계발과 취미생활에 알맞은 활동을 하였으며 건강생활의 실천 및 삶의 질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학교의 유휴 시설을 활용하고 학교가 지역주민들에게 건전한 여가선용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했으며 지역 문화센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6080세대 30여 명의 한글 미해득 할머니들에게 늦게나마 우리글을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문자와 숫자를 해득하도록 했으며, 도내 초등학교에서는 유일하게 수영장을 보유하고 있어 70여 명 할머니들의 수영을 통한 건강생활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2년 동안 한글을 배우러 다니는 30여 할머니들의 왕성한 향학열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진지한 학습자세와 어린 학생 같은 천진함(?), 한 획 한 획 정성껏 써내려 가는 글자쓰기, 따라읽기, 받아쓰기 등을 보면서 배움에는 노소의 구분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예상을 초월하는 많은 문맹세대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세기의 첨단산업 문화 속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받아들여야 할 텐데 가장 기초적인 한글조차 모르고 살아 온 것이다. 젊은 시절 생계문제 해결에만 매달려 배울 수 없었던 6080세대들의 문맹 탈출을 위해 우리의 학교가 앞장서야 할 때가 되었다.
원평초등학교는 농촌 학생수 감소로 인한 초등학교 통폐합의 우려와 점진적인 통폐합 계획들이 농촌 주민들에게 교육적 문화적 소외감을 확산시키고 있는 요즘 학교가 학생들만의 교육 장소가 아니고 지역민 모두에게 다양한 평생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시켜주는 성공적인 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각 지자체에서도 많은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도시중심이고 부정기적으로 단기간의 운영에 그치고 있다. 시골 주민들은 원거리 통학 등의 불편 때문에 좋은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조차 어려운 것이다. 가까운 시골 초등학교의 유휴 시설이나 인적 자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교가 학생과 지역주민들 공동의 교육의 장이 되게 하고, 교육적 역할을 증대하여 함께 공부하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가 학생만이 아닌 지역주민들의 학교가 될 때 학교통폐합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지자체에서도 학교에서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산의 지원 등 여러 가지 편의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