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의 일이다. 어느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선생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장학사님, 꼭 이런 조사를 해야 하나요? 이거 애들 편 가르자는 이야기입니까? 아니면 따돌림을 하자는 것입니까?”
무슨 말인지 언뜻 이해가 되지 않았다. 속으로 ‘또 뭔가 잘못되어 가고 있구나.’ 생각하면서 내가 보낸 많은 공문들을 떠올려 보았다. 날마다 여러 건의 공문을 이첩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전부를 기억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선생님, 무슨 말씀이세요? 어떤 공문에 관한 내용인지 자세히 말씀해 주세요.”
“며칠 전에 교우관계를 조사하라는 공문을 보내지 않았나요? 그게 교육적이냐는 것입니다.”
12월 초에 우리교육청에서는 집단따돌림 및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safe school)>만들기 운동의 일환으로 교우관계 조사를 통한 문제 발견 및 지도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아, 예 선생님 생각나는군요. 그런데 교우관계 조사에 무슨 문제가 있나요?”
“장학사님, 설문지 한 번 읽어 보셨나요? 설문지의 내용을 읽어보면 섬뜩해요. 그게 어디 교육적 배려가 담겨 있는 설문인가요?”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교육적 배려가 없는 설문지라. 도대체 무슨 내용이기에 현장 선생님의 반발을 불러일으킬까 궁금했다. 허겁지겁 전자문서를 열어 그 설문지를 다시 읽었다.
설문지의 머릿글로 학생들에게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글이 씌어져 있었다. 밝고 명랑한 학교풍토를 만들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는 점과 설문조사 결과는 담임선생님만 참고하겠다는 내용도 있었다. 바로 그 문제의 설문은 다음과 같다.
A. 여러분의 학교에서 가장 친한 친구는 누구인가요?
가령 생일에 초대하고 싶거나 좋은 것을 나누고 싶은 사람을 생각하세요. 먼저 떠오르는 순서대로 세 명까지 적을 수 있습니다.
B. 여러분의 학교에서 가장 꺼려지는 친구는 누구인가요.
가령, 자리를 바꿀 경우 짝이 되지 않았으면 하거나, 여행을 할 때 따로 가고 싶은 생각이 드는 사람을 생각하세요. 먼저 떠오르는 순서대로 세 명까지 쓸 수 있습니다.
언뜻 보면 맑고 순수한 아이들에게 친구들을 선생님에게 고자질하게 하는 내용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래서 그 선생님이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설문자체의 특수성에 비추어 본다면 보다 긍정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설문조사는 공개된 장소에서 특정한 정보를 얻기 위하야 실시하는 것이 아닌가.
가끔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경찰관서에서 설문조사를 하는데 그 내용은 이보다는 훨씬 직설적이고 학생들에게 친구나 선배를 경찰에 신고하도록 강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음 내용을 보자.
C 1. 친구나 후배들을 때린 선배를 본 일은 있는가? (있다. 없다)
2. 주로 이런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장소는 어디인가(교실, 운동장, 화장실 등등)
3. 만약 본 일이 있다면 친구나 후배를 때린 사람의 이름을 쓰시오
A,B나 C의 설문이 거의 비슷한 구조와 내용으로 되어 있다. 어찌됐든 설문조사는 문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여 한다. 처음에는 범위를 크게 하다가 점점 좁혀 구체적으로 답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문제는 설문조사를 주관하는 교사의 접근 태도이다. 우선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게 된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해 주어 학생들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집단따돌림 또는 학교폭력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어 누구라도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예방 및 근절의 필요성을 지도하여야 한다. 그러면서 이 설문조사는 처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예방을 위한 것이므로 솔직하게 답변하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더욱 분명하게 할 일은 기록사항은 담임만 알고 일체를 비밀로 하겠다는 약속이다. 또한 학생들도 응답내용을 공개하지 않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선생님, 옳은 지적입니다. 선생님에 따라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선생님의 교육적 소신에 따라 활용 여부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사전에 적절한 지도와 안내만 이루어진다면 문제 발견 및 예방에 도움이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설문조사 전에 지도가 소홀하면 문제가 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나는 이 정도로 궁색한(?) 답변을 했다. 그러자 그 선생님은 의기양양한 목소리고 “그럼 안 해도 되지요?” 이렇게 되묻는 것이다. 나는 뭐라고 달리 대답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나는 “선생님은 학급을 맡으시면 교우조사는 한 번도 안 하신가요?”하고 묻자, 그는 “나는 교우조사 r같은 것 안 해도 교우관계를 다 파악하고 있어요.”라고 대답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오전에 이런 논쟁을 하였는데, 오후에는 교우조사와 관련한 일이 실제로 터지고 말았다.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어머니라고 했다. 몹시 화가 난 말투였고 또한 울먹이고 있어서 말을 제대로 알아들을 수도 없었다. 긴 한숨을 몰아쉬면서 우리나라 교육을 매도하고 그와 같은 지시를 내린 우리 교육당국을 원망하고 질타했다.
그 어머니가 한 말은 대충 이러하였다.
학교에서 아들이 돌아오자마자 오늘 학교에서 교우관계 설문조사를 했는데 자기반 친구들이 ‘싫어하는 사람이 누구냐?’는 설문에 대하여 자기 아들의 이름을 썼다고 말하면서 놀려댔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기는 이제 창피해서 학교에 못 다닌다고 하면서 전학시켜 달라고 하더라는 것이다. 지금은 자기 방에 처박혀 울고 있다는 것이다. 평소에 소극적이어서 아이들과 잘 어울려 생활하지 못한 점을 늘 걱정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오늘 학교에서 그따위 설문조사로 자기 아들을 다시 따돌림 시키는 그런 엉터리 같은 설문조사가 어디 있느냐는 것이었다. 이쯤 되면 학부모로서 화가 나고 분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담임선생님과 상의하셨나요?” 하고 조심스럽게 묻자, 담임선생님도 화를 내면서 이 따위 쓸데없는 일을 교육청에서 지시하여 선생님들만 골탕을 먹인다고 하면서 교육청을 비난했다고 한다. 정말 선생님을 골탕 먹이기 위해서 한 일일까?
나는 침착하게 설문조사의 취지를 이해시키려 했지만 막무가내로 교육청을 몰아세웠다. 담임선생님이 설문조사를 하면서 뭐라고 했는지를 묻자 설문지를 나눠 주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너희들 거기 나온 대로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을 세 명씩 써라. 오늘 중으로 인터넷 게시판에 올려야 한다.”라고 했다고 한다. 정말 이렇게 말한 담임선생님도 있을까? 학부모의 말을 그대로 믿을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설문조사를 하기 전에 충분한 지도와 안내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학생들이 설문의 응답내용을 서로 공개하면서 장난쳤을 것이다.
화가 난 그 엄마는 계속해서 나를 다그쳤다.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은 일을 지시하였으며, 왜 인터넷에 싫어하는 친구를 공개하느냐는 것이다. 정말 기가 찰 노릇이었다. 담임이 어떤 분인가 알고 싶었다. 그냥 둘러대는 것도 유분수지 상식적으로, 교육적으로 맞지 않은 이야기를 왜 했을까?
아무래도 오늘 일은 공교롭게 돌아가고 있다. 안 해도 된다고 했던 선생님이 이 대목에서 왜 떠오르는 것일까. 교육적으로 최선을 다하지 않고 적당히 책임을 전가시키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이왕에 할 것이라면 좀 더 교육적인 배려를 했어야 했다. 혹시 "야, 이것 교육청에서 하라고 한다. 빨리 해서 내라.“ 정도로 가볍게 처리하지 않았는지 궁금하다.
지금도 그 어머니의 절규에 가까운 원망이 들리는 듯하다. 집단따돌림 및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설문조사한다면서 자기 아들을 오히려 따돌림 시키는 이 한심한 교육현장(?)을 얼마나 원망하고 있을까. 또한 귀찮은 일이라고 교육적인 배려 없이 안이하게 대응한 선생님은 도대체 어떤 분일까.
이번 일을 통하여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다. 우리가 하는 하나하나의 일이 학생이나 학부모에게는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서 늘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늘 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교육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오늘 새교육(2007년 1월호)에서 읽은 한 구절이 더욱 선명하게 떠오른다.
교사의 존재를 확인하는 곳은 ”교실“이고, 교사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은 ”교육의 질“이고, 교사의 존재를 지켜주는 것은 ”전문성“이라고 한다. 과연 우리가 전문성을 가지고 학생 지도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실 현장에서 얼마나 노력하는지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