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있는 것으로 꽃 피운 삶 스티븐 호킹

2007.01.22 21:04:00


스티븐 호킹 박사는 제2의 아인슈타인, 또는 휠체어와 금속성 목소리, 빅뱅이론의 창시자, 천체 물리학자 등등으로 불리면서 세계인이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인물이다.

스티븐 호킹은 1942년 4형제 중 장남으로 영국의 옥스퍼드에서 출생했다. 그는 10세 때부터 열대병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과학자가 되는 꿈을 가졌다. 스티븐 호킹은 특별히 공부를 잘 하거나 뛰어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의 친구들은 “공부는 썩 잘 하지 못했지만 공상을 좋아하고 특히 운동은 만능이었다.”고 회고한다. 클래식 음악과 공상과학을 좋아하였고 늘 장발의 멋진 대학생이었다. 또한 조정 선수로 당시의 학생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스티븐 호킹이 과학자적 자질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1959년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이다. 특히 물리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였다. 그러나 그가 대학 졸업반이었을 때 하늘이 무너지는 것과 같은 불행이 닥쳐온 것이다. 루게릭 병(근위축성측생경화증)에 걸린 것이다. 루게릭 병은 근육이 점점 수축되는 병으로 이와 같은 증상이 심장 근육에 이르면 죽게 되는 무서운 병이다.

누구보다도 공부도 열심히 하고 활동적으로 살아온 스티븐 호킹에게는 커다란 재앙이었다. 만능 스포츠맨으로 운동장을 누볐던 그 화려한 봄날은 육체로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는 절망적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그는 사형 선고를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런 상황이 되면 가장 먼저 괴롭고 무기력해지는 것이 본인 자신이다.

그러나 스티븐 호킹은 놀라운 생각으로 그 고통을 이겨내었다. 절망적 상황에 직면하면서도 그는 오히려 담담하게 이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 “내가 루게릭 병에 걸린 것은 사형 선고를 받은 것과 같다. 지금 살아 있는 이 순간은 그 집행유예 기간이다. 나에게 이 특별한 집행유예가 있는 것이 천만 다행이다. 그러기에 나에게는 지금 이 시간이 너무나 소중하고 아까운 시간이다. 왜냐하면 너무나 하고 싶은 일이 많기 때문이다.” 라고. 그의 말처럼 너무나 하고 싶은 일이 많았기 때문에 그에게는 절망하고 아파할 시간도 없었다. 가슴 속에 담겨 있는 삶에 대한 강렬함이 어쩌면 그를 유명한 과학자로 이끌었는지도 모른다. 그는 자유로운 생각과 도전정신만 있으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가 가진 육체적 장애는 그의 연구에 어떤 장애도 되지 않았다. 그는 장애는 마음먹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극복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육체적 불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블랙홀 증발 이론’, ‘빅뱅 이론’, 등의 우주 탄생의 비밀을 풀어 놓은 금자탑을 세웠다. 이 같은 공로로 1974년 32세의 젊은 나이에 이례적으로 자연과학 진흥을 위한 연구 단체인 영국왕립협회의 정식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시간의 반전’이론 발표 후에는 뉴튼의 뒤를 이어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학자로서는 최고의 명예인 ‘루카시언’ 교수가 되었다. 1985년에는 기관 절개 수술로 말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되었지만 그는 전 세계를 돌며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강연을 계속해오고 있다.

어느 신문기자가 “만약 루게릭 병에 걸리지 않았다면 박사님은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요?”라고 묻자 그는 이렇게 답변했다. “병에 걸리지 않았다면 읽고 쓰는 일에 지금 같이 많은 시간이 할애하지 않았을 것이다. 강연하고 시험 점수 매기느라고 아마 연구를 제대로 못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성공적인 이론물리학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루게릭 병의 공이다.”라고.

자신의 치명적인 단점에 스스로 매몰당하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강점으로 만들어 놀라운 업적을 이루어 낸 스티븐 호킹 박사의 위대함에 우리는 그저 놀랄 뿐이다. 단점을 강점으로 변화시킨 놀라운 의지가 부러울 뿐이다. 건강한 몸으로 자유스러웠다면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을 해낸 것은 그의 놀라운 선택에 있었다. 그것은 잃어버린 것, 없는 것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남아 있는 것에 충실하였던 것이다. 죽음을 앞둔 한 인간의 목표를 향한 집념과 진리에 대한 강렬한 의지가 엿볼 수 있다. 어쨌든 호킹은 '블랙홀은 증발한다.'는 예언을 해서 현대 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을 뿐 아니라 아인슈타인도 이루지 못했던 현대물리학의 마지막 목표인 양자론과 일반상대성 이론을 통일시키려 하였다.

우리는 늘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내가 가지지 않는 것에 아무리 많은 생각을 보태도 그것은 아무것도 될 수 없다. 허황된 망상에 사로잡혀 아무 것도 하지 못한 채 세월을 헛되이 보내고 만다.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이 분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그럭저럭 살아가다가 스스로 무너지고 만다. 그러나 스티본 호킹은 자신에게 남아 있는 것이 꺼져 가는 자신의 생명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그의 말대로 삶의 유예 기간에 너무나 많은 일을 하였다. 최선을 다했고 그가 가진 모든 역량을 총 동원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인류사에 빛나는 과학적 성과를 가져다 준 훌륭한 과학자가 되었다. 또한 이 땅의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와 꿈을 심어 주었고, 희망을 선사한 위대한 스승이 된 것이다.

지금 당면하고 있는 현실이 힘들고 어렵더라도 호킹 박사처럼 낙관적으로 수용하면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아름답다. 그가 처한 상황이 어떠하든 항상 최선을 다한 자만이 빛나는 삶의 발자취를 남길 수 있다.
송일섭 (수필가, 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