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을 전공했거나 교육에 관심이 있는 인사들이 가장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획일적인 교육'이다. 그만큼 현대사회가 다양화 되었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도 '다양화'가 요구되기 때문일 것이다. 요즈음에 논란이 되고 있는 대학입시에서의 내신방영비율 문제도 따지고 보면 '획일적인 반영비율 제시'때문이라는 생각이다. 대학에 자율권을 주지 않고 무조건 몇 퍼센트 이상은 반영해야 한다는 식으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선학교에서는 여러가지 실질적인 자율권을 부여해 달라는 이야기를 자주한다. 특히 매년초가 되면 교육부의 당해년도 계획이 발표되고, 각 시,도교육청에서도 당해년도 교육계획이 나온다. 이를 근간으로 하여 지역교육청에서도 계획을 발표하는데, 여기에 꼭 포함되는 것이 바로 '특색사업'과 '역점사업'이다. 이들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일선학교에서는 충실하게 실행계획을 세워서 교육계획서를 작성하고 실천에 들어가게 된다.
문제는 이들 사업들이 일선학교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단 계획이 세워졌으면 그 사업을 충실히 시행해야 한다. 수시로 실행정도를 교육청등에서 점검을 하기도 한다. 조금이라도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개선촉구를 요구받게 되는데 이것이 일선학교의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은 학교에서 어떤 특별한 사업을 하고자 해도 교육청의 기본사업은 무조건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실행에 옮기기 어렵게 된다. 결국은 이런 사정때문에 같은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학교들의 교육활동은 '획일화'의 길을 걷게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자율권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청의 특색사업이나 역점사업을 전혀 무시할 수도 없겠지만 무조건 실행해야 한다는 논리는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우리교육이 획일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사업에만 매달리지 않도록 배려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가 소재한 지역의 특성이나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사업을 펼칠 수 있도록 자율권을 부여해 주어야 한다. 자율권을 부여한 다음에 교육행정기관(교육부나 시,도교육청)에서는 해당사업을 충실히 실천하도록 지원만 하면 되는 것이다.
자율권을 부여했을때 일선학교에서 교육활동을 제대로 실시했는지의 여 부는 학교평가등에서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내실있고 효과적으로 운영이 되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실시했는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면 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학교평가의 분위기 조성이 우선이긴 하다.
최소한 현대의 교육이 획일화를 달피하고 다양하게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면 중앙에서 반강제적으로 통제하는 시스템으로는 곤란하다. 일선학교에서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서 교육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과감하게 학교에 자율권을 부여해 주어야 한다. 물론 여기에는 책임도 함께 주어져야 한다. '획일적'인 교육에서 탈피하여 '다양화'에 촛점을 맞춘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