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간의 우리말 호칭 만들자

2011.05.03 09:22:00

여보와 당신은 한자로 쓴 부부간의 호칭인데 그 동안 세월이 흘러 '여보'와 '당신'이 뒤죽박죽으로 사용하고 있어 안타깝다는 생각이다. 여보는 같을 여(如)자와 보배 보(寶)자로 보배와 같이 소중하고 귀중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진 호칭으로 남자가 여자를 부를 때 쓰는 말이다. 당신은 마땅할 당(當)자와 몸 신(身)자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 같지만 바로 내 몸과 같다는 말로 여자가 남자를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우리말은 호칭이 너무 다양하고 복잡하여 바르게 사용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시집간 딸이 우리 집에 와서 제 신랑을 부를 때 '오빠'라고 부른다. 연애시절에 부르던 호칭을 결혼을 하고나서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젊은 부부 중에는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잘못 사용하는 것이라고 지적을 해줘도 이미 습관이 된 듯하다. 자녀인 아이들이 들으면 엄마와 아빠가 '왜 오빠 사이'인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기성세대가 사용하고 있는 '여보'와 '당신'같은 부부간의 호칭을 사용하기 싫다면 ‘젊은 감각에 어울리는 부부간의 호칭을 만들어 주었어야 하는 것인데’라고 생각하며 호칭을 지어보려 해도 마땅한 말이 없는 것 같다. 도리어 젊은 감각에 맞는 호칭을 그들이 만들어 사용했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한 때 '자기'(自己)라는 말도 썼으나 좋은 호칭은 아닌듯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호칭은 아이들이 있을 경우 ○○아빠, ○○엄마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다. 부모님이 지어준 좋은 이름을 두고 자식의 이름을 빌려 간접적으로 불러주는 것이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해 주는 듯한 인상을 준다. 서양에서는 'I'와 'You'로 단순하게 사용하여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 같다. '여보'의 어원을 부부간에 서로를 부루는 호칭이며 '여기 보시오'가 줄어서 된 말이라고 정의하기도 하는데 여보(女寶)가 한자말인지를 모르고 임의대로 해석하여 진실이 왜곡된 것 같다.

부부간의 호칭은 남편(南便)을 지아비라고 하였고 처(妻)를 지어미라고 하였다.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여보와 당신 말고도 남편을 서방님, 또는 부군(夫君)이라 했고, 처(아내)는 마누라, 부인(夫人)이라고 했다. 내가 대상자를 말할 때 지아비를 남편, 주인(主人), 바깥양반이라 했고 지어미는 안사람, 내자, 임자(나이가 지긋한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서로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라고 말하기도 한다.

젊은 부부들이 사용할 수 있는 순수한 우리말로 된 호칭을 만들기 위해 명칭공모라도 하여 부르기 좋고 상대방을 사랑하는 아름다운 우리글을 만들어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일을 어느 단체가 추진해 보았으면 하는 마음도 들었다. 그리하여 부부의 날에 공표를 하여 사용하면 부부 관계는 물론 행복한 가정이 많이 늘어날 것 같아 지면을 통하여 제안하는 바이다.

호칭은 인간관계를 이어주는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은 아내를 부를 때 '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는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부부간의 호칭이 다양하지만 썩 마음에 드는 호칭이 없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한자어인 여보, 당신이 중국에서 온 것으로 알 수도 있지만 한자는 학자들이 고증을 통해 연구한 결과 우리의 조상인 동이(東夷)족이 만들었다는 것을 중국의 학자들도 인정을 하고 있다.

여보와 당신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고 사용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 제대로 알고 부른다면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가정의 달인 오월을 맞이하여 아내를 보배와 같이 생각하고 남편을 내 몸처럼 생각하는 마음으로 가정을 꾸려나간다면 더욱 행복한 가정이 늘어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