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주5일 수업제가 도입되면 연간 수업일수는 190일 이상이 제시되어 있다. 물론 190일 이상이라는 것은 상징적인 수치일뿐 정확히 190일을 하라는 것은 아니다. 여러가지로 학교와 교사들에 대한 곱지않은 시선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190일 이상보다는 194일이나 195일 정도의 수업은 해야 여러가지로 쉽게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런데 왜 190일이라는 숫자에 매달리는 것일까. 원래부터 주5일 수업제를 도입해도 수업주수는 34주를 유지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던 사실이다. 주5일 수업제를 도입했다고 해서 34주를 수정할 필요는 없다. 당연히 그렇게 해야하고 일선학교에서도 그렇게 받아들여야 옳다. 토요일에 수업이 있거나 없거나 34주는 상당한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업일수와 시간에 있다. 195일은 되어야 주5일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한다. 역시 잘못된 이야기는 아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행사등은 실제로 수업을 하는 날이 아니니, 이를 제외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지만 창의적 체험활동을 제외하고 교과수업만 고집하는 것은 확실히 문제가 있다.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당연히 창의적 체험활동도 함께 포함시켜야 한다.
주5일 수업제와 관련한 연수에서 있었던 일이다. 190일을 195일로 하면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이 생각보다 많이 줄기 때문에 각급학교에서는 2월의 수업 일수를 늘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예전에 문제가 많아서 2월 수업일수를 최소화 하였는데, 다시 부활되는 느낌이다. '190일이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수업일수를 195일로 하면 어쩌면 수업시간에 잠을 잘 수 있는 일수를 늘려주는 꼴이 될 것이다. 수업일수를 많이 잡아서 수업한다고 학교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느 고등학교 교사의 이야기이다.
여기서 우리가 눈여겨 볼 대목은 바로 '잠자는 시간을 늘려준다'라는 부분이다. 현재 학교에서는 체벌이 사라지고 인권만 강조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볼 방법이 없다. 학생과 끊임없이 대화를 해서 풀어나가야 한다고 하지만, 이것은 이론일뿐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2월의 수업일수를 늘려 잡으면 정말로 불필요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잠자는 시간이 더 늘어난다는 이야기를 쉽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잠을 잔다는 것은 학교와 교사들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교육구조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 학년말 수업결손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교육당국은 손을 놓고 있다.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뿐이다. 195일보다는 190일 이상의 수업을 하더라도 좀더 현실적이고 내실있는 교육을 하면 된다고 하면 또 제동을 걸고 나설것이다.
어쩌면 학교에서 할 수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이야기가 그냥 푸념으로 들리지 않는 이유를 알 것도 같다. 일단 학교에 맡겨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잠다는 시간을 늘려주는 것보다는 학교에서 자율로 정학고 그에따른 책임도 함께 지도를 하면 해결될 문제가 아닌가 싶다. 법적인 수업일수를 억지로 규제하는 것이 과연 교육당국에서 해야 할 일인가 다시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