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의 발자취를 찾아, 난계사와 옥계폭포

2013.09.06 14:06:00


고구려의 왕산악, 신라의 우륵과 함께 3대 악성으로 추앙받는 난계 박연. 박연은 영동향교에서 공부한 후 28세에 생원이 되었고,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대제학과 이조판서를 역임한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연주와 작곡, 악기의 제작, 음악 이론 연구는 물론 궁정음악을 정립한 천재적인 음악가였다.

성군(聖君)과 천재 음악가의 만남도 이해해야 한다. 개국 초 혼란하던 시절이라 국가 행사에서 연주하는 음악을 새롭게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던 세종대왕의 음악에 대한 이해가 난계 박연이 위대한 작품을 창작하는 뒷받침이 되었다. 집 정원에 난초가 유난히 많아 난계(蘭溪)라는 호가 붙었다.

난계 박연은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서 태어났고 계유정난으로 파직당한 후 이곳으로 낙향해 81세에 세상을 등졌다. 영동읍이나 옥천읍에서 4번 국도를 달리면 고당리에 난계 박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신 난계사가 있다. 금강을 가로지르는 고당교 옆에 국악기체험전수관, 국악박물관, 국악기제작촌이 나타나는데 난계사는 그 안쪽에 위치한다.


난계사는 충북기념물 제8호로 난계 박연을 모신 사당이다. 돌계단을 올라 외삼문에 들어서면 정면 3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을 올린 사당에 ‘난계사(蘭溪祠)’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박연의 묘소(충북기념물 제75호)는 난계사에서 800여m 거리의 밀양박씨 복야공파 문중의 선산에 있다.


난계사 입구에 국악의 고장 충북 영동군에서 만든 ‘천고(天鼓)’가 있다. 천고는 지름 5.54m, 길이 5.96m, 무게 7t 규모로 영국의 기네스 월드 레코드(GWR)가 인증한 ‘세계에서 가장 큰 북’이다.

천고는 ‘소망과 염원을 하늘에 전달하는 북’을 뜻하는 희망의 북으로 제작에 수령 150년 이상의 조선 소나무 70여 t과 소 40여 마리에서 나온 가죽이 재료로 쓰였다. 15개월에 걸친 장인들의 열성이 태극과 팔괘, 청룡․황룡․흑룡․백룡․적룡을 새기며 낮고 웅장하면서 길게 여운이 남는 소리를 만들었다.


난계 박연 홈페이지(http://nangye.yd21.go.kr)에 영동난계축제, 국악박물관, 국악기체험전수관, 국악기제작촌, 난계국악당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국악박물관은 국악 전문박물관으로 난계 박연의 음악적 업적과 예술혼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설립되었다. 난계 박연의 흉상이 입구에서 맞이하는데 난계 박연 관련 사료와 전통국악기를 수집, 보관, 전시하고 있다.


국악기체험전수관은 우리 음악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고 국악을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하면서 ‘전통문화와 교육의 뿌리가 살아 숨 쉬는 국악의 고장’으로 자리매김 하기위해 조성되었다. 가야금·거문고·해금·대금·피리·편종·편경·단소 등 8가지 국악기 소리를 동영상을 보며 들을 수 있는 체험관, 136석의 소공연장, 각종 악기를 직접 연주해볼 수 있는 체험전수실 등이 있다. 숙박을 하며 국악공부를 하는 국악연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국악기제작촌은 국악기제작 계승과 보존, 국악기 관광 상품화를 위해 만들어졌다. 이곳에서 무형문화재 제19호 악기장(가야금,해금) 동재 조준석씨가 난계 박연의 음악적 업적과 예술혼을 이어가고 있다.


난계사에서 옥천쪽으로 조금 가면 왼쪽에 옥계폭포를 알리는 커다란 입간판이 보인다. 좌회전해 4번 국도를 벗어나면 옥계폭포까지 1km쯤 좁은 산길이 이어진다. 오솔길 옆에 폭포에서 떨어진 옥수가 계곡을 따라 흐르다 잠시 머무는 작은 저수지가 있다. 폭포 입구에 도착하면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시인 묵객의 옥계폭포'라고 써있는 표석이 맞이한다. 

난계 박연을 형상화한 조형물 뒤편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경관과 20여m 높이에서 쏟아져 내리는 물줄기가 한데 어우러지는 풍경이 장관이다. 난계 박연이 즐겨 찾았다고 해서 박연폭포로도 불리는 이곳의 아름다움을 많은 시인들이 글로 남겼다.


난계 박연이 오색영롱한 폭포수 밑에서 피리를 연주하다 바위틈에서 피어난 난초에 매료된 곳이 옥계폭포다. 폭포에도 음양이 있는데 옥계폭포는 음폭의 여자폭포다. 옥계폭포의 전설이 재미있다.

옥계폭포 위쪽에 계수나무가 한 그루 서 있었는데 어느 해 봄날 한 쌍의 부부가 이 계수나무에다 그네를 매어놓고 놀이를 하다 그만 줄이 끊어지는 바람에 폭포수 아래로 떨어져서 죽어 버렸다. 그들 부부는 죽어서 한 쌍의 파랑새로 변하였다. 파랑새는 폭포 근처의 아름다운 산수를 잊을 수가 없어 이곳을 떠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지금도 매년 봄이 되면 한 쌍의 파랑새가 폭포수 근처에 나타난다.
변종만 상당초등학교 퇴직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