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러 가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의 뇌를 좌우로 구분하고 각기 다른 역할이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뇌를 굳이 좌뇌와 우뇌로 구분하여 설명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마도 그것은 감성을 지배하는 뇌의 발견이다. 즉 우뇌가 감성을 지배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우뇌적인 감각이 발달되어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으로 나눌 수 있다. 우뇌적인 감각이 발달되어 있는 사람의 특성은 타인의 감정을 읽고 반응하는 능력이 남다르다.
예를 들어 밖에서 놀다가 들어온 아이가 하는 말 “밥 먹지 않을 거예요.” 좌뇌 엄마는 이렇게 생각한다. ‘넌 배가 불렀구나. 밖에서 뭘 먹었지?’. 그러나 우뇌 엄마는 ‘얘가 밥 먹지 않겠다고? 심기가 불편해서 그럴 거야.’, ‘얘가 밥 먹지 않겠다고? 바쁜 일이 생겨서 그럴 거야.’ 이렇게 해석한다. 즉 우뇌 엄마는 아이의 정서나 감정을 읽는 능력이 높다는 것이다.
그 대신 좌뇌 엄마는 아이가 한 말뜻에 중심을 두고 해석한다. 그래서 배부른 사실에만 관심을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험을 치면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정확해서 점수가 높다.
산업사회 사대에서 필요한 인재는 좋은 대학 출신, 점수가 높은 사람, 자격증을 많이 딴 사람을 골라서 썼다. 이른바 좌뇌형 지식근로자를 선호한 것이다.
그러나 지식 정보화 사회, 후기산업사회로 이행하면서 이러한 사람들이 일군 업적에 물음표를 던지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생산성만 중시되는 사회가 변했다. 많이 만드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대신 창의력과 디자인이 중시되는 사회가 되었다. 스마트폰의 발명이 그 예이다. 애플사에서 만든 휴대전화기 정도 성능을 가진 전화기는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작고 가벼운 전화기’, 둥근모서리 같이 디자인이 중시되는 전화기, 그리고 ‘애플’이라는 상표라는 인식은 누구도 쫓아올 수 없는 가치가 되었다. 사람을 읽는 능력, 디자인과 창의를 생각하는 가치가 기업의 가치로 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를 우뇌형 인재라고 한다.
구성원들의 리더십과 도덕적 가치도 필요해졌다. 아무리 학력이 좋고 좋은 자격증을 갖고 있다고 해도 조직의 팀워크를 해치는 사원, 고속 승진된 핵심 간부가 회사 기밀을 빼내어 경쟁 회사에 팔거나 새로운 경쟁회사를 만드는 일, 사회적 비난이나 칭찬 등에 민감한 정보사회 환경 등이 도덕적 가치를 요구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고 건강하고 풍부한 감성을 가진 사람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대기업이 문과출신 인재 채용을 늘린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창의적이고 감성을 중시하는 인재는 문화 예술에서도 나타난다. 스포츠, 문화, 예술 등 한류 열풍도 결국 정신적 의미를 창조하는 능력과 예술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능력에 달려있다.
광고와 상품 세일즈 능력도 산업사회 배고픔을 해결의 문제가 아니라 감성적 트렌드를 읽는 능력, 상대방의 마음을 감지하는 능력에 있다.
다음으로 융합의 시대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이미 융합의 시대로 들어섰다. 최근 ‘드림소사이어티 시대’(꿈의 시대) 혹은 ‘하이 컨셉의 시대’(고부가 가치 기능의 시대) 라고 부르는 사람이 생겨났다. 감성적, 정신적 의미와 예술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능력의 시대라는 뜻이다.
이러한 시대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지식을 생성하는 능력보다 생성된 지식을 이해하고 찾아 결합하는 능력이 훨씬 효율적인 시대로 된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융합의 기술을 갖춘 이른바 융합형 인재일 것이다.
융합형 인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융합형 인재는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가 경쟁력이다. 예를 들면 ‘해리포터’라는 이야기 하나의 동화는 책이나 글로 생기는 이익보다 영화, 광고, 완구, 패션 등 파생어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가 더 크다는 뜻이다. 따라서 스토리나 아이디어들을 결합해 발명품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융합형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노력해야 하겠다.
1) 기능만으로는 안 된다. 디자인으로 승부하라.
2) 단순한 주장만으로는 안 된다. 스토리를 겸비해야 한다.
(단순한 지식 전달에서 스토리 전달로)
3) 집중만으로는 안 된다.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통합 능력)
4) 논리만으로는 안 된다. 공감이 필요하다. (유대, 배려 필요)
5) 진지한 것만으로는 안 된다. 놀이도 필요하다.
(웃음, 게임, 유머 등)
6) 물질의 축적만으로는 부족하다. 의미를 찾아야 한다.
(정신적 만족감)
결국, 융합형인재도 감성과 창의성이 풍부한 우뇌적 사람이 될 때 가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