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뇌 겉모양은 주름이 많아 호두처럼 생겼다. 사람이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은 이 주름에 의해 작용한다. 호두처럼 생긴 겉 부분은 다시 좌우로 구분되는데 왼쪽을 좌뇌, 오른쪽을 우뇌라고 한다. 왼쪽에 있는 좌뇌는 오른쪽 신체의 기능을 통제하며 오른쪽에 있는 우뇌 왼쪽에 있는 신체의 기능을 통제한다. 또한 모양, 공간 지능, 언어, 수리 등 서로 다른 감각 기능을 지배한다.
인간의 뇌는 순차적으로 발달하는데 태어날 때는 우뇌의 기능부터 발달하여 점차 좌뇌로 이행해 간다. 즉 태어났을 때는 우뇌를 이용하여 정보를 받아들여 사고하며 판단하는 기능이 100%에 가깝다. 그러다가 만 3세가 되었을 때에는 7:3의 정도로 우뇌가 우세하고, 초등 1학년의 경우 6:3 이렇게 점차적으로 좌뇌의 영역이 발달되어 상징적 조작기에 이르러 좌뇌 영역이 역전되며 어른이 되면 2:8 정도로 좌뇌가 우세해진다.
흔히 왼손잡이 아이가 더 똑똑하다고 하는데 이것은 우뇌 영역이 활성화된 어린 시절 뇌 기능이 충분히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뇌의 발달은 좌우가 불균형한 상태로 세대별 인지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런 것은 정보를 습득하는 책에서 나타난다. 어린이와 성인의 책을 비교해보면 그림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다르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교과서, 중고등학교 교과서도 그렇다. 공부 방식도 그렇다. 초등학교 영어 공부는 노래, 챈트, 역할놀이 등 활동 중심으로 가르친다. 하지만 중고등학교 학생에게 이런 방식으로 가르치면 오히려 이상한 선생님이라고 취급받을 수 있다.
“어른들은 몰라요.”
“요즘 아이들은 왜 그렇지?”
이렇게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인지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즉 우측 뇌와 좌측 뇌가 발달해가는 속도의 차이 때문 정보를 받아들이고 사고하고 판단하는 인지방식이 아이와 어른 간 충돌이 생기는 것이다.
좌뇌와 우뇌의 기능
1) 우뇌는 모양, 공간 지능을 지배, 좌뇌는 언어영역을 지배
교통사고를 당하여 심각하게 뇌가 손상된 환자를 통해 조사하여 나타난 실제 사실이다. 어느 날 의사가 환자에게 나사못을 보여주며 물어보았다.
“이 물건은 무엇을 하는데 쓰이지요?”
환자는 물체와 물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고 구체적인 예까지 들어서 정확하게 설명했다.
“그럼, 이 물건의 이름은 무엇이지요?”
환자는 몇 번이고 기억하려고 애썼지만 두 번째 질문에 답하지 못했다. 환자는 구체적인 모양을 인식하는 기능(우뇌)은 온전하지만 이름(언어영역, 좌뇌)을 암기하는 능력은 망가졌기 때문이다. 좌뇌 영역이 손상되면 실어증까지 생기기도 한다.
2) 우뇌는 감성조절 능력을 지배함, 좌뇌는 이성과 판단 능력을 지배
부모님과 떨어져 사는 부부에게 시어머니가 오신다고 했다. 며느리는 걱정부터 먼저 한다.
“청소를 해야겠다. 할머니 보시면 뭐라고 하시겠니?”
그러면서 물건을 정리하고 청소를 한다. 아이에게도 말한다.
“할머니 오시면 인사를 잘해라.”
내심 며느리 마음에는 걱정, 불안, 짜증이 나 있다. 드디어 시어머니가 현관문에 도착하고 벨 소리가 들린다. 며느리는 웃음을 머금고 반갑게 맞이한다.
“어머님, 왜 자주 안 오셨어요. 너무 오랜만이어요.”
그러나 아이는 인사도 하지 않고 말한다.
“할머니 또 왔어. 할머니 미워.”
할머니는 섭섭해 하면서 말한다.
“네 엄마가 미워하라고 시켰니?”
얼마 후 할머니는 아이의 흐트러진 장난감을 정리한다.
“할머니, 내꺼야. 만지지 마.”
할머니는 계속 정리한다.
“할머니 가!”
아이는 금세 감정을 잘 드러낸다. 그러나 감정을 감추는 며느리는 무엇 때문일까? 아이는 감정의 뇌인 우뇌의 지배를 받고 어른은 이성의 뇌인 좌뇌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3) 우뇌는 그림, 도형과 같은 구체적인 것을 통해 인지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좌뇌는 글자, 수식 등과 같이 추상적인 것을 통해 인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10원짜리 동전을 보여준 후 물어보았다.
“조금 전에 준 것에서 무얼 보았니?”
아이들은 “다보탑이어요.”
어른들은 “10원이라는 글자요.”
이렇게 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이에 따라 좌뇌의 기능과 우뇌의 기능이 활성화된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수업시간 공부하다가 친구가 지우개를 떨어뜨렸다.
1학년 아이들은 큰 소리로 말한다.
“야, 너 지우개 떨어뜨렸잖아. 주어야 해.”
하지만 6학년 학생들은 선생님이 알까봐 말하지 않거나 기다렸다가 쉬는 시간 알려줄 것이다. 저학년 아이들은 주위로부터 관심을 받는데 민감하다. 꾸지람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꾸지람보다는 오히려 감정에 집착한다. 다시 말하면 감정의 교감이 잘 된다. 그래서 버릇이 형성되는 시기이도 하다. 이런 아이일수록 칭찬을 통해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우뇌가 지배하기 때문이다.
4) 우뇌는 사물을 보고 느끼면서 인지하고 좌뇌는 언어로 설명하는 받아들이는 능력이 우수하다.
아이가 파도에 대해 질문을 해왔다고 하자.
“엄마, 파도가 뭐야?”
“파도는 왜 생길까?”
엄마는 파도는 바닷물이 일렁거리는 것, 바람과 지진 등의 영향을 받는 것, 그리고 파도의 움직임에 의해 바닷가 바위가 침식되는 것 등을 설명하여 준다. 아이가 잘 받아들일까?
바닷가에 살고 있지 않은 아이들은 대부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바다를 보지 못한 아이라도 그림이나 사진 등을 보여주면 이해한다. 그리고 구체적 경험을 통해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훨씬 쉽다. 최고의 답은 아이를 바닷가로 데리고 가서 보여주는 것이다.
몇 번이고 데리고 나가서 관찰하면서 호기심을 키우면 아이들은 어른들이 몰랐던 것까지 알게 된다. 초등학교에서는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체험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인지방식이 우뇌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른들은 설명이나 강의를 통해 충분히 알 수 있다. 어른들은 인지방식이 좌뇌적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우뇌적으로 키워야 한다. 우뇌감각 경험이 충분해야 건강한 어른으로 자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