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학교 교육개선이 필요하다

2014.02.06 17:43:00



최근 교육부에서는 농어촌 학생들을 위해 ICT를 활용한 농산어촌 학생 학습여건 개선 및 문예체험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 대책의 근거가 되는 농어촌 학교 교육현황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표하였다.  이 자료를 중심으로 농어촌 교육의 현황과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1.학습 여건
농촌학교의 약40%(1,896교)가 60명 이하 소규모학교로, 복식수업, 방과후학교 운영 제약, 또래학습 결여 등 열악한 여건이다. 방과후 강좌수(교당 평균)에서 초등의 경우 도시 62개 > 농촌 17개,  중학의 경우 도시  68개 > 농촌 27개, 고교의 경우 도시 109개 > 농촌 42개이다.   대부분 농촌학교 인근에 학원이 전혀 없어 학습결손 보충이 어렵고 영어 및 예체능 능력 계발에도 한계 (농촌 학교 기피의 큰 원인)가 있다.  도·농간 기초학력의 격차는 작으나, 고학년일수록 특히 중학교 단계 보통이상 수준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2012년 시행 국가단위학력평가 분석(수학)에서 중학교의 경우 대도시는 69.8점인데 농촌은 59.1점이다.

2. 사회적 여건
아동기·청소년기 학생들의 성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각종 체험기회가 부족하다.  열악한 경제·사회적 여건으로 체험기회 제공 기관 및 장소가 부족하다.  기초수급자, 조손가정, 다문화가정 등 경제적·구조적 취약계층 가구의 증가로 가정의 관심과 돌봄기능이 약화되고 잇다.  기초수급자 학생비율에서 도시 2.9%인데 비하여  농촌은 4.1%이다. 농촌 지역 다문화가정 학생수는 (’11)14,391명에서  (’12)16,655명에서→ (’13)19,674명으로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3. 문화적 여건
지역의 문화 인프라가 부족하고, 지리적 여건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부족하다.  단위면적당 문화기반시설 수(개소/㎢)에서  농촌 0.01인데 비하여  도시 0.13이다.  연평균 예술행사 관람횟수 에서도 농촌 3.7회로 도시 5.1회에 비하여 열악한 편이다.   스마트폰 및 가정에서 스마트 패드 등의 보유의 차이로 정보 습득과 간접적인 문화체험 기회도 제약되고 있다. 스마트기기 보유비율에서 농촌 66.5%인데 비하여  도시 69.9%이다.

4. 개산방안
첫째,  농촌학교의 소규모학교에 맞는 교육운영을 하여야 하며  농어촌에 알맞는 복식수업 형태를 개발보급하여야 하겠다. 둘째, 농어촌지역이 부족한 방과후 강좌수를 늘리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특히 농어촌 중학생에 대하여 자유학기제에 대비하여 방과후 강좌수를 늘리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셋째, 농어촌 학생들이 소규모 학교에서 또래집단이 적은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넷째, 농촌학교 학생의 학습결손 보충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겟다.

다섯째, 농어촌 학교생들의  영어 및 예체능 능력 계발 기회를 보충하여야 하겠다. 여섯째, 농어촌 학생들에게 각종 체험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야 하겠다. 각종 체험기회 제공 기관 및 장소를 확대하여야 하겠다. 일곱째, 도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기초수급자, 조손가정, 다문화가정 등 가정의 관심과 돌봄기능을 보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여덟째,  농어촌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보충하여야 하겠다.

아홉째, 스마트폰 및 가정에서 스마트 패드 등의 보유의 차이로 정보 습득과 간접적인 문화체험 기회도 제약되고 있음을 극복하여야 하겠다. 다행히 교육부에서 농어촌지역 학생에 대한 스마트패트 등 교육기회 제공을 하겠다는 대책을 발표하였다. 열번째. 약 2만명이나 되는 농어촌의 다문화학생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가서도 중도탈라하지 않도록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 져야 하겠다. 전체 청소년들의 10%에 불과한 농어초 청소년들의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하여 우리 모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하겠다.
이영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