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책형교과서와의 이별통

2012.11.01 09:00:00

2015년부터 시행할 디지털교과서 중심의 스마트교육을 위해 정부는 2조2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연수에 필요한 예산만도 5748억 원이다. 디지털교과서 안착을 위한 연구학교는 지난 2008년부터 운영 중이다. 교과부가 엄청난 예산과 노력을 들여 오랜 시간 함께 했던 서책형교과서와 점차적 이별을 준비 중이다. 그러나 그 이별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보다 확장된 교육이 가능할 것이란 ‘긍정’과 교육을 망칠 수도 있다는 극한의 ‘부정’이 상반되기 때문이다.

전자칠판에 남극의 모습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남극에 대해 공부하는 사회 시간.
“자, 이제 남극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우리가 남극에 가기 위해선 어떤 나라를 통해서 가야 할까? 그리고 어떤 나라에서 출발할까? 정답을 아는 친구는 학교 인터넷 홈페이지 쪽지보내기를 통해서 선생님한테 보내주세요! 제일 먼저 답이 도착한 세 명의 친구에게 상품을 줄게요!”
학생들 각자 태블릿 PC를 통해 자료도 찾고 남극에도 가 본다. 선생님은 전자칠판 기능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학교 홈페이지 쪽지보내기 등과 같은 방법을 활용해 학생들의 개인 학습활동 과정을 점검하고 수시로 피드백을 제공한다. 아이들은 열심히 인터넷을 검색하고 쪽지로 답을 보낸다. 그 자리에서 바로 자료를 검색해 답을 찾고 인터넷 3D 지도를 통해 남극에도 가보는 아이들의 눈이 초롱하다.
2008년부터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한 초등학교 수업 모습이다.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빠르고 즉각적으로 정보를 찾아볼 수 있고 널리 퍼져 있는 다양한 교육· 학습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는 디지털교과서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는 모습이다. 큰 불편함 없이 디지털교과서에 적응해 가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 학교 교사는 “디지털교과서가 교수·학습에 변화를 가져다 줄 새 교육매체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학교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실 환경을 주기적으로 개선하고, 유지와 보수가 잘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지도자료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 “가정에서도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해 학교와 가정 간 연계지도를 할 수 있도록 간편 설치 및 콘텐츠 자동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순탄해 보이는 변화의 과정 속에 있지만 디지털교과서 연착륙을 위해선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가 많다는 얘기다.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실제로 디지털교과서로의 변화가 진행 중이지만 곳곳에서 교사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진다.
“디지털교과서라는 것이 그저 총체적 학습지일 뿐입니다. 에듀넷 이러닝을 보면 공부할 것이, 활용할 정보가 정말 엄청나게 방대해요. 학생들이 이를 굉장히 부담스러워 합니다. 지나치게 많은 자료가 오히려 학생들에게 겁을 주는 격이죠.”
“하드웨어만 바꾸면 된다고 생각하는 건 문제죠. 디지털교과서를 하나의 교구로만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걸로 전체를 바꾸려 하는 건 문제라고 봅니다. 교사들에게도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서 아이들이 그런 교사들을 보면서 배우고 성장하는 것인데 일괄적으로 기기를 나눠주고 스마트교육을 하라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어요.”
“교사의 역량을 죽이는 겁니다. 애들이 스마트기기로 딴 짓하는 것도 통제가 힘들어요. 정부는 2015년 전면 도입을 말하기에 앞서 학교별로 기존에 있는 컴퓨터실은 잘 사용하고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디지털교과서에 회의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의외로 강경하다. “교육을 망칠 수도 있다”는 극단적 회의론자도 있다. 이들의 우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어울림’의 기회가 상실된 고립화된 개인학습이라는 것이다. 스마트기기를 통해 스스로 자료를 검색하고 찾아보는 ‘나만의 세상’이어서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사회성도 키우고 배려하고 존중하는 방법을 배울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다는 우려다.

학생 통제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는 긍정성 이면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어떤 정보에 접속해 있는지 파악이 힘들다는 것이다. 때문에 학생들의 주의집중을 유도하기 위한 교사들의 행동안내나 지시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버그나 다운 현상 등 기기나 시스템, 프로그램의 오류로 인해 수업 진행이 힘들고 수업 흐름에 방해를 받는 사례도 골칫거리다. 이는 연구학교에서도 종종 겪는 문제로 지적되곤 했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재원마련 역시 우려의 대상이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만들기, 종이 접기, 찰흙 만들기 등 아이들에겐 오감을 통한 경험이 중요한데 학교에서는 이런 학습준비물 예산을 빼서 스마트기기 마련 등에 투입하고 있다. 이것이 옳은 일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한다.
학생들 건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게임 중독이 문제가 되고 있는 마당에 이를 부추길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 또 장시간 태블릿 PC를 사용할 경우 시력저하나 두통, 팔의 통증과 같은 부작용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디지털교과서 전환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다.
최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유은혜(민주통합당) 의원과 좋은교사운동이 2008 ~2011년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299곳의 보고서를 전수조사한 결과도 긍정적이진 않다. 이에 따르면 학생들 약 80%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해 본 결과 별 효과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299개 전체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전반의 학습효과에 대해 ‘의미 있는 효과가 있었다’고 답변한 경우는 지난 4년의 평균을 냈을 때 21.5%에 불과했다.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을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등 5개 항목으로 평가한 결과다. 앞서 교사들의 우려와 마찬가지로 이 조사에서 역시 눈의 피로와 두통, 콘텐츠 오류나 단말기 오류로 인한 수업결손 발생, 수업 준비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을 지적됐다.

효과성을 높여라
그렇다면 과연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 안착은 요원한 것일까? 또 하나의 연구결과는 희망을 말한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지난 2월 발표한 ‘2011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에 따르면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도 서책형교과서와 마찬가지로 학업성취도를 얻을 수 있었고, 초등학교 과학과 사회 교과에서는 오히려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교과서에 비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 디지털교과서만 사용하든 서책형교과서와 함께 사용하든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 있어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적 특성, 즉 그 자체의 효과성 보다는 이를 활용하는 교사의 의지나 노력이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에 무엇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연구서는 덧붙여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정책 개선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사들은 학습자 중심형 콘텐츠 개발, 콘텐츠 재구성 기능, 도구형 콘텐츠 개발, 콘텐츠 오픈마켓 개설, 교사지원 강화, 교수학습모형 개발, 상호작용기능 강화, 도구적 활용 강화, 편집 시 저작권 문제 해결, 건강상의 이슈 고려 등을 제언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는 서책형교과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빠르게 변화·발전하는 첨단 디지털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미래형 교과서다. 전 세계적으로도 디지털교과서는 새로운 흐름임이 분명해 보인다. 때문에 이런 흐름 속에서 조금씩 학습 환경을 바꿔가면서 디지털교과서의 안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더불어 현장의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소통’ 정책에 대한 기대도 높아가고 있다.
편집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