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

2013.05.01 09:00:00

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는 나눔과 조화, 배려를 추구하는 노래하는 교사들의 모임이다. 그래서 이 모임 교사들은 모일 때마다 서로의 부족함은 채워주고 넘침은 다른 이들에게 유통시키면서 서로의 성장을 독려한다. 학교업무를 마치고 모인 시간 오후 6시, 강원도 인제지역 소모임 ‘화요일’을 만나 교사를 성장시키고 학생을 행복하게 변화시킨 아카펠라의 매력에 대해 들어봤다.

“크레센도 워워 One Two / 내 목소리가 묻혀 내 숨소리가 커져 / 아무도 듣지 않는 내 말은 Rising in Crescendo / 목소릴 높여 High 날 좀 알아줘 Hi”
방과 후 교실을 독차지한 6명의 학생들이 요즘 한창 인기 있는 악동뮤지션의 ‘크레센도’를 열창한다. 아! 그런데 이상하다. 피아노나 기타, 베이스 등 악기를 연주하는 학생은 없는데 빈틈없이 화음이 채워져 풍성하게 들린다. 테너, 바리톤, 베이스, 알토, 메조소프라노, 소프라노까지 한 사람이 하나의 악기가 돼 차곡차곡 화음을 쌓으니 과연 목소리보다 더 아름다운 악기는 없는 듯하다.  
“TV에서 처음 이 노래를 들었을 때 조금만 편곡하면 우리 아이들 목소리에 정말 잘 어울리는 곡이 될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주말 내내 편곡했죠.”
창의적 체험활동 중 아카펠라 동아리 수업을 지도하고 있는 한승모(인제남초) 교사, 그는 올해로 경력 12년차로 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를 만든 장본인이다.

행복을 나누는 아카펠라교사모임
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는 전국 유일의 아카펠라교사모임이다. 한승모 교사가 주축이 돼 2006년부터 소규모로 시작했는데 ‘노래하는 교사들의 모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현재는 회원 수만 해도 150여 명을 넘는다.
“현재 전국 13개 지역에서 20여 개의 소모임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초창기를 생각하면 대단한 발전이죠.”
정기모임은 지역별 모임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운영한다. 한승모 교사가 활동하고 있는 강원도 인제지역 모임의 경우, 매주 1회 이상 모여 새로운 노래를 부르면서 친목을 도모하고, 더불어 음악수업과 학급경영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음악은 행복을 전염시키는 것 같아요. 모임에 나오면서 제가 더 행복해졌어요. 또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나누니까 음악수업을 지도할 때 자신감도 생기고 훨씬 편안해졌어요. 무엇보다 적극적이고 활력 있는 교사로 변하면서 마치 화음을 맞추듯 학급 전체를 보는 안목을 배우게 돼서 참 좋아요. 아마 아이들도 느끼고 있겠죠.”
2010년부터 모임에 나온 황고운(인제남초) 교사의 말이다.
이 모임을 수식하는 단어 중에는 ‘최초’가 많다. 2007년 아카펠라를 주제로 6~30시간 자율연수를 처음 실시했고, 이를 계기로 몇 년 후부터는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춘천교육대학교 교사연수센터, 서울교육대학교 교사연수센터,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등에서 30시간 직무연수를 직접 기획·진행했다. 직무연수는 교사들에게 노래 부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교수학습법, 손을 활용한 수업법, 편곡법, 최근에는 아카펠라 지도자 양성과정까지 폭넓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함께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포럼이나 여수세계청소년축제 중 일부 행사를 맡아 진행하는 등 아카펠라 교육효과를 공론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도 하고 있다. 
“요즘 아카펠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아카펠라는 악기 없이 만드는 음악이라는 특징이 있죠. 별도의 준비물이 필요 없으니까요. 누구나 소리만 트이면 함께할 수 있는 음악이라는 점에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는 것 같아요.”
모임에서 회장을 맡고 있는 한승모 교사의 말이다.

자존감·성취감 높이는 아카펠라 교육효과
아카펠라를 활용한 수업 및 동아리 지도 역시 이 모임의 핵심활동 중 하나다. 손 기호나 계이름 막대를 활용하는 음정활동은 음감을 높이고 음정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게 한 교사의 생각이다.
1년 전부터 아카펠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인제남초등학교 6학년 전은빈 학생은 “원래 목소리가 작아서 노래 부르는 것을 싫어했는데 음정활동을 하면서 음이나 노래 부르는 것에 자신감을 갖게 됐고 목소리도 커졌다”고 말했고, 동급생 염현희 학생 역시 “아카펠라 동아리를 하면서 처음 대만에도 갔다. 세계각지에서 온 여러 아카펠라 그룹과 같이 공연을 했는데 기억에 많이 남는다”면서 아카펠라 동아리 활동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아카펠라라고 하면 음감이 뛰어난 사람들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김대성 교사의 생각은 다르다. 김 교사는 아카펠라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음악이라고 말한다. 그 비법으로 김 교사가 제시한 것이 첫째, 재미있게 노래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 것과 둘째, 실음 중심의 활동을 하라는 것이다.

“말과 음악과 신체는 하나라는 말이 있어요. 노래를 할 때는 리듬에 맞는 작은 몸짓을 하게끔 지도하면 좋아요. 손, 발, 머리 어떤 것도 좋아요. 이렇게 노래하면서 동작을 하는 것은 음악교육적으로도 매우 효과가 있거든요.”
2012년부터 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 회원이 된 강현진(용대초) 교사는 아카펠라를 하면서 학생들의 인성교육이 자연스럽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모가 많이 난 아이, 우울증이 있는 아이, 화를 잘 내는 아이들을 지도했는데요, 아이들의 성격이 좋아지는 걸 봤어요. 자기들끼리 연습하면서 각자의 역할에 대해 토론하고 의사소통을 해야 하잖아요. 그러니까 자연스럽게 이타심, 배려심, 협동심을 배우면서 자신의 감정까지 조절하게 되더라고요. 어린나이에 매우 값진 경험을 한다고 느꼈어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자신이 맡은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해야만 아름다운 노래가 완성되기 때문에 존재감은 드러내되 튀지 않는, 이른바 균형감각과 이를 잘 수행했을 때에는 성취감까지 얻게 된다는 게 이 모임 회원들의 생각이다. 
이 같은 아카펠라 교육효과를 경험하면서 작년부터는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캠프도 열고 있다. 여름에는 강원도 원통지역 학생과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감자꽃스튜디오에서 캠프를 진행했는데 20여 명이 1박 2일간 참여해 다양한 음악체험을 했다. 음악시간에는 쉽게 접하기 힘든 악기를 사용해보고, 짧은 곡이지만 아카펠라를 완성하는 경험도 제공했다. 
“목적은 하나에요. 다양한 악기, 음악, 문화를 체험하면서 행복한 시간을 갖는 거죠. 흥미를 갖고 열심히 하다보면 성취감이나 자존감은 자연스럽게 따라오죠.”

음악 통한 나눔
아카펠라를 나눔과 조화, 배려의 음악이라고 말하는 이 모임은 매년 사회단체와 함께 자선공연을 기획해 열고 있다. 2012년에는 사단법인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자선공연을 열었고 올해는 제주 지역주민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6월 28~30일까지 2박 3일간의 음악나눔을 계획하고 있다.
“학창시절 처음 아카펠라를 접하면서 음악을 통한 나눔의 즐거움을 알았어요. 그래서 그 기쁨을 이제는 더 많은 사람들과 누리고 싶어서 매년 3~5회 정도의 공연을 열고 있어요. 2011년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함께 2011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개막행사 때 ‘천 명의 아카펠라’라는 플래시몹 공연을 펼쳤어요. 1000명이 광화문 곳곳에 흩어져 있다가 정해진 시간에 광화문 KT아트홀과 교보문고 입구에 모여 약 90분 정도의 공연을 선보였어요. 이 공연에는 모임 회원들은 물론 시민들까지 참여하면서 정말 많은 사람들이 아카펠라를 경험하게 됐죠.”
아카펠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환기시킨 이 일을 계기로 지난해에는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개막행사에서 초등학생 1000명과 함께 ‘천진난만 꿈의 합창’이라는 대규모 공연을 열기도 했다. 전국 25개 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1000명이 한목소리로 꿈을 노래한 공연이었다.
합창은 지휘자의 역량을 중요시한다. 하지만 아카펠라는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성실히 해낼 때 아름다운 노래가 완성된다. 덕분에 전체를 보는 안목,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그리고 나눔은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준다. “개개인이 지휘자만큼의 역량을 갖췄을 때 가장 아름다운 노래가 완성된다”고 말하는 이 모임이 앞으로 들려줄 아름다운 화음이 기대되는 이유다.
서지영기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