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터치와 온 디맨드

2015.02.01 09:00:00

신속정확. 우리 민족은 빠르면서 동시에 확실한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한 방에 해결하는 원 터치(one touch)’ 속에서 경쾌한 쾌감을 맛보며, ‘즉시 만족할 수 있는 온 디맨드(on demand)’를 위해 경쟁적으로 삶을 채찍질한다. 속도는 중독성 있는 욕구이다. 하지만 ‘성급한 빠름’은 자칫 자충수를 두게 한다. 답답해 보이지만 ‘느림’의 귀결은 평온에 있다. 시간의 진정한 힘이다. ‘원 터치’나 ‘온 디맨드’는 시간의 섭리에 대한 가당치 아니한 반항이 될 수도 있다. 시간의 신에 대한 바벨탑 쌓기가 될 수도 있다.

1.
이태리 밀라노 여행에서 손 편지로 쓴 엽서 한 장을 국내의 친구에게 보내려고 밀라노 중앙역 근처의 우체국에 들어 간 적이 있었다. 창구에 그저 대여섯 사람 정도가 줄을 서 있어서 나도 그 뒤에 가서 섰다. 나는 내 동료 일행을 역 광장에 두고 잠깐 우체국 좀 다녀오겠노라고 하고 우체국에 들어 왔기에 빨리 일을 마칠 것을 기대하였다. 그런데 웬일인지 우편물 접수 처리를 하는 직원의 일 속도가 너무 느렸다. 손님의 시시콜콜한 질문과 주문에 모두 한도 끝도 없는 대답을 해 준다. 또 준비나 절차에 문제가 있는 손님에게는 그 준비를 대행해 주듯이 시간을 쓴다. 갈 길이 먼 나는 울화통이 터졌다. 한국에서라면 아마도 뒤에서 벌써 항의성 고함이 터졌을 것이다.
프랑스 파리 동부 역에서 독일 슈투트가르트 행 열차의 표를 발권할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긴 행렬 뒤의 다급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아랑곳 하지 않고 느릿느릿 일을 처리하는 역무원의 한가로운 표정! 우리 일행은 그것이 너무 고통스러웠다. 자칫하면 계획한 열차를 놓칠 수 있다. 그러면 그 이후 일정은 낭패이다.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다. 그러면서 우리는 IT 강국인 우리나라의 빠른 업무 처리 속도에 자부심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이미 오래 전 일이니까 프랑스나 이태리도 이제는 이런 일들이 빠르게 전산화 되어 상당히 나아졌을 것이다.
미국에 연구교수로 간 동료 교수들의 경험담 속에도 이런 경우는 자주 발견된다. 미국의 어떤 주에서는 소지하고 있는 국제운전면허를 근거로 현지의 운전면허를 다시 확인받는 데에 모두 일곱 번을 해당 관공서에 가게 한단다. 한 창구에서 원 터치로 해결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꿈이라고 한다. 이 창구에서 저 창구로, 이 기관에서 저 기관으로 그렇게 거치고 거처서 다녀오기를 요구한다고도 했다. 석 달 가까이 걸려서야 겨우 받았다는 이야기 등등이 그러하다.
그런데 이 모두는 빠른 속도로 처리하기를 바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에 견디기 어려웠는지도 모른다. 선진국인데 오죽 잘 되어 있으랴. 그런 기대가 우리들 마음에 자동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막상 그렇지 못한 상황을 경험했을 때, 견디지 못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박인기 경인교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