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기의 마음 나누는 교수학습법]가르침의 본질

2016.12.10 12:40:54



가르친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가르침의 본질은 무엇일까? 학생들도 교재를 갖고 있고, 그들 스스로 책을 읽을 줄 알며 이해할 수도 있을 텐데 과연 가르친다고 하는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연구원에 근무하다가 학위를 마치고 귀국해 곧바로 교수가 된 나에게 떠오른 질문들이었다. 
 
이런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교수법에 대한 다양한 책을 구입해 읽기 시작했다. 그런 책들을 통해 많이 배울 수는 있었지만 목마름은 해소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책들은 가르침의 기법을 소개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었고, 그 기법을 잘 익히면 최고의 교수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을 들게 했다. 그러나 따라 해봐도 학생들을 배움의 희열로 이끌 수가 없었다. 
 
남들이 사용하는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자신도 성공적인 강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백유경에 나오는 첫 번째 비유인 ‘소금만 먹은 사람’과 같은 우를 범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잔칫집에서 주인이 주는 음식을 먹고, 싱거워 맛이 없다고 불평했다. 주인이 그 말을 듣고 음식에 소금을 넣어줬다. 그는 소금을 넣은 음식을 맛있게 먹고는 생각했다. ‘음식이 맛있는 것은 소금 때문일 것이다. 조금만 넣어도 맛이 나는데 하물며 많이 넣을 때와 견주겠는가.’ 그래서 그는 무지하게도 소금만 먹었다. 그 결과 입맛이 틀어져 도리어 병이 나고 말았다.
 
오랜 시간 가르침의 길을 걸으며 지금까지 도달한 결론은 가르침은 만남이고 소통이며 나눔이라는 것이다. 잠시 스쳐가는 만남이 아니라 교사 자신의 ‘밈’(meme‧문화유전자)을 학생들에게 전파하는 그런 만남이다. 다음은 매 학기 제자를 떠나보내며 건네는 편지글의 일부다. 
 
‘우리 조상의 생물학적 정보가 유전자를 통해 오늘의 우리에게 전달됐듯이 가르침의 길에 선 우리의 신념과 열정, 그리고 지혜는 밈을 통해 나의 스승에게서 나를 거쳐 여러분에게로, 그리고 다시 여러분의 제자를 통해 그 끝을 알 수 없는 여행을 하게 될 것입니다. 나의 밈을 함께 나눈 지적 후예인 여러분 곁에 늘 제가 있겠습니다.’ 

가르침은 교사가 가진 지식과 밈을 전파하는 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며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가는 그런 만남이다. 일방적으로 주기만 하는 교사는 외사랑을 하는 사람처럼 결국 지치게 된다. 가장 아름다운 교사의 모습이 ‘영원한 학생’인 이유는 학생들과의 만남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해가는 교사만이 학생들과 더불어 늘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간의 만남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 조건은 소통이다. 소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야 한다. 헤겔은 마음의 문고리가 안으로 달려 있다고 말한다. 스스로 열고 나오지 않으면 밖에서 억지로 열 수 없다는 의미다. 학생이 마음의 문을 닫고 있으면 밖에서 아무리 소리쳐도 학생의 마음에 도달할 수 없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할 때 마음의 문은 저절로 열린다. 따라서 자기가 가르치는 학생·학부모와의 만남 활동(상담 포함)은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의 시작점이 된다. 많은 학생을 한꺼번에 가르쳐야 하는 상황에서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 학생들 중에는 선생님에 대해 마음의 문을 열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은 않다. 여러 이유로 마음의 문을 닫고 그 안에 숨어있는 학생들과의 만남에 초점을 맞추면 된다. 이는 혼자서 수백 마리의 양을 몰고 가는 목자의 모습과도 같다. 그는 길 잃은 한 마리의 양을 돌보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가르치는 기법만 많이 알고 있으면 잘 가르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착각이다. 가르치는 기법을 갖추는 것은 가르치는 과목에 대한 전문성, 학급경영 역량, 그리고 교과교육학적 지식을 포함해 잘 가르치기 위한 여러 필요조건의 하나에 불과하다.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 그리고 학생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 선행돼야 가르침은 성공할 수 있다. 가르침은 단순한 교과 내용 전달이 아니라 삶과 세상에 대한 교사의 깨달음을 학생들과 공유하는 나눔 활동, 즉 밈 전파 활동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