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은 집현전을 설치해 인재를 양성했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의 공부법’을 요약하면 ‘질문하고 토론하라’이다. 1만 8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세종실록’에서 임금의 표현 중 가장 많이 나오는 말 중 하나는 “경들은 어찌 생각하시오”라고 한다.. 질문을 던져 상대방의 생각을 이끌어 내고 토론을 통해 지혜를 모으는 방식이다. 국가의 중대사를 논할 때도, 집현전 학사들과 격의 없는 논쟁을 벌일 때도 세종은 가장 먼저 신하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게 일상이었다.
박현모 세종리더십연구소장의 분석에 따르면 세종의 의사결정은 회의를 통한 것이 63%, 명령이 29%였다. 반면 그의 아들인 세조는 명령이 75.3%, 회의가 20.9%였죠. 박 소장은 “강력한 왕권을 가진 군주였지만 모든 결정을 신하들과 의논해 내렸다”고 설명한다. 세종은 전분 6등법과 연분 9등법으로 나눈 토지조세 제도를 실행하기에 앞서 무려 17년 동안 일반 백성 16만 명의 의견을 조사하기도 했다.
이처럼 질문을 던지고 토론하며 경청하는 스타일은 그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임금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이 같은 세종의 공부법은 과거 뿐 아니라 미래 사회에도 더욱 절실히 필요한 공부법이다.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4차 혁명 시대에는 공부의 개념 자체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학교는 "읽고, 생각하고, 질문하고 토론하며 실천하는 곳'이어야 한다. 우리에게도 위대한 임금의 공부법, 세종의 공부법이 있다. 책을 취미 삼아 읽게 하는 일, 학생들을 생각하게 하는 교육, 선생님 생각대로가 아닌, 학생들과 함께 하는 질문과 토론이 일상이 된다면 4차 혁명 시대의 파고를 충분히 넘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먼저 길을 내신 세종 임금의 공부법을 실천하면 된다.
오늘부터 1학년 아이들에게 하는 질문은,
"오늘은 무슨 책을 읽었니?"
"네 생각은 무엇이니? 왜 그렇게 생각하니?
"친구 생각을 잘 들어보고 좋은 생각을 찾아볼까?"
"깨달은 것을 어떻게 실천하면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