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포인트]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 사회

2018.05.02 09:00:00

2013년 10월 글로벌 교육기관 바르키 GEMS 재단이 교사의 연봉, 사회적 지위 등을 종합해 ‘교사 위상 지수(Teacher Status Index)’를 발표했다(Pota, Boxser, & Pajpani, 2013).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고, 교사의 질은 교사의 업무 조직화, 교사 개발 및 연수, 그리고 교사에 대한 지원 수준을 넘을 수 없다’는 일반적 믿음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했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교사 위상 지수는 초등학교 교사의 존경도 순위, 중등학교 교사의 존경도 순위, 교직과 위상이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직종의 존경도 순위, 학생들의 교사 존경도에 대한 인식 등 네 가지로 구성됐다. 이 글에서는 보고서 내용을 요약·소개하고, 국제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해석상의 오류도 밝혀 이 연구가 우리 교육과 관련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을 새롭게 밝혀보고자 한다.


‘세계 교사 위상 지수’ 연구 분석

세계 교사 위상 지수 순위는 중국(100), 그리스(73.7), 터키(68.0), 한국(62.0) 순으로 우리나라가 4위이다. 교사의 질과 교사에 대한 신뢰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핀란드의 교사 위상 지수는 28.9로 13위에 그쳐 의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위상을 간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지표 중 하나는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에게 얼마나 강하게 교직을 권할 것인가를 묻는 것이다. 조사 결과 중국(50%), 한국(48%), 터키, 이집트 순으로 자녀에게 교직을 권하겠다는 답이 나왔다. 자녀에게 교직을 권하는 비율이 높은 나라는 대부분 학생의 교사 존경도가 높다고 믿고 있었다. 한 국가만 예외인데 그 국가가 바로 우리나라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직을 권하는 비율은 두 번째로 높으면서도 학생들의 교사 존경도에 대한 믿음(성인들에게 학생들이 교사를 존경한다고 생각하는가라고 질문)은 11%로 가장 낮았다. 교사에 대한 사회적 존경도가 높은 나라 중에서 한국만 학생들의 존경도가 낮다고 인식한 이유는 뭘까? 이 보고서는 기성세대들이 학생들에게 기대하는 교사 존경 수준은 높은데, 학생들의 스승 존경 전통이 급속도로 무너져 내리면서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어쩌면 교사들과 사회가 학생들의 스승 존경 수준에 대해 너무 큰 기대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조사 결과를 근거로 당시 언론에서는 「연봉 3위…학생들 존경심은 ‘꼴찌’」(연합뉴스), 「한국 교사 위상은 4위, 학생들 존경심은 꼴찌」(중앙일보), 「한국 교사 위상 지수, 존경심은 최하, 연봉은 3위」(한국 일보) 등의 기사를 내보냈다.


우리 교육계가 풀어야 할 가장 큰 숙제

이 연구에서는 교사 초임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는지, 적절한 초임은 얼마나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실제 초임을 알려준 후 초임 수준이 어떠하다고 생각하는지(과다, 적절, 미흡)를 조사했다. 교사 초임 수준이 과다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나라가 우리나라이고, 그다음은 일본·싱가포르·이스라엘·미국 순이었다. 반 면에 생각한 것보다 실제 초임이 훨씬 적다고 응답한 사람 비율이 높은 나라는 영국· 브라질·뉴질랜드·스페인·핀란드 순이었다. 이번 전체 응답자의 95%는 교사들이 지금 받는 것보다 더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나라 교사 급여 수준(구매력환산 금액 기준)은 OECD 38개 국가 중에서 9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조금 순위가 떨어졌다. 그래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런데 일반인들 머릿속에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각인되어 있는 것 같다. 2013년 교사 위상 지수 보도에서도 교사 급여가 조사 대상 국가 중에서가 아니라 그냥 세계 3위인 것처럼 제목을 뽑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교사 급여에 대한 선입견과 함께 필요 이상으로 높다는 사회 일반 인식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연합뉴스, 2013.10.05; 중앙일보, 2013.10.07 등).


교사 위상 지수 연구에서는 교사의 교육역량에 대한 신뢰 수준, 국가의 교육시스 템에 대한 신뢰 수준, 그리고 교사 급여와 근무 조건에 대한 교직단체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등도 조사하였다. 교사 신뢰 수준 평균은 10점 만점에 6.3점으로 나왔는데 5점 이하인 국가는 없었다. 교사 신뢰도는 브라질(7.2점), 핀란드(7.1점), 스페인(6.8점), 중국(6.7점)이 높고, 이스라엘(5.2점), 일본(5.3점), 그리고 한국(5.4)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교사의 교육역량에 대한 신뢰도 수준은 21개국 중 19위를 차지했다. 교사에 대한 낮은 신뢰도는 우리 교육계가 풀어야 할 가장 큰 숙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교육역량에 대한 신뢰와 교사 존경도도 상관관계가 낮아 이 양자는 서로 다른 영역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교사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데 존경도는 높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잘 이해가 되질 않는다. 이는 존경도를 위상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는 데에서 나타난 해석상의 오류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교사의 위상은 높지만, 교사 역량에 대한 신뢰도는 낮다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교사에 대한 기대치 높지만 신뢰도는 낮은 나라

교사 교육역량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중 가장 큰 것은 높은 기대치이다. 비싼 학원에 보내어 맞춤형 교육을 시켜보았거나 현재 시키고 있는 부모들에게는 학생 하나하나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개별 지도를 하지 않는 학교 교사들의 교육서비스가 만족스러울 리가 없다. 이는 교육체제에 대한 낮 은 신뢰도와도 직결된다. 또한 교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으니 급여 수준이 너무 높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또 하나는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불신 및 갈등 수준이 높은 데 그러한 사회적 상황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교사에 대한 신뢰도만이 아니라 의사나 법조인에 대한 신뢰도 역시 높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신뢰도가 낮은 원인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해보고 신뢰도 향상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 이 필요하다.


조사 대상 국가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평균은 10점 만점에 5.6이 나왔다. 21개국 중 7개 국가가 5점 이하 즉, 기대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스템 신뢰도가 높은 나라는 핀란드·스위스·싱가포르이고, 교육시스템 신뢰도가 낮은 나라는 한국·이집트·일본이다. 우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10점 만점에 4.4점으로 19위에 그쳤다. 이스라엘의 경우 교사 신뢰도는 낮지만 교육시스템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지켜가야 할 최후의 보루, 스승 존경 풍토

‘교사 위상 지수 2013’ 연구는 “사회가 선생님을 존경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교실에서 선생님 말씀을 듣지 않을 것이고, 학부모는 학교가 보내는 학생지도 안내문을 무시하게 될 것이며, 결국 유능한 사람들이 더 이상 교직을 선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 사회는 학생들이 좋은 교육을 받을 기회를 빼앗겨 궁극적으로 사회의 기반이 약화될 것이다.”라는 말로 서문을 시작하고 있다.


스승 존경 풍토는 밝은 미래를 위해 우리 사회가 지켜가야 할 최후의 보루이다. 더 늦기 전에 우리 사회가 교육시스템과 교사에 대한 신뢰 하락의 원인을 심도 깊게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스승 존경의 전통을 우리 사회가 부활시켜야 할 것임을 교사 위상 지수 연구는 잘 이야기해주고 있다. 단, 우리 성인들이 생각하는 높은 수준의 존경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너무 큰 존경은 오히려 인간 교사들에게도 짐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교육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도 더 힘을 쏟는다면 우리 교육은 향후에도 한동안 세계가 부러워하는 교육적 성과를 이어가게 될 것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