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우주영화

2018.08.06 13:27:04

최근 우주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 제작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일보(2018.7.6.)에 따르면 윤제균과 김용화, 두 천만 감독이 우주 배경 SF 영화를 만들겠다고 도전장을 냈다는 내용이다. 아다시피 우주 배경 SF 영화는 한국에서 애니메이션이 아닌 실사 영화로는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전인미답의 장르다.

 

신문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같은 우주 연구기지도, 우주 정거장과 유인 우주선도 갖고 있지 않은 한국에서 우주 영화라니. 감히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라 영화계 안팎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래비티’(2013)와 ‘인터스텔라’(2014), ‘마션’(2015) 같은 우주영화를 ‘메이드 인 충무로’ 브랜드로 만날 날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전한다.

 

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제시장’(2014)과 ‘해운대’(2009)로 두 번이나 천만 흥행을 일군 윤제균 감독은 신작 ‘귀환’으로 연출에 복귀한다. ‘귀환’은 가까운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우주 정거장에 홀로 남겨진 우주인을 지구로 귀환시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시나리오는 이미 완성됐고, 배우 황정민과 김혜수가 출연한다. 하반기에 촬영을 시작한다.

 

‘신과 함께-죄와 벌’로 지난 겨울 1,440만 흥행을 일구고, 시리즈 2편 ‘신과 함께-인과 연’의 8월 1일 개봉일 관객이 124만 명 넘게 들어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김용화 감독도 후속작 ‘더 문’ 제작에 착수한다. ‘더 문’은 우연한 사고로 우주에 홀로 남겨진 한 남자와 그를 무사히 지구로 데려오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또 다른 남자의 이야기다.

 

사전 준비를 거쳐 늦어도 내년 초에는 촬영을 시작할 계획이란다. 국내 CG기술 개척자인 두 감독의 활동 영역이나 위상 등으로 볼 때 단순한 기획으로 끝나버리진 않을 것 같지만,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그래비티’ㆍ‘인터스텔라’ㆍ‘마션’ 같은 할리우드 우주영화를 뛰어넘거나 차별화할 수 있겠나 하는 걱정이다.

 

‘그래비티’ㆍ‘인터스텔라’ㆍ‘마션’ 같은 할리우드 우주영화들이 새로운 소재로 관객을 선점했는데, 동류의 한국영화가 흥행할 수 있겠느냐는 걱정이기도 하다. 세 편의 우주영화는 ‘그래비티’ 322만 명, ‘인터스텔라’ 1030만 명, ‘마션’ 488만 명 넘는 관객을 기록하고 있다. 우주니 과학이니 하는 데엔 관심이나 취미가 전혀 없는 나로선 의아한 관객동원이라 할 수 있다.

 

사실 나는 이미 말한 바 있다. ‘인터스텔라’(감독 크리스토퍼 놀런)의 천만클럽은 다소 뜻밖이다. 2008년 ‘다크나이트’ 405만 명, 2010년 ‘인셉션’ 582만 명, 2012년 ‘다크나이트 라이즈’ 639만 명 등 화려한 전작을 갖고 있는 감독이라 해도 169분이라는 러닝타임과 골치 아픈 ‘과학영화’라는 핸디캡을 피할 수 없는 ‘인터스텔라’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미 말한 바 있다. 공분(公憤)이나 정서 순화의 콧등시큰함으로 심금을 울리는 그런 것도 없으면서 ‘인터스텔라’가 천만영화가 된 것은 순전 ‘과학의 힘’이라고. 과학의 힘이라 말했지만, 그것은 새로움에 대한 목마름의 갈증풀이라 해도 좋을 터이다. ‘인터스텔라’가 할리우드만이 해낼 수 있는 우주영화임을 생각하면 그 답이 확연해진다.

 

바꿔 말하면 100억 원만 들여도 ‘대작’ 운운하는 한국영화는 기획조차 할 수 없는 우주영화 ‘인터스텔라’이기에 사람들이 그렇듯 주저없이 극장으로 몰려든 것이다. 황폐해진 지구 말고 인류가 살아갈 대체 행성 찾기 영화인 셈이지만, 영상으로 구현한 우주공간의 비주얼, 거대한 파도나 구름조차 얼어버리는 행성의 장대함 등도 볼거리였다.

 

‘인터스텔라’가 천만영화로 등극한지 4년쯤 된 지금 한국형 우주영화 ‘귀환’과 ‘더 문’이 가시화되고 있다. “영화계에선 두 감독의 신작 우주영화를 한국영화산업이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앞의 한국일보)고 하는데, 관심있게 지켜볼 일이다. 물론 큰 기대감을 담아서다.

장세진 전 교사, 문학⋅방송⋅영화평론가 yeon590@dreamwiz.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