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스승의 부활을 기다리며

2019.01.28 09:15:33

예전의 스승상은 경명행수 도덕겸비 가위사범자(經明行修 道德兼備 可爲師範者)였다. 즉 경전에 통달한 뒤 행실을 닦아 도덕을 겸비하여야만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을 다른 말로 풀이하자면 가장 위대한 가르침은 본을 보이는 것이고, 가장 큰 지혜는 스승의 삶을 보고 배움으로써 얻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흔히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만남 중의 하나를 스승과의 만남이라고 한다.


‘플라톤이 곧 철학이요, 철학이 곧 플라톤이다.’란 말이 있을 정도로 서양 철학의 토대를 확립한 플라톤에게는 소크라테스란 위대한 스승이 있었다. 열여덟 살에 소크라테스를 만나 그가 독배를 마시고 숨을 거둘 때까지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스승 소크라테스가 죽고 나자 플라톤은 이렇게 말했다.


“소크라테스와 같은 시대에 태어나 그의 가르침을 받은 것이 가장 큰 행복이었다.”


역시 위대한 스승 밑에는 위대한 제자가 탄생하나 보다. 플라톤은 다시 아리스토텔레스란 훌륭한 제자를 만나게 된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인품은 고스란히 플라톤에게 전해지고 플라톤의 형이상학 철학은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다시 형이하학의 철학으로 발전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도 훌륭한 제자가 있었다. 바로 알렉산더 대왕이다. 페르시아제국을 무너뜨리고 마케도니아 군사력을 인도에까지 진출시켜 헬레니즘 문화의 토대를 쌓은 불세출의 영웅 알렉산더에게도 두려운 이가 있었다. 바로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젊은 알렉산더에게 윤리학, 철학, 문학, 정치학, 자연과학, 의학, 군사학 등을 가르치며, 자칫 메마르기 쉬운 군왕의 정서를 고려해 호메로스의 시도 가르쳤다고 한다. 그 결과 알렉산더는 스승의 가르침을 좇아 전쟁 중에도 그 책을 가지고 다니며 애독했다. 그 결과 알렉산더는 침략자란 오명을 벗고 그리스 문화를 전파하는 성군이 될 수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역사에도 사표(師表)로 삼을 만한 훌륭한 스승은 많다. 신라 진평왕 때 병부령을 지낸 김후직은 왕이 지나치게 사냥을 즐기고 정사에 소홀히 하는 것을 우려해 간언을 계속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나는 신하로서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했다. 임금이 사냥하고 사치하는데 정신이 팔려 나라가 망하는 꼴을 보게 될까 두렵다. 내가 죽거든 임금이 사냥 나가는 길에 내 뼈를 묻어다오.”


김후직의 세 아들은 아버지의 유언을 따랐고 이 소식을 들은 진평왕은 죽을 때까지 사냥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최석은 고려 충렬왕 때 관리였다. 그가 승평부사의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게 되자 고을 사람들이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전별금으로 말 여덟 마리를 선물했다. 최석은 말을 타고 도성에 도착한 후 말을 모두 돌려보냈으나 고을 사람들이 받지 않았다. 그러자 최석은 급히 망아지 한 마리를 보내며 이렇게 전했다.


“오는 도중에 말이 새끼를 낳았는데 그만 깜빡 잊고 그 망아지를 내가 데려오고 말았다. 이것은 나의 불찰이었다. 이제야 너희가 말을 받지 않는 이유를 알았으니, 그것은 망아지 때문에 너희가 나의 청렴함을 의심했기 때문이다.”


광해군은 즉위 직후 신하들의 천거를 물리치고 왕비의 외숙인 정창연을 이조판서에 임명했다. 조정에서는 불만이 많았지만 외척의 권세를 두려워해 아무도 입을 열지 못하고 있었다. 이때 대구부사로 있던 정경세가 상소를 올렸다.


“임금이 어떤 사람을 미리 마음에 담아두고, 만일 천거하는 사람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추천하라 이르시니 전하께서 개입하여 벼슬을 마음대로 올리고 낮추는 것이 어찌 이다지도 심하단 말입니까?”


절대왕권 시대에 정말 목숨을 건 용기였다.


조선독립운동가 조만식 선생의 비석에는 비문은 없고 두 눈만 새겨져 있다고 한다.


“내가 죽은 뒤 비석을 세우려거든 비문은 쓰지 말고 눈 두 개만 크게 새겨다오. 저승에 가서라도 한 눈으로는 일본이 망하는 것을 보고, 다른 한 눈으로는 조국의 자주독립을 지켜볼 것이다.”


몇 해 전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대장금’이란 드라마가 생각난다. 사극 드라마를 즐겨하던 나는 거의 빼놓지 않고 이 드라마를 시청했었다. 그리곤 왜 이 드라마가 대중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었다. 드라마에는 요즘엔 찾아보기 드문 존경할만한 스승과 제자가 있었던 것이다. 한상궁은 장금이를 따뜻한 시선으로 감싸며 큰소리 한 번 내지 않으면서도 근엄함과 실력으로 장금이를 요리의 대가로 키워 나간다. 수의녀인 장덕은 냉정하면서도 엄하게 장금이를 가르쳐 준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특징이 뭔지 알아? 바로 자기 일에 애정을 갖고 미치는 거야. 하나 더 중요한 건 두 번째다. 현실을 알고 그 위에 서는 거야. 사람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일 줄도 알아야하고 자기 힘을 행사할 줄도 알아야해.”


한상궁이 자애로운 어머니와 같다면 장덕은 엄한 선배와 같은 유형이다. 반면에 신익필은 장금이의 총명함을 인정하면서도 재주를 믿고 가벼이 행동하는 것을 염려하여 냉정하게 대한다.


“사람의 천성은 그리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야. 특히나 자칭 총명한 체하는 것들은 더욱 그래. 그래서 의원은 총명한 사람보다는 마음이 깊은 사람이 해야 한다. 깊어지거라. 그러지 않으면 난 언제든 네게 가혹한 시련을 줄 것이다. 이 말을 뼈에 새겨 네 피에 흐르도록 하거라.”


이러한 가르침은 장금이를 강하게 한다. 당시 의녀가 기생으로 차출되는 악습에 정면으로 거부한 장금이가 위기에 처하자 신익필은 기발한 방법으로 장금이를 돕는다. 그 결과 재시험을 보게 되고 장금이는 실력을 인정받게 된다. 이처럼 신익필의 제자에 대한 사랑은 냉정하면서도 헌신적이다. 자칫 목숨을 잃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도 장금이를 위해 몸소 불의에 항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고찰해본 이들 스승과 제자의 유형을 잘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되는 특징이 있다. 단순한 지식의 전달과 배움을 떠나 스승이 먼저 본을 보임으로써 제자에게 큰 깨우침과 지혜를 준다는 사실이다.


나른한 오후 5교시 국어 수업시간이었다.


“선생님께 질문할 땐 ‘선생님, 물어 볼게 있는데요.’ 하지 말고 ‘선생님, 여쭤볼게 있는데요’ 하는 거야 그래야 선생님을 존경하는 말투가 된단다.”


그러자 한 녀석이 갑자기


“선생님도 학원 선생처럼 돈 받고 하는 직업인데 왜 존경해야 하는 거죠?” 한다.


나는 갑자기 망치로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듯 멍해졌다. 참으로 가치관의 혼돈을 넘어 세대 차이를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그래, 선생님이라고 무조건 존경할 필요는 없어. 존경심은 마음에서 스스로 우러나야지 누가 강요한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거든. 미움 또한 마찬가지란다. 군사부일체를 요즘 시대에 기대하긴 어렵지. 사실, 이 말은 통치 이념적 성격이 더 강했다고 봐야해.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통치이념으로 유교가 강조되었고, 평민이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바로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는 것이었거든. 이런 이유로 '군사부일체'가 강조된 것인지도 몰라. 선생님이 단순한 지식의 전달자로 전락한 요즘에 선생이라고 해서 무조건 존경하란 법은 없지. 꼭 선생님 중에서 존경할 스승을 찾을 필요는 없어. 오히려 주변에서 존경할 만한 사람을 골라 그분의 행동과 말씀 등을 따라하다 보면 진정한 스승을 만날 수도 있지.”


말은 이렇게 했지만 뒷맛은 영 개운치가 않았다. 사도가 땅에 떨어진 지금, 한유가 말한 것처럼 다시 위대한 스승의 부활을 기다리는 것은 필자만의 헛된 망상일지도 모르겠다.

김동수 충남 서령고 교사, 수필가, 여행작가 su949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