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의 세상 읽기 ⑫] 해방된 프로메테우스

2019.10.14 16:11:54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티탄족의 신이다. ‘먼저 생각하는 자’라는 뜻이다. ‘먼저 생각하는 자’는 앞날의 미래를 알 수 있는 예지 능력을 갖고 있음을 함축한다. 그의 동생이자 판도라(Pandora)의 상자를 열고서 나중에 후회하게 되는 에피메테우스(Epimetheus)는 ‘나중에 생각하는 자’라는 뜻이다. ‘나중에 생각하는 자’는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현재의 욕망에 충실한 행위 능력을 갖고 있음을 함축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간을 만들고 사랑한 프로메테우스는 유일하게 신들의 ‘선물’을 받지 못한 인간에게 제우스가 감추어 둔 ‘불’을 훔쳐서 인간에게 선물로 주게 된다. 그 일로 그는 제우스로부터 코카서스 바위산에 묶이고 독수리에게 매일 간을 쪼이는 형벌을 받게 된다. 

 

‘불’은 인간의 ‘지혜’를 상징하며, ‘불’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곧 인간의 기술적 행위 능력을 말한다. 그 능력은 단지 주어진, 수동적 능력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적 사고와 행위 능력을 상징한다. 그 능력의 위력은 다른 동물보다 신체적 능력이 취약한 인간이 세상 만물에 맞서 승리하고 자기보존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때로는 ‘계략’으로 그 능력이 발휘된다. ‘계략’은 ‘전략’이라는 말과 때때로 치환 가능하며 지혜의 한 측면이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인간이 신들에게 바치는 재물과 관련한 제우스와의 협상에서 제우스를 속이는 프로메테우스의 ‘계략’ 능력에 관한 이야기가 표현되어 있다.

 

프로메테우스에 관한 신화적 이야기는 다양하게 해석된다. 그리고 그 해석 속에서 우리가 미리 생각할 것이 많이 있다. 리틀리 스콧 감독이 영화로 만들었지만 더 오래된 이야기가 있다. 고대 그리스 비극작가 아이스킬로스가 프로메테우스를 주제로 비극을 썼다. 

 

통상 비극은 3부작인데, 현전하는 작품은 제1장에 해당하는 ‘결박된 프로메테우스’만 남아 있다. 괴테는 1773년에 2막으로 구성된 희곡으로 《프로메테우스》를 썼다. 그의 글에는 아이스킬로스의 작품 중 전해지지 않은 2부 ‘해방된 프로메테우스’를 모티브로, 신은 아니지만 신처럼 스스로 생각하는 인간의 근대 계몽적 휴머니즘의 정신에 대한 기획과 염려가 담겨 있다. 

 

그런데 ‘해방된 프로메테우스’에 관한 이야기 중 오늘날 기술 혁명 시대라 불리는 지금 우리가 주목하여 생각해 볼 한 글이 있다.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힘을 과학을 통해 부여받고, 경제를 통해 끊임없는 충동을 부여받아 마침내 사슬로부터 풀려난 프로메테우스는 자신의 권력이 인간에게 불행이 되지 않도록 자발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의 권력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윤리학을 요청한다.” 

 

이 문장은 한스 요나스(Hans Jonas, 1903~1993)가 1979년에 출판한 《책임의 원칙》 서문의 첫 구절이다. 과학 기술의 힘을 통해 ‘스스로 사슬로부터 풀려난 프로메테우스(현대인)’가 처한 삶의 가치문제의 본질이 윤리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은 과학 기술을 통해 확장한 인간의 새로운 권력이다. 그 권력으로 사슬을 풀고 ‘해방된 프로메테우스’는 이제 자기 자신이 아닌 어떤 존재자로부터도 자신의 권력을 제어 당하지 않는 위치에 섰다. 영웅 헤라클레스의 도움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사슬로부터 해방될 권리를 부여하였다. 세상에 좋은 일이다.

 

그런데 21세기 오늘날 그 권력은 어떠한가? 과학 기술을 산업과 결합시켜 혁명을 이룬 인간은 인간의 신체적 능력뿐 아니라 정신적 능력을 확장시키고 있다. 인간이 새롭게 확장한 능력은 강하다. 핵무기는 제우스가 가진 번개 창보다 더 파괴적이다. 또한, 네트워크의 접속 능력이 강한 한 개인은 자신의 ‘손가락’ 하나만으로 헤르메스의 발보다 빠르게 세상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을 갖게 되었다.

 

미래를 앞당겨 미리 생각해보자. 미래적 두려움이 없는 인간은 자신의 기술적 행위 권력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한다. 책임 능력 없는 기술 권력은 파괴적이다. 이는 요나스의 아이디어였다. 덧붙여 프로메테우스의 이야기를 다시 생각해보자. 두려움이 없는 ‘해방된 프로메테우스’는 프로메테우스가 아니다. ‘먼저 생각하는 자’, ‘지혜의 인간’이 아니다.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에피메테우스의 후회를 반복하는 자이다. 

동서울대 교수/ 철학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