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한 권이면 유배생활도 두렵지 않다

2019.10.22 13:05:23

 

우리에게 ‘맹자’하면 함께 떠오르는 단어들이 참 많다. 그중에는 논어, 성선설, 인의예지, 삼강오륜과 같이 익숙하지만 다소 어려운 말들도 있다. 또 이런 것들이 과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맹자를 읽게 되면 그의 사상이 수많은 선인들과 지금의 지식인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금세 알 수 있으며, 또 중국 문화 형성에도 지대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우리나라에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가 하나 있는데, 바로 글공부만 한 선비가 권력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 전 세계는 일반적으로 무력을 가진 집단이 중심이 되고 때와 상황에 따라서 성직자 계층이 최상위층을 차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바로 옆 나라 일본만 하더라도 ‘사무라이’라고 하는 무를 상징하는 집단이 권력의 핵심인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선비가 권력의 핵심이 될 수 있었을까?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은 맹자의 첫 구절 ‘양혜왕’ 편 첫 문장을 보면 알 수 있다. 맹자와 양혜왕이 만나자 양혜왕이 맹자에게 이렇게 묻는다.


“노인께서는 먼 길을 돌아 여기까지 오셨으니 과인의 나라에 무슨 이득이 있겠습니까?”


즉, 선비는 나라에 이득을 줄 수 있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 당시 힘은 바로 인구 수이며 그 인구의 숫자를 늘리는 것. 그리고 늘어난 인구 수를 바탕으로 생산력을 높이는 것. 생산된 것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국가의 것으로 만드는 것. 그 과정에서 백성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키는 것. 그리고 이렇게 강해진 힘을 이용해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까지 이 모든 것이 바로 선비의 머릿속에서 나오기 때문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맹자는 양혜왕에게 무엇이라고 대답했을까?


“왕께서는 어째서 이득만 말씀하십니까? 바로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왕이 어떻게 하면 나라를 이롭게 할까만을 생각하면, 대부들도 어떻게 하면 우리 집안을 이롭게 할까만을 생각하게 되고, 선비들도 어떻게 하면 내 몸을 편안하게 할까만을 생각하게 되어 마침내 각자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게 되어 나라가 위태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칼날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잘못된 정치로 사람을 죽이는 것은 같다’며 정치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그러면서 동아시아 사상의 뿌리인 유교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바로 아까 말했던 성선설, 인의예지, 삼강오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맹자는 융통성 없이 무조건적으로는 주장하지는 않았다. 바로 이런 것들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제적 안정이 필요하고, 그것이 기본이 된 상태에서 교육을 통해서 비로소 사람이 변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야 국가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맹자는 평소 이렇게 말했다. ‘지혜가 있으나 형세를 타는 것만 못하고, 좋은 농기구가 있으나 때를 기다리는 것만 못하다.’ 이 말이 씨가 되었던지 맹자의 사상은 당시 선비들에게 큰 인기가 있었지만 왕들에게는 끝내 채택되지 못했다. 바로 그 첫 번째 이유가 맹자의 사상이 효과를 보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춘추전국시대의 많은 왕들은 법가사상을 중심으로 강력한 법치를 했다. 법을 제정하고 그것을 지키게 하고 지키지 않았을 때 가차 없이 처벌하는 것이 빠르고 효율적이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맹자는 민본주의의 사상을 설파했다.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이 그다음이며, 왕은 가볍다고 말했다. 또 왕이 잘못을 저지르면 한번 간하고, 또 간해도 듣지 않으면 왕의 자리를 다른 사람으로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이 말은 백성들의 마음을 얻어야 진정한 천자가 된다는 것이지만, 왕들의 입장에서는 역성혁명을 경계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셋째, 맹자의 사상에는 이상적인 부분이 너무 많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실제로 춘추전국시대에 이익을 얻기 위해서 많은 부분이 발전을 했다. 물론 맹자는 이러한 부분을 고쳐나가야 된다고 설파한 것이지만, 모든 사람이 성인이나 유학자가 아닌 이상 왕 입장에서도 납득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리고 맹자는 백성들의 교육을 굉장히 중요시했지만, 실제로는 백성들에게 교육 인프라가 거의 미치지 못했다. 백성들은 하루하루 먹고살기도 힘들었으며 한자는 너무 어렵고 많았다. 또한 지식층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백성들을 위한 교육 시설도 매우 부족했다.


진나라가 법가사상을 중심으로 천하통일을 이루어냈지만 진시황 사후 4년 만에 무너지고 한(漢) 나라가 유교를 중심으로 400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의 뿌리가 된 것을 생각해보면 맹자의 사상과 철학은 역시 위대한 발걸음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위대한 역성혁명가 정도전이 새삼 생각난다. 그가 유배시절 하루에 한 장 이상 읽지 않았을 정도로 애지중지 탐독했던 맹자는 지금의 우리에게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우리들도 반드시 읽어볼 필요가 있다.

김동수 충남 서령고 교사, 수필가, 여행작가, 교육부 명예기자 su949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