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신문 한병규 기자] 지난달 전남 여수의 요트 업체에서 현장실습을 하던 특성화고 학생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사건 발생 이후 현장실습 폐지, 작업중지권 부여 조례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서울교총은 “현장실습 안전사고 재발 방지책 마련이 더욱 시급하며, 특성화고에만 문제를 돌려서는 안 된다. 지금은 위기의 특성화고 지원에 더욱 나서야 할 때”라고 요구했다.
22일 서울교총은 성명을 통해 “먼저 이번 사건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서울교육 가족들의 진실한 마음을 담아 고인의 넋을 기린다. 이런 비극과 슬픔은 다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며 “그러나 계속되는 현장실습 사고의 재발 방지 마련, 졸업 뒤에도 열악하고 위험한 직업 환경에 내몰리는 환경 등을 나몰라라 하는 제도 미비가 문제의 본질이지 교육을 담당하는 특성화고에만 문제를 돌려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가뜩이나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신입생 모집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를 특성화고에만 집중시키는 것은 본질 왜곡일뿐만 아니라 특성화고의 위기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이라는 게 서울교총의 설명이다. 현재 일각에서 거론되는 현장실습 폐지에 대해서도 이들은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교총은 “현장실습은 특성화고만의 고유한 커리큘럼을 폐지하면 특색과 구심점이 사라지게 된다”면서 “현장실습은 폐지할 것이 아니라 좀 더 강화된 제도적 장치를 통해 실습장의 안전과 교육환경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장실습이 경력으로 인정될 수 있도록 과감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인턴십 제도 도입을 통해 공기업과 관공서 사회단체 등 전문 영역을 배우고 실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직업계고 현장에서는 현장실습 안전사고 재발 방지책뿐만 아니라 특성화고생 자긍심 확대, 위기 극복 방안도 폭넓게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김성일 서울교총 회장은 “지금 특성화고 교사들은 신입생을 유치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며 “현장실습 안전사고로 제자를 잃은 특성화고 교사들은 특성화고에 대한 비판적 인식 등 이중고의 슬픔과 아픔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의 죽음을 막지 못한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물론 관련 법규를 재정비하고, 엄격한 현장점검과 수사를 통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도 우리의 책임이다”면서 “이제 정부와 기업체는 물론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이 나서서 특성화고를 교육과 노동이 공존하는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거듭나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