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근무시간 안 지키는 회사’ 가장 기피

2022.03.07 11:28:00

직능연 ‘청년 기피 5대 일자리 조건’ 발표
열악한 통근 환경, 낮은 월급, 비정규직 순

청년들은 정시근무가 지켜지지 않는 회사를 가장 기피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20)’ 4차년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년들이 가장 기피하는 일자리 조건(4점 척도)은 정시근무가 지켜지지 않는 직장(2.94점)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불편한 통근 환경(2.74점), 본인 기대보다 낮은 월급(2.74점), 비정규직(2.68점), 주 5일 근무가 아닌 직장(2.55점)이 뒤를 이었다.

 

비정시근무는 성별과 학력에 관계없이 거부감이 가장 컸다. 응답자의 75% 이상이 ‘근무시간이 잘 지켜지지 않는 회사에 취직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그렇다 53%, 매우 그렇다 22%). 여성이 남성보다 9.0%p 더 많았고, 일반대 학생이 전문대 학생과 고졸자보다 큰 거부감을 드러냈다.

 

청년들은 ‘통근 환경’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특히 서울, 전남, 인천, 경기, 충남 순으로 통근이 불편한 회사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이 기대 이하인 회사’에 대한 거부감도 컸다. 학력이 높을수록, 기준 이하 월급에 대한 거부감이 클수록 기대하는 최소 임금 수준(유보임금)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 학생 중 기준 이하 월급일 경우 취업할 의사가 없는 집단’은 평균 월 244만 원을 기대해 유보임금이 가장 높았고, ‘고졸자 중 월급이 기대 수준보다 낮아도 취업할 의사가 있는 집단’은 평균 월 191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비정규직에 대한 거부감도 컸다. 예체능 계열을 제외한 모든 계열에서 60% 이상의 응답자가 비정규직에 거부감을 보였다. 의약, 자연, 공학계열은 타 계열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며, 예체능 계열에서 가장 낮았다. 프리랜서 근무 비중이 높은 예체능 계열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주 5일 근무를 지키지 않는 회사에 대한 거부감도 상당했는데, ‘취업하지 않겠다’ 중 ‘(매우) 그렇지 않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48%) 나타난 점이 특징이다.

 

반면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이 아닌 직장(1.94점), 공기업 및 공무원이 아닌 직장(1.93점), 중소기업(2.08점) 등에 대한 취업 기피 성향은 낮게 나타났다.

 

최수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5가지 취업 기피 직장 특징은 퇴사 및 이직을 선택하는 사유로도 적용할 수 있다”며 “워라밸이 지켜지지 않는 근무환경은 청년들에게 있어 취업하지 않거나, 취업했더라도 이탈할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들이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이유는 청년 기피 5대 일자리 조건을 모두 갖춘 일자리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며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20)」 4차년도 패널 조사 자료 중 응답자 8,35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단, 응답자 규모가 100명 미만인 고등학교 중퇴, 전문대 중퇴, 전문대학 졸업, 일반대학교 중퇴 4개 그룹은 제외했다. “나는 ~하지 않는 회사에는 취업하고 싶지 않다”와 같은 문장으로 취업 선호도를 4단계로 조사했으며, 평균 2.5점을 초과하는 경우 취업을 기피하는 조건으로 해석했다.

 

이번 분석 내용은 15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동향지 ‘THE HRD REVIEW’ 25권 1호 <조사‧통계 브리프>를 통해 발표된다.

 

강중민 기자 jmkang@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