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반찬이 없으면 어딘가 허전한 친구들 있지요? 여러분뿐만 아니라, 육류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식재료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인의 고기 사랑이 지구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의 축산업은 가축을 길러서 고기를 얻는 방식으로 유지되는데,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지구의 기후를 위협하거든요. 놀랍게도 소고기 1 kg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곡식 7kg과 물 10만 리터가 필요하고, 소가 내뿜는 트림과 방귀는 자동차보다 강력한 메탄가스를 배출한다고 해요. 2050년에는 세계 인구가 어림잡아 90억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90억 인구가 먹을 만큼의 가축을 길러야 한다면 환경이 걱정될 수밖에 없겠죠. 환경문제는 둘째 치더라도, 그렇게 많은 인구를 지금의 축산업이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이 나왔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고기와 비슷하지만 고기는 아닌 식재료, 대체육을 개발했답니다.
대체육은 크게 식물성 대체육(식물육)과 배양육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식물육은 익숙할 것 같아요. 마트에서 카트를 몰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콩고기”라는 걸 본 적 있지 않나요? 여러분이 보았던 콩고기처럼 식물육은 콩과 같은 곡물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추출해 만든 고기입니다. 실제 고기와 똑같지는 않아도 제법 비슷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배양육은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거예요. ‘배양’ 이란 과학적인 용어로, ‘인공적인 환경을 만들어 동식물 세포와 조직 일부나 미생물 등을 가꾸어 기름’을 뜻합니다. 이에 따르면 배양육은 인공적인 환경에서 기른 고기인 셈이지요. 가축을 기르는 게 아니라 고기를 기른다니, 그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배양육을 만들려면 먼저 동물에게서 추출한 배아줄기세포를 근육세포로 분화하게 만듭니다. 이때 배아줄기세포란 태아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추출한 세포로 어떤 세포든 될 수 있는 세포입니다. 이 세포는 혈액, 뼈, 피부, 근육 등 생명체를 이루는 모든 종류의 세포가 될 수 있지만, 배양육을 만들려면 근육세포가 되어야 해요. 이렇게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얻은 근육세포는 세포들의 영양분이 가득 포함된 배양액에 담가둡니다. 몇 주 동안 배양액에 담가 기르면 근육세포는 열심히 자라서 국수가락 모양의 단백질 조직이 돼요. 이 단백질 조직을 틀에 넣어 모양을 만들면 우리가 아는 모습의 고깃덩어리가 만들어집니다. 식물성 원료로 고기 맛을 따라 하는 것에 그쳤던 식물육과는 다르게 배양육은 고기와 거의 유사한 맛과 식감을 낼 수 있다고 해요.
최근에 배양육은 친환경적인 미래 식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20년 뒤에는 육류 소비의 35%정도까지 차지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있어요.
20년 뒤에 여러분이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고기로 스테이크를 굽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나요?
문제 1) 윗글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대체육을 개발하게 된 이유로 적절한 것을 고르세요.
① 지금의 축산업으로 공급되는 고기의 맛과 질이 점점 떨어지기 때문에.
② 지금의 축산업으로는 앞으로의 세계 육류 소비를 감당하기 힘들 것이고,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심각하기 때문에.
③ 균형잡힌 식사를 하지 못하는 현대인이 많아져서 영양소가 더 풍부하게 함유된 식재료가 필요했기 때문에.
문제 2) 윗글을 읽고 대체육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대체육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식재료이다.
② 배양육은 동물에게서 근육세포를 추출해서 만든 식재료이다.
③식물육은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실제 고기와 비슷하게 만든 식재료이다.
문제 3) "배양육을 만드는 과정을 올바른 순서로 나열한 것을 고르세요.
ㄱ. 국수모양의 단백질 조직을 틀에 넣어 모양을 만든다.
ㄴ. 동물의 배아줄기세포를 근육세포로 만든다.
ㄷ. 근육세포를 배양액에서 길러 단백질 조직으로 만든다."
① ㄱ-ㄴ-ㄷ
② ㄴ-ㄷ-ㄱ
③ ㄷ-ㄱ-ㄴ
정답 : 1)② 2)② 3)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