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쏙 문해력 쑥] <14> 비상! 비상! 지금은 인류세입니다

2022.05.04 09:00:00

 

46억 년 전에 지구가 처음 태양계에 등장한 이후로 지구는 아주 다양한 과정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고조선 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등으로 나누듯이 지질학자들은 지구의 역사를 몇몇 시대로 나누었습니다. 이를 ‘지질시대(地質時代)’라고 합니다. 지질시대는 가장 크게 누대(Eon)로 나누고, 누대는 대(Era)로, 대는 기(Period)로, 기는 세(Epoch)로 나눌 수 있어요. 고생대, 중생대, 쥐라기, 백악기 같은 용어들을 들어본 적 있을 거예요. 고생대, 중생대의 대(Era), 백악기, 쥐라기의 기(Period)가 지질시대를 나눈 기준인 것이죠. 물론 고생대, 중생대, 쥐라기, 백악기 말고도 훨씬 많은 대와 기들이 있고요. 


지질학자들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현생누대-신생대-제4기-‘홀로세’라고 규정했었습니다. 지질시대는 지구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환경변화와 생물종의 등장 및 멸종을 기준으로 나누는데, 1만 년 전에 플라이스토세의 빙하기가 끝나는 순간부터 홀로세가 시작된 것으로 정했습니다. 

 

원래 정해진 기준에 따르면 홀로세는 1만 년 전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포함하는 지질시대입니다. 그런데 2000년에 지질학자 파울 크뤼첸이 홀로세를 끝내고 ‘인류세’를 홀로세 다음의 지질시대로 추가하자고 주장했습니다. 크뤼첸은 인간 활동이 지구환경이나 지구 역사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시기부터 현재까지를 새로운 용어로 불러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원래 지구적 수준의 자연적 변화 또는 생물종의 변화에 따라 지질시대를 나누는데, 인간 활동이 지구에 그만큼이나 큰 변화를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과학과 산업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이 윤택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동안 환경이 무지막지하게 파괴되고 멸종한 동물이 많아진 사실도 외면할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국제 지질학회에서 아직 이 용어를 정식으로 지질시대의 연대에 포함하지는 않았습니다. 지질시대에 추가하려면 확실한 시작 시기가 필요한데, 과학자들 사이에서 “인류세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에 대한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거든요. 홀로세를 끝내고 인류세를 추가하는 데에는 많은 과학자가 동의하지만, 인류세의 시작 시점에는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지금은 크게 네 가지 의견으로 나뉘어요. 첫째는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시점, 두 번째는 유럽인들의 신항로 개척이 시작된 시기, 세 번째는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시작된 시기, 그리고 마지막 1945년 7월 최초의 핵실험이 성공한 시기입니다. 

 

인류세가 공식적인 개념으로 채택될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UN 리우 회담에서도 인류세가 사용되는 등 이미 사회적 영향력이 매우 큰 용어로 자리 잡았어요. 1970년 이후로 야생동물의 개체 수는 절반으로 줄었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과거 100만 년을 통틀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동시에 각종 화학물질이 강과 바다를 오염시키고 기후변화 때문에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했습니다. 인간 활동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를 일컫는 새로운 용어의 등장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문제 1) 지질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세요.    

① 지질시대를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은 대(Era)이다.     
② 지질시대에서 현재는 신생대에 포함된다.    
③ 지질시대를 나눌 때 생물 종의 등장과 멸종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문제 2) 인류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2000년에 파울 크뤼첸이 처음 제안한 개념이다.    

② 아직 인류세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인지 정해지지 않았다.    
③ UN에서 공식적으로 인류세를 홀로세 다음 지질시대로 받아들였다.       

 

문제 3)과학자들이 인류세의 시작으로 보는 시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인류가 전쟁을 시작한 시점    
②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시점    
③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시작된 시점    

 

 

 

정답: 1)②   2)③   3) ①

 

레서 독해력 연구실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